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화녀와 비형랑

 

사륜왕은 신라 제25대 임금으로 성은 김씨, 시호는 진지대왕이라 했다. 그 왕비는 기오공의 딸 지도부인이었다.
진나라 선제 8년(576)에 즉위하여 나라를 다스리기 4년, 정치는 어지러워지고 왕은 쾌락에 빠져 방종만을 일삼자 나라 사람들이 그를 왕위에서 끌어내려 버렸다.
사륜왕이 왕으로 군림하고 있을 때다. 사량부의 일개 민간 여자로 얼굴이며 맵시가 복사꽃처럼 요염하게 생긴 한 여인이 있었다. 사람들은 그녀를 도화랑(桃花郞)이라 불렀다. 사륜왕은 도화랑의 아름다움을 전해듣고 그녀를 궁중으로 불러들였다. 그리고 동침을 요구했다.
"여자가 지켜야 할 것은 두 지아비를 섬기지 않는다는 것이옵니다. 지아비를 두고 다른 남자에게 가게 하는 것은 비록 제왕의 위엄으로써도 결코 안되는 일이옵니다."
왕은 도화랑을 위협해 보았다.
"죽어도 좋은가?"
도화랑은 태연히 대답했다.
"차라리 저잣거리에서 목을 베일 망정 지아비 밖의 다른 남자를 따르고 싶진 않사옵니다."
왕은 슬쩍 희롱하며 말하기를,
"만약 지아비가 없다면 되겠지?"
"될 수 있사옵니다."
왕은 도화랑을 놓아 보냈다.
바로 그 해에 사륜왕은 왕위에서 폐위되고 죽어 버리고 말았다.
사륜왕이 죽은 뒤 3년 만에 도화랑의 남편도 또한 죽어 버렸다. 남편이 죽은 지 열흘쯤 되는 날 한밤중, 죽은 지 3년 때 되는 사륜왕이 생시와 꼭 같은 모습으로 도화랑이 자는 방으로 들어왔다. 왕은 도화랑에게 말했다.
"네가 이전에 허락했듯, 이제 네 지아비가 없으니 되겠지?"
도화랑은 가벼이 응낙치 않고 그 부모에게 사실을 알렸다. 도화량의 부모는 말했다.
"군왕의 말씀인데 어찌 피할 수 있겠느냐?"
왕이 기다리고 있는 방으로 그녀는 들어갔다.
왕은 도화랑에게서 7일 간을 머물러 있었다. 그 사이 늘 오색 구름이 도화랑의 집 지붕을 덮고 있었고 향내가 방안에 가득했다. 7일 후에 사륜왕은 자취없이 사라졌다.
사륜왕의 7일 간의 동거로 도화랑은 임신을 하게 되었다. 달이 차서 아이를 낳으려는데 천지가 진동하였다. 한 사내아이를 낳았는데, 이름은 비형(鼻荊)이라고 했다.
당시의 임금 진평대왕은 그 신기함을 듣고서 비형을 궁중에 데려다 길렀다. 비형의 나이 열다섯 살이 되자 왕은 그에게 집사란 관직을 주었다.
그런데 이 비형 소년은 매일 밤 궁중을 빠져나가 어느 먼 곳을 노닐다 돌아오곤 했다. 왕은 비형이 하는 짓이 의심스러워 용감한 군졸 50명을 시켜 그를 감시하게 했다. 비형 소년은 번번이 월성의 성벽을 날아 서쪽으로 황천 냇가 언덕으로 가서 도깨비 떼를 모아놓고 놀았다. 군졸들이 수풀 속에 숨어 몰래 엿보았더니 도깨비들은 한창 놀다가 여기저기서 들려 오는 새벽 종소리를 듣고는 뿔뿔이 흩어져 가고, 비형 소년 또한 궁중으로 돌아오곤 했다.
군졸들의 보고를 듣고 난 진평왕은 비형 소년을 불러 물었다.
"네가 도깨비 떼를 거느리고 논다던데 참말이냐?"
비형 소년은 그렇다고 시인했다. 비형 소년이 시인하자 왕은 그에게 한 가지 명령을 내렸다.
"그렇다면 네가 도깨비 떼를 부려 신원사 북쪽 개천에 다리를 놓도록 해라."
비형 소년은 진평왕의 명령을 받들어 그가 거느리는 도깨비 떼를 부려 돌을 다듬고 하여 하룻밤 사이에 커다란 다리를 만들었다. 도깨비들의 손으로 이루어진 그 다리는 귀교(鬼橋)라 이름지어졌다.
진평왕은 비형에게 또 물어보았다.
"도깨비들 가운데서 인간계에 출현하여 정사를 도울 만한 자가 있겠는가?"
길달이란 자가 있습니다. 그가 국정을 도울 만할 것입니다."
진평왕은 다음날 길달을 데려오라 했다.
이튿날 비형을 길달을 데리고 함께 왕을 뵈었다. 왕은 길달에게 집사의 직책을 내려주었다. 길달은 과연 충직하기 비할 데 없었다.
그때 각간 임종은 아들이 없었다. 왕은 임종에게 길달을 양자로 맞아들이게 했다. 임종은 길달을 시켜 흥륜사 남쪽에 문루를 세우게 했더니, 길달은 문루를 세우고 매일 밤 그 문루 위에 가서 자곤 했다. 그래서 그 문을 길달문이라 이름했다.
어느날 길달은 여우로 변하여 달아났다. 비형은 도깨비들을 시켜 길달을 붙잡아서는 죽여 버렸다. 이로 해서 그 도깨비 무리들은 비형의 이름만 듣고도 무서워 달아나게 되었다.
당시 사람들은 이러한 비형을 두고 사(詞)를 지었다.

