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도시의 사랑법
박상영 지음 / 창비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표지가 너무 예뻤다. 보라색도 좋고, 예전에 홍콩에서 본 야경 같은 느낌의 그림도 좋았다. 그래서 도대체 어떤 이야기가 펼쳐질까 궁금했다. 작가에 대해서도 이 책에 대해서도 아무것도 몰랐으니까.

지적이고 부드럽고 도시적인 이미지를 상상했으나 현실은 쓰라렸다. 부드럽긴 무슨, 지독하게 외로웠다. 읽는 내내 외롭고 외롭고 또 외로웠다. 가장 가까운 사이인 엄마는 ‘영’을 정신병원에 보내버리고, 가장 가깝다 여겼던 친구인 ‘재희’는 남편될 사람에게 ‘영’의 정체성을 밝히며 그를 조연으로 전락시킨다. ‘영’이 사랑한 띠동갑인 운동권 출신 ‘그’는 ‘영’과 함께 있는 걸 부끄러워하고 서양 국기에 질색해서 ‘영’을 비난하고 결국 떠나버린다. 떠나는 ‘그’의 뒷모습을 바라보는 ‘영’에게서 <아비정전>의 아비가 보였다. 아비는 자신을 버린 엄마를 절대 돌아보지 않는다. 그게 아비의 마지막 자존심 같은 거니까. 그런 처절함이 뭔가 닮았다고나 할까.

전부를 내 준 것 같은 사랑도 흐르는 시간 속에 희석되고 새로운 사랑에게 자리를 내준다. ‘규호’. 내가 좋아하는 드라마 <그들이 사는 세상>에서 내가 가장 좋아하는 인물인 규호랑 이름이 같다. 이름만 같다. 마치 내가 이 책을 읽기 전 상상했던 이 책의 모습처럼.

‘규호’는 아직 시간의 흐름 속에 옅어지지 않은 존재다. 대도시라는 곳이 열려 있는 듯 하지만 ‘영’과 같은 소수자에겐 편견으로 가득 찬 닫혀 있는 곳이다. 그런 곳에서 ‘규호’는 ‘영’을 진심으로 대하지만, ‘영’이 가진 한계로 인해 둘 사이에는 중국과 한국이라는 물리적 거리가 자리하게 된다. 차마 기다린다는 말조차 못한 채 ‘규호’를 보내고, 영화 <화양연화>의 차우가 앙코르와트 벽 구멍에 속삭인 것처럼 ‘영’은 자신의 마음을 풍등에 띄워보낸다. 여전히 그립고 애틋한, 하지만 가질 수 없는 그 이름을.

이 도시는 매우 크고 아주 많은 사람들이 산다. 다들 제각각의 사연을 안고 각자의 삶을 만들고, 사랑하고 이별하고, 상처 주고 상처 받는다. ‘영’을 아픈 사람 취급하던 엄마야말로 치료가 필요한 사람이었다. 그래서 엄마를 벗어나지도 못하고, 미워하면서도 사랑하는 그런 관계를 이어나간다. 많은 사람들이 그러하듯.

‘영’은 다른 것 같아도 결국 비슷하다. 부모와의 관계도, 연인과의 관계도 비슷하다. 사랑하고 상처주고 상처받고 위로받고 그렇게 살아간다…

잠시도 불쌍해할 틈을 주지 않는 재주가 있는 여자였다. 엄마는, - P17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