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실은, 단 한 사람이면 되었다 ㅣ 텔레포터
정해연 지음 / 북멘토(도서출판) / 2023년 2월
평점 :
사람이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욕구 중에 '인정욕구'라는 것이 있다. 식욕, 수면욕이 인간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생리적 욕구라면, 타인의 인정을 받고 싶어하는 욕구인 인정욕구는 심리적 욕구라 할 수 있다. 이 욕구는 자신의 존재 가치 등을 타인에게 인정받고 싶어하는 것인데, 자신이 가치있는 존재라는 믿음을 얻고 자신이 살아갈 만한 존재라는 것을 확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을 한다. 이 욕구는 사실 외부에서 충족되기 때문에 어릴 때 칭찬을 많이 받는 등 타인의 인정을 많이 받은 경우 내면에 적립되어 어른이 되었을 때 꺼내쓸 수 있다고 한다. 사실, 한국 사회에서 이렇게 인정욕구를 충족한 사람들이 얼마나 될까 싶은 생각이 든다. 그래서 타인의 인정이 부족하다면 자신의 인정이 필요한 건지도 모른다.
부모님들도 우리들도 모두 심리학을 공부하고 정신분석학을 공부하고 교육학을 공부한 게 아닐 뿐더러, 요지경 같은 세상 속에서 살아간다고 바쁘고 지친 순간이 많은 사람들이라 이상적인 훈육은 존재하지 못할 것이다. 그래서 점점 세계는 하나가 되어 가지만 개인은 혼자가 되고, 연결된 세상에 노출되는 이미지는 삶의 기준을 왜곡시킨다. 보이는 것이 아름다움의 기준이 되고, 자신의 기준과 다르면 거부하면서 밀쳐내고, 무리에서 소외당하지 않기 위해 타인을 꺼려하고 밀어내고, 그 기준이 자신조차 얽어매면서 모두들 상처 받고 외로워진다.
그런 곳에서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것이 가능할까? 사랑은 받아야 알 수 있는 것인데?
그래서 이 책의 결말이 좋았다. 자기 자신을 사랑하자는 말은 참 좋은 말이고 쉬운 말이지만, 실천은 아주 많이 어려운 말이다. 막상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것이 무엇인지조차 알기 어려우니까. 그래서 나를 사랑하는 것이 타인을 공격하는 일이 되기도 하고, 이기적인 사람이 되어가는 것이 되기도 한다.
나를 사랑하는 것은 사실, 단 한 사람이라도 나를 사랑해주면 가능한 일일지도 모른다. 어릴 때, 아주 작은 일이라도 무언가 따뜻한 칭찬을 받았을 때 느꼈던 기분을 기억한다. 그 기억은 어른이 되어서 아주 힘들 때 떠올리면 마음의 저 구석부터 따뜻해지며 뭔가 힘을 주는데, 신기하게도 닳아 없어지지 않는다. 물론 그 기억 너머에 줄줄 따라나오는 아주 부정적인 기억들도 있지만 말이다. 살다보면 상처가 되는 일들이 아주 많으니까. 그래도 단 하나의 따뜻한 기억이 빛이 번져가듯 어둠을 밝혀주지 않는가. 힘든 일들을 거름 삼아 더 단단한 사람이 될 수 있도록 말이다.
단 한 사람의 칭찬, 인정이 훗날 한 사람을 살릴 수도 있다고 생각하면, 지금 내 주위에 있는 사람들에게 따뜻한 말 한 마디 건네는 것이 좀 더 쉬워지지 않을까. 이 책의 주인공인 은아가 미래의 은아에게서 받은 인정처럼, 그리고 그 너머에 존재하는 가족의 사랑처럼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