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생애 첫 번째 시 - 아동 한시 선집 ㅣ 진경문고
안대회 편역 / 보림 / 2016년 4월
평점 :
조선 시대 양반의 아이들은 교육을 받아서인지 시도 참 잘 짓는다는 생각이 들었다. 많게는 열세 살 정도, 적게는 세 살짜리가 쓴 시가 이렇게 멋들어질 수가 있는지. 지금도 초등학교 아이들이 쓴 시를 보면 놀랄 만한 시들이 많은데, 예나 지금이나 아이들의 시선이나 표현력이 참 부럽기도 하다.
이 책의 저자 안대회 교수가 뽑은 최고의 동시는 조선 중기 문신인 이산해가 일곱 살 때 썼다는 제목도 참 귀여운 <세 톨 밤>이란 시이다.
한 집안에서
아들 셋을 낳았는데
가운뎃놈은 양 볼이 납작하네.
바람이 불어
앞서거니 뒤서거니 떨어지니
누가 형이고 누가 아우일까.
마지막 줄 한자가 난형역난제(難兄亦難弟)인데, 안대회 교수는 이렇게 난형난제라는 사자성어로 마무리한 것도 절묘하고, 아이답게 보고 느낀 바를 그대로 표현한 것이 인상적이라고 평했다. 조선 시대 아동이 지은 시 가운데 백미(白眉)라고.
나는 이 시도 좋지만 조선 중기 때 사람인 권겹이 쓴 시가 더 좋았다.
<송도에서 고려를 회상하며>
눈 속에 뜬 달은
지난 왕조의 빛깔이요
쓸쓸한 종소리는
망한 나라의 소리일세.
남쪽 성루에서
시름겨워 홀로 서니
부서진 성곽 위로
새벽 구름 피어오르네.
아니, 도대체, 이게 아홉 살 전후의 아이가 쓸 시인가 싶다. 도대체 어릴 때 무슨 교육을 받으면, 어떤 경험을 하면 아이가 망한 나라를 상상하고 돌아보며 이런 분위기에 이런 글을 지을 수 있을까?
한은이 여섯 살 때 썼던 시인 <종이연> 마지막 연처럼 '액운들아! 종이연의 뒤를 쫓아 몽땅 날아가거라!' 라는 구절만 보더라도, 여섯 살이 액운이라는 단어를 써서 다 날아가라고 하는 것을 보면 다들 어릴 때부터 무슨 노인네가 들어앉은 것 같기도 하다.
박엽이 여덟 살 때 지은 시인 <눈>을 보면 사물을 보고 그것을 글로 표현하는 일이 이들에게는 숨 쉬는 것만큼 쉬운 일인가 싶기도 했다. 박엽은 등불을 소재로 한 시구가 유명하다고 하는데, "등불이 방 안으로 들어오자 밤은 밖으로 나가네."라고. 표현이 너무 절묘하지 않은가.
조선 중기 문신이자 서예가인 김구가 여덟 살 때 지은 시인 <오작교> 중 한 구절을 보다 보면 아이의 정신세계가 무척이나 궁금해진다.
창공은 넋이 만나는 세상
다리 따위는 필요 없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