쾌 : 젓가락 괴담 경연
미쓰다 신조 외 지음, 이현아 외 옮김 / 비채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는 숟가락과 젓가락을 함께 쓰며, 제삿밥에는 보통 숟가락을 꽂아두기도 하기에 젓가락 괴담이라는 게 어떤 걸까 궁금했다. 내가 생각할 때 젓가락 괴담이라 하면 애기들이 콘센트 구멍에 젓가락을 찔러 넣는 위험천만한 이야기라든지, 젓가락으로 좁쌀 알갱이를 집는 괴담 같은 신기한 이야기였다. 하지만 한국을 제외한 주변 아시아 국가들에게 젓가락은 아주 중요한 도구이자 무서운 저주의 도구이기도 했다.

같은 소재를 사용하여 각 나라의 전설을 더해 5명의 작가가 하나의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과정은 흥미로웠다. 첫 번째 이야기를 풀어 낸 작가는 일본의 마쓰자 신조로 ‘젓가락님’ 이야기는 전설인 듯 도시괴담인 듯 재미있었다. 내 손을 쓰지 않고 남을 해하는 저주는 죄책감의 정도가 덜할까 궁금하기도 했다. 아마 아닐 것이다. 말실수 하나로도 마음이 따끔한데 대놓고 상대를 저주해서 죽인다면, 그건 직접 죽인 거나 다름없으니까. 하지만 힘 없는 이가 사과를 받고 싶어도 안 된다면 할 수 있는 복수라고는 저주뿐일 수도 있다. 그래서 ‘죽여달라’고는 못하고 ‘처리해달라’고 한 건 죄책감도 죄책감이지만 어떻게든 폭력으로부터 벗어나고 싶은 마음이 드러난 걸지도 모른다.

두 번째 주자는 타이완의 쉐시쓰로 ‘산호 뼈’ 역시 꺼림칙한 느낌이 드는 재밌는 이야기였다. 여전히 ‘저주’는 사람의 마음에 깊은 생채기를 남기나보다. 어린 시절 좋아했던 아이를 구하려는 마음과 자신이 옳다는 생각이 무서운 결과를 낳았다. 둘이 나눈 비밀은 처음엔 달콤했지만 서서히 씁쓸해지다 결국 독이 되었다. 다행이라면 ‘결자해지’가 이루어졌다는 정도일까.

세 번째로 이야기하는 작가는 홍콩의 예터우쯔로 ‘저주의 그물에 걸린 물고기’다. 이 이야기가 제일 도시괴담 같았다. 인터넷 방송이며, 노이즈 마케팅이며, 가짜 이야기를 만들어 퍼트리는 등의 소재는 실제로 도시에서 일어나고 사람들을 괴롭히고 있으니까. 게다가 내 친구가, 이웃이 나를 해치려 한다니… 그것도 정말 끔찍한 이야기다. 하지만 가장 끔찍한 건 그저 화제를 만들고 인기를 끌려 만든 이야기로 인해 내 소중한 사람들이 죽었다는 사실이다.

네 번째 작가는 타이완의 샤오상선으로 ‘악어 꿈’이다. 이 이야기는 실제라 해도 믿을만큼 현실적이다. 어린 나이에 민며느니로 팔려 와 노예처럼 일하고, 나이 어린 남편과 시누이를 키우고, 교육은 받지 못하며, 사랑을 알게 되지만 오롯이 혼자 감당해야 했던 린진리… 그녀의 삶은 커다란 고통 겉면에 약간의 소속감과 안도감이 흔적마냥 덧칠되어 있었다. 그러나 그녀는 이겨냈고 우뚝 섰으니, 이 이야기에 언급된 <가든파티>가 썩 잘 어울렸다. 죽음의 세계를 엿보고 돌아 온 페르세포네의 이야기 같은 그 소설 말이다.

마지막으로 이야기를 하는 작가는 홍콩의 찬호께이로 ‘해시노어’이다. 해시노어는 비슷한 글자라서 잘못 쓰는 일을 말하는데, <여씨춘추>에 ‘진나라 군대 돼지 세 마리(삼시)가 강을 건넜다’가 아니라 ‘진나라 군대가 ‘기해’년에 강을 건넜다’가 맞다고 자하가 말한 것과 <포박자>에 ‘책을 여러 번 베끼다 보면 ‘어’를 ‘노’로 쓰고, ‘제’를 ‘호’로 쓰기도 한다’고 말한데서 유래한다. 이 젓가락 이야기가 어떻게 내려오게 됐는지를 풀어내는 데 저 멀리 요, 순, 곤, 우 임금까지 등장한다. 우리와 다른 세계의 존재들인 그들이 어떻게 우리 삶에 끼어들고, 인간의 탐욕이 얼마나 무서우며, 그 와중에도 순수한 사랑도 피어날 수 있다는 걸 보여주는 이야기였다. 그리고 인간에게 ‘양심’이란 얼마나 값지고 빛나는 것인지…

젓가락 하나로 저 먼 신화시대까지 다녀 온 기분이다. 상상력이란 정말 멋진 능력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