미추왕과 죽엽군
죽엽군:대나무 잎 군사

 

제13대 미추왕은 김알지의 7대 손이다. 대대로 벼슬이 높고 성덕이 있으므로 점해왕을 이어 왕위에 올랐다. 재위 23년 만에 죽었으며 흥륜사 동쪽에 능을 정했다.
14대 임금 유리왕 때, 이서국 사람들이 서울 금성을 공격해 왔다. 신라 쪽에서도 방어에 나섰으나 오래 버티어 낼 수 없었다. 그때 홀연히 어디에서 온지도 알 수 없는 신기한 병정들이 나타나 신라군을 지원해 왔다. 그 신기한 병졸들은 모두 댓잎사귀를 귀에 꽂고 있었다. 그들은 신라군과 힘을 합하여 적군을 쳐부수었다.
적군들이 물러간 뒤 그 신기한 병정들은 또 온데간데없이 사라져 버렸다. 다만 미추왕릉 앞에 무수한 댓잎사귀가 쌓여 있는 것만을 볼 수 있을 뿐이었다. 그제사 귀에 댓잎사귀를 꽂고 왔던 그 신기한 병정들이 미추왕 혼령의 공임을 알았다. 그래서 그 미추왕릉을 죽현릉(댓잎 꽂은 병정들이 나타난 능)이라 불렀다.
36대 임금 혜공왕 15년(779) 4월 어느날, 김유신 장군의 무덤에서 갑자기 회오리 바람이 일어나 죽현릉 쪽으로 불어가고 있었다. 그 회오리바람 속에는 한 늠름한 장군 차림을 하고 준마에 올라앉은 사람과 그 종자로 보이는, 역시 갑옷을 입고 병기를 갖춘 사람 40여 명이 휩싸여 허공에 떠가고 있었다. 그들을 휩싼 회오리바람이 죽현릉에 이르자 그들은 죽현릉 속으로 사라져 버렸다.
장군 차림의 사람과 그 종자로 보이는 사람들이 죽현릉 속으로 들어가고 난 잠깐 뒤에 능 속에서는 웅숭깊은 울음소리가 울리는 듯하고, 또는 뭔가 호소하는 듯한 말소리가 들려왔다. 그 말은 이러한 내용의 것이었다.
"신은 평생에 나라를 위해 역사의 한 시대를 도왔고, 환난을 구제했으며, 분단해 있던 국토를 통일시킨, 이러한 공훈을 이루었습니다. 지금 죽어 혼백이 되어 있어도 이 나라를 굽오 돌보아 재앙을 물리치고 환난을 구제해 가려는 마음은 잠시도 변한 적이 없습니다. 그런데 지난 경술년에 신의 자손이 죄 없이 죽음을 당했습니다. 이것은 지금의 군신들이 나의 공훈을 생각하고 있지 않은 것이 아니고 무엇입니까? 이제 신은 차라리 이곳을 떠나 멀리 다른 곳으로 옮겨가 버리고 다시는 나라를 위해 애쓰지 않으려
고 합니다. 왕께선 부디 신의 옮겨감을 허락해 주소서."
미추왕의 혼령이 대답했다.
"나와 그대가 이 나라를 돌보지 않는다면 저 백성들은 어찌하겠소? 그대는 전과 다름없이 다시 힘쓰도록 하오."
세 번을 청했으나 세 번 다 미추왕의 혼령은 허락하지 않는가 보았다. 그러자 회오리바람은 김유신 장군의 무덤으로 되불어갔다.
40여 명의 종자를 데리고 회오리바람을 몰아 미추왕릉을 다녀간 그 장군 차림의 사람은 말할 것도 없이 바로 김유신 장군의 혼령이었다. 당시의 임금 혜공왕은 이 사실을 보고받고 두려운 마음이 들었다. 곧 공신 김경신을 시켜 김유신 장군의 묘소에 나아가 사과를 드리게 하고, 다시 장군을 위해 공덕보전 30결을 취선사(경주에 있던 절)에 내리어 장군의 명복을 빌게 하였다. 취선사는 바로 김유신 장군의 평양 토병이 있은 뒤에 복을 비느라 세워진 것으로 장군과는 연고 있는 절이었기 때문이다.
미추왕의 혼령이 아니었던들 김장군의 혼령이 품었던 노여움을 막을 길이 없었을 테니 왕의 나라를 보호하는 공덕은 크다고 아니할 수 없다. 그래서 나라 사람들은 왕의 덕을 감사히 여기고서 3산과 같은 등급의 제사를 왕에게도 지내고, 서차를 오릉의 위에 놓아 대묘(大廟)라 일컬었다.

● 미추왕과 김유신 가문에서 전해오는 이야기
미추왕은 김씨로서는 처음으로 왕위에 오른 사람이다. 그리고 이 설화에 등장하는 김유신도 신라에서는 매우 중요한 인물이었다. 이처럼 혼령이 나타나 어떤 일을 처리했다는 것은 미추왕과 김유신, 두 가문에서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이런 것을 가문 신화라고 한다.
그런데 이러한 설화가 생겨난 이유를 우리는 정치 사회적인 면에서 찾을 수 있다. 즉 김씨 왕족이 여러 집단으로 분화되었을 때 주도권을 잡은 친족 집단이 직계 선조에 대한 신화적인 이야기를 만들어낼 필요를 느낀 것이다. 이런 경우는 고려 왕건의 선조에 관한 신화나 <용비어천가> 등에서 볼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