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공주 해적전 소설Q
곽재식 지음 / 창비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천년지애’란 드라마를 아시려나 모르겠다. 성유리가 백제의 공주로 나오는 그 드라마는 내용보다 “나는 남부여의 공주, 부여주다.”라는 대사로 더 유명하다. 망한 나라의 공주가 힘겹게 살아가다 사랑하는 남자를 잃고 죽음의 문턱에서 천 년 후의 세상으로 넘어온다. 비슷한 이야기로 ‘비천도’도 있다. 그 이야기는 결은 좀 다르지만 중요인물이 현대로 넘어오고, 일본과 관련 있다는 점이 비슷하다.

이 책을 읽는데 문득 부여주가 떠올랐다. 무술을 잘 해서 멋있었는데. 여기 나오는 ‘장희’ 역시 무술을 아예 못하지는 않는다. 말솜씨가 뛰어나고 머리가 잘 돌아가고 눈치도 빠르다. 한 마디로 능글맞지만 아주 매력적인 인물이다. 반면 ‘한수생’은 좀 멍청하지만 우직하고 곧이곧대로인 인물이다. 큰 욕심이 없고 정직하게 일을 해서 태평성대를 만났다면 아무 탈 없이 적당히 행복하게 살았을테다. 하지만 인류 역사상 태평성대가 과연 얼마나 있었을까.

서기 861년이면 신라가 망해가고 있을 즈음이다. 장보고가 큰 뜻을 품고 청해진을 설치하여 해적들로부터 신라인들을 보호하다가 점점 권력에 빠져들어 비참한 최후를 맞이하듯, 신라 자체도 점점 몰락의 길을 걷고 있었다. 장보고 밑에 있던 장희는 장보고가 죽은 지도 15년이나 지난 뒤에 돈이 떨어져 경제 활동을 시작하면서 한수생을 만난다.

“항해만사”
무슨 문제든 말만 하면 다 풀어준다는데, 막상 맡은 일이라는 게 인간의 어리석음과 탐욕 때문에 벌어진 일이었다. 무슨 개미와 베짱이도 아니고, 열심히 일해서 가을에 수확하여 먹을거리를 마련한 한수생과 학문을 닦고 눈을 높인다며 매일 서라벌 구경을 하는 바람에 먹을거리가 다 떨어진 마을사람들 사이에 다툼(?) 아니 일방적인 폭력이 있었던 거다. 베짱이는 여름 내내 갈고 닦은 노래 실력으로 가수가 되어 떼돈을 벌었다는데, 마을 사람들은 그리 서라벌 구경을 다니면서 돈 벌 기회도 잡지 못해 남의 것을 탐하다니 여기나 거기나 사람 사는 게 비슷하다.

여튼 한수생은 도망을 치고 장희는 그를 돕는 듯 아닌 듯 돕게 되면서 한바탕 모험이 시작된다. 백제가 멸망한 게 외우기도 쉬운 660년이니까 벌써 200년도 전에 사라진 나라다. 그러니 백제부흥운동이니 풍 태자니 하는 것들이 무슨 소용일까. 게다가 백제 왕실의 핏줄이라는 공주가 있다니… 저기 그 쪽도 타임슬립 했을까나? 작은 섬에 공주도 있고 장군도 있고 부마도위도 있구나.

명분이라는 게 참 중요하다. 여기 이렇게 백제 공주까지 상징적으로 모셔두고 정부를 구성했다 한들, 풍 태자가 보물이랍시고 ‘그것들’을 만들든 나라가 만들어지는 건 아니었다. 오히려 900년에 세워진 후백제가 더 어엿한 나라가 아니던가.

풍자와 해학이 있고 기지가 넘치는 인물이 있고 멋지진 않지만 모험도 있고, 이기적인 사람들과 부정부패와 함께 몰락해가는 나라가 있는 이야기. 하하하 즐거웠다.

장희와 백제 공주 너무 매력적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양물감 2022-05-10 07:4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기적인 사람들과 부정부패와 함께 몰락해가는 나라가 있는 이야기.
어딜 가나 존재하는 것 같아요,
특히 오늘은.... 이런 생각이 더 드는 날이네요.

꼬마요정 2022-05-10 10:47   좋아요 1 | URL
어쩌면… 국민에 의해 철저히 견제 당하는 정부를 만들어 볼 지도 모르죠, 우리가. 이번 선거를 통해 우리 사회에 있던 혐오들이 드러났잖아요. 보다 살기 좋은 사회로 가기 위해 겪는 시련일거라 믿어봅니다. 지난 5년이 그리울 거에요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