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로 얼룩진 세상에 머물다 일상으로 돌아와 평범한 생활을 누리긴 힘들 것이다. 다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노출되어 있었을 것이다.
예전에 텔레비젼에서 한비야 구호 활동가도 냄새에 민감하다고 했었던 기억이 떠오른다. 워낙 아비규환의 현장 속에서 재해로 인해 사상자들을 많이 접하다 보니 시체 냄새에 예민해져서 평소에도 그런 냄새가 나는 듯 하다고 하였다. 특히 음식물 쓰레기를 버릴 때, 그 냄새가 꼭 시체 썩는 냄새를 상기시켜 트라우마가 작동되는 듯 하여 남편은 음식물 쓰레기 버리기 담당은 무조건 자신이 한다고 했었던 점이 인상 깊었다.
늘 밝게 웃으며 어렵고 힘든 일을 도맡아 하는 한비야님도 어쩌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아닐까, 그런 생각이 드는데...하물며 전쟁을 직접 겪은 사람들은 말로 해서 무엇하랴!
빨간색만 보아도 양팔에 반점이 돋고, 물집이 생겨 버리는 알러지 반응은 충분히 납득되면서도 안타깝다.
전쟁은 왜 끝나지 않고, 지속되는 것일까?
모든 사람들을 힘들게 만드는 것인데,
누구를 위하여 수많은 목숨을 내걸어야 하는 걸까?

"나는 기차에서 곧장 최전선으로 가겠다고 요청했어・・・・・・ 곧바로 가겠다고……… 때마침 이동중인 부대가 있어서 즉시 거기로 합류했지. 생각해보니까, 후방에서 집에 가는 것보다 최전선에서 가는 게 하루라도더 빠를 것 같더라고. 집에 엄마 혼자 계셨거든 내 친구들은 지금도 내가 위생중대를 떠나고 싶어했다며 당시를 떠올리곤 해. 맞는 말이야 나는 위생중대에 가면 얼른 씻기만 하고 속옷을 챙겨서 다시 내 참호로돌아갔으니까. 최전선의 진지로, 나는 몸을 사리는 법이 없었어. 기어다니고 뛰어다니고..…..… 하지만 피냄새는 피냄새만큼은 아무리 시간이 흘러도 익숙해지지 않더라고…………전쟁이 끝나고 산부인과 병동에서 조산원으로 일했어. 하지만 얼마못하고 그만뒀지. 아주 잠깐 일했어...... 아주 잠깐...... 나는 피냄새에 - P532

알레르기가 있거든. 내 몸이 피를 거부해 피라면 전쟁터에서 몸서리가쳐지게 겪었으니까. 더이상 몸이 받아들일 수 없을 만큼, 산부인과를 나와 ‘구급센터‘로 옮겼어. 역시 온몸에 두드러기가 돋고 숨을 쉴 수가 없었지.
언젠가 빨간색 천으로 블라우스를 만들어 입었는데, 다음날 양팔에반점 같은 게 돋았더라고. 물집도 생기고, 내 몸은 빨간 사라사는 물론,
장미나 패랭이꽃 같은 빨간 꽃에도 거부 반응을 보여 빨간색이나 피 색깔은 어느 것도 견디질 못하지...… 그래서 우리집엔 빨간색이 하나도없어. 눈 씻고 찾아봐도 없을 거야. 사람의 피는 아주 선명하지. 자연 풍경에서도 화가들 그림에서도 나는 피처럼 선명한 색은 아직 본 적이 없어. 석류즙이 조금 비슷하기는 하지만 그 정도까진 아니야. 아주 잘 익은 석류즙도.……"
마리야 야코블레브나 예조바, 근위대 중위, 위생소대 지휘관 - P533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발머리 2022-07-25 21:45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빨간색에 알러지 반응 읽는데 정말 숨이 컥컥 막히더라구요. 사람의 마음은 이렇게 여린데... 이렇게 상처받기 쉬운데. 상처 받은 후에는 회복이 어려운데... 왜 전쟁은 끊이지 않을까, 전 그런 생각 많이 했어요.
고생 많았어요, 책나무님! 우리 모두 다 수고했어요, 토닥토닥!!

책읽는나무 2022-07-25 22:43   좋아요 1 | URL
저도 저 대목에서 헉!! 했어요.
빨간색 트라우마는 있을 수 있겠다는 생각은 했지만, 예를 든다면 몸이 경직된다든가, 숨이 가빠진다든가, 기분이 나빠진다든가... 근데 바로 피부에 발진이 일어나고, 물집까지 생겨버리는 급성 알러지는 정말 심각한 지경인 것인데...어떻게 삶을 살아냈을까? 싶더군요.ㅜㅜ
몸이 불구가 된 사람들은 또 어떻게 그 세월을 살아냈을까요?
우리나라도 전쟁을 겪은 나라인데, 전쟁 후유증을 겪으시는 분들도 얼마나 많을까요??
그리고 지금도 전쟁은 계속되고, 또 그 후유증은 고스란히 개인의 몫이 될테고...ㅜㅜ
어휴~~이 책도 생각에 생각이 꼬리를 계속 뭅니다.
책을 읽으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아마도 참담한 심정이지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