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 2019 제43회 오늘의 작가상 수상작
김초엽 지음 / 허블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아니 빛의 속도로 간다 하더라도 우주를 알 수 있을까.

여러 단편들이 있지만 특히나 ‘스펙트럼’과 ‘관내분실’이 내 마음을 일렁거리게 했다. 인간은 끊임없이 미지의 생명체를 찾지만, 모르기 때문에 두려워하고 파괴하고 싶어한다. 나는 ‘희진’이 왜 그런 선택을 했는지 알 수 있었다. 만약 나였어도 그랬을 것이다. ‘루이’가, 그 ‘무리’가 ‘희진’을 아름다운 생명체라 여겼듯 ‘희진’ 역시 그들이 경이로운 생명체라 생각했을테니. 인간은 어째서 사랑하면서 외롭고 궁금해하면서 파괴하고 싶어하는지. 진정 홀로 남고 싶은 것인지.

그래서 ‘순례자’들은 돌아오지 않는가보다. 나와 다르다고 배척하고 부수고 미워하지만 또한 사랑하고 사랑받길 원하니까. 그래서 어떻게든 서로를 이해해보려고 노력하는 것이 아무런 감정 없이 살아가는 것보다 살아있는 느낌이 드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공생가설’은 특이했다. 어쩌면 인간이란 존재가 모든 걸 망쳐버리는 걸 ‘이타적’인 외계종이 가르치고 토닥여주는 걸지도 모른다. 실재하여 눈 앞에 보이는 존재가 아닌 인간의 눈으로는 볼 수 없는 존재가 함께 살아간다니… 심지어 인간에게 자신들이 알려지지 않길 바란다니… 그건 인간에게 있는 폭력적인 본성 때문일지도 모른다. 그토록 아름다운 별과 아름다운 존재라니.

‘감정의 물성’은 또다른 느낌의 이야기였다. 인간의 감정을 대상화할 수 있다니… 만져지고 맡아지는 감정이라니…

‘관내분실’은 슬펐고 아팠다. 본래의 모습이 아닌 누군가의 엄마, 누군가의 아내 이렇게만 남는다는 건 너무 슬픈 일이다. 그 역할이 슬픈 게 아니라 ‘나’란 존재보다 그 ‘역할’이 더 중요시 된다는 사실이 슬프다. 더군다나 그 상황을 ‘이해’할 수 있다는 것 역시 서글프다.

‘나의 우주 영웅에 관하여’ 역시 슬프고 아프다. 세상에 ‘기준’이란 것은 정해질 수 있을까. 그깟것 밑에서 쳐다보나 우주로 가서 보나 다를 건 뭔가. 답정너처럼 남이 정해놓은 ‘기준’이란 건 결코 닿을 수 없는 것이니까. ‘기준’이 된 그 인종, 성별, 국적, 재산, 직업 등등 여러 조건이 완벽해야만 하는 것을. 물론 그 조건 다 충족해도 분명 ‘까고 싶어’질텐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