성제의 혼이 낳으신 아들
비형 도령의 집 바로 여길세.
날고 뛰는 온갖 귀신들아,
이곳에 함부로 머물지 말게나.
향속에서는 이 글을 써붙여 잡귀를 물리친다.

얼마 전 흥륜사 터로 불리던 경주시 사정동에서 영묘사(靈廟寺), 영묘사(令妙寺)란 명문이 새겨진 기와조각이 발견되어 주목을 끌고 있다.

● 도깨비 이야기와 신라인의 정조관
이 이야기는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도화녀라는 미모의 여인 이야기와 비형랑이라 하는 후세에 신격화된 사람의 이야기이다. 이 설화는 호색설화, 시애설화(屍愛說話), 교혼설화(交婚說話) 등 여러 설화의 모티프가 얽혀 있는 설화이다.
도화녀와 사륜왕의 얘기에서 우리는 신라인의 정조에 대한 태도가 대개 어떠했던가를 엿볼 수 있다. 그래서 이 이야기는 백제의 개루왕이 등장하는 <도미의 아내>와 비교해 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지아비가 있는 한 상대가 비록 제왕이라 하더라도 몸을 허락할 수 없다 하고, 그러나 지아비가 없을 때 그것은 비로소 가능하다고 한 도화녀의 태도, 그리고 도화녀와 사륜왕의 혼령과의 동거, 이런 것들은 신라인의 정조관이 조선 시대의 정조관과는 전혀 다른 것이었음을 말해 준다.
도화녀와 사륜왕의 혼령과의 동거는 당시 여인의 재혼이 자유로웠음을 전해 주는 한 단서가 되기도 하지만, 그것은 또 신라 사람들의 사상에 '신체미 존중'의 한 양식이 있었음을 시사해 주는 것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도화녀가 뛰어난 미인었다는 점에서 이 설화가 발단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점은 수로부인에 관한 얘기와 처용랑에 관한 얘기에서 보다 뚜렷하게 드러나고 있다. 신라적인 정조관은 바로 이 신라인의 신체미 존중의 사상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는 것이다.
이 이야기는 흔히
우리나라 도깨비 이야기의 원천이라 한다. 그런데 도깨비의 세계는 별도로 있되 인간 사회의 연장이고, 인간 사회에 해를 끼치지 않는다는 사고방식이 거기 나타나 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verdandy 2004-07-20 19: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하! 비형이 어디 나오는 주인공인가 했더니 바로 여기군요. 이영도님의 <눈물을 마시는 새>에 설정된 비형 스라블 캐릭터 말입니다.

꼬마요정 2004-07-20 20: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영도님의 그 책은 읽어보진 못했어요..^^;;
거기에 비형스러운 캐릭터가 나오나 봐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