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 무소르그스키  모음곡 <전람회의 그림> 



무소르그스키의 대표적 기악작품이다. 무소르그스키가 그의 친구였던 빅토르 하트만(Victor hartman, 1842~1873)의 유작 전시회에서 영감을 받아 이 모음곡을 작곡한 일화는 유명하다. 비교적 빠른 속도로 작곡한 작품이며 이후 라벨은 이 피아노곡을 오케스트라용 악보로 편곡한 바 있다. 이는 러시아 태생의 지휘자 쿠세비츠키 (Sergei Koussevitzky)가 라벨에게 위탁한 것이었고, 이 라벨 편곡 버전은 쿠세비츠키가 1922년 10월, 파리 오페라 극장에서 초연하였다. 곡은 모두 10곡인데 10곡은 모두 다음과 같은 제목으로 부른다. 
 

제1곡 [난쟁이; Gnomus], 
제2곡 [옛성; Vecchio castello ],
제3곡 [튈르리; Tuileries],
제4곡 [비드로; Bydlo],
제5곡 [먹이를 문 병아리의 발레; Ballet des poussins leurs coques],
제6곡 [사무엘 골덴베르크와 슈무엘레; Samuel Goldenberg et Jschmuyle],
제7곡 [리모쥬; Limoges],
제8곡 [카타콤베; Catacombae],
제 9곡 [닭다리 위의 오두막집; La cabane sur des pattes de poule],
제10곡 [키에프의 대문; Le grand porte de Kiev]


이상 모두 10곡이며 첫머리 프롬나드(Promenade)의 등장으로 시작한다. 이후 각각의 곡은 제목에서 볼 수 있는 분위기를 띠며 진행한다. 그로테스크한 느낌(1곡 난쟁이), 중세적 환상(2곡 고성), 듬직하고 육중한 운동감(4곡 비드로) 마치 병아리의 울음과 가벼운 발걸음을 묘사한 느낌(5곡 먹이를 문 병아리의 발레), 장대하고 육중한 느낌(10곡 키에프의 대문)의 곡을 만날 수 있다. 
 

 




 

 

* Top 추천반  

  

Mikhail Pletnev 
1989, Virgin

 

 

 

오리지널(피아노) 버전으로는 외국의 비평지를 포함해서 국내의 많은 애호가가 플레트네프의 버진 클래식스 음반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 연주 수준이 높으며(차이콥스키 - 사계 포함) 가격도 저렴하다. 오래전 녹음으로는 블라디미르 호로비츠의 강렬한 연주(1951, RCA)를 포함해서 필립스 레이블에서 나왔던 리히터의 연주가 이 곡의 느낌을 잘 살린 연주로 평가받는다. 한편, 관현악 편곡 버전의 녹음으로는 프리츠 라이너가 시카고 심포니와 함께 한 음반을 먼저 꼽을 수 있다. 치밀하며 다이나믹한, 곡의 제목에 드러난 분위기 묘사가 뛰어난 연주. 1957년의 녹음이지만 RCA 리빙 스테레오 시리즈로 나와 있어 감상 면에서도 무리 없는 수준이다. 
 

 

  

 

< 클래식 음반 가이드 선정반  >  

 

죽기전에 들어야 할 클래식 1001 추천반  

Mariss Jansons (conductor)
Oslo Philharmonic Orchestra
1988, EMI

 

  

 

러프가이드 추천반  

Claudio Abbado (conductor)
Berliner Philharmoniker
1993, DG

 

  

 

  

펭귄 가이드 Key & **** 

Fritz Reiner (conductor)
Chicago Symphony Orchestra
1957, RCA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61. 림스키- 코르사코프 교향 모음곡 <셰헤라자데> Op.35 

 

> 러시아 국민악파를 대표하는 작곡가이며, 근대 관현악법의 대가인 림스키 - 코르사코프는 풍성한 울림과 다채로운 색채를 지닌 작품으로 뚜렷한 자취를 남긴 인물이다. 이 림스키- 코르사코프의 작품 가운데 가장 널리 사랑받고 또 자주 연주하는 작품으로 교향 모음곡(Symphonic Suite) <셰헤라자데> 를 꼽을 수 있다. 그는 그의 또 다른 작품인, 서곡 <러시아 부활제> 과 함께 이 곡을 완성했다.  

'세헤라자데' 는 유명한 민화집인, 아라비안나이트 에서 이야기를 끌어가는 여성인데 술탄이 자신과 하룻밤을 보내는 여성은 이후 모두 죽인다는 이야기의 주인공이다. 전체적으로 4악장 형태로 되어 있는데,
표제는 적혀 있지 않지만 출판한 악보에는 이 아라비안나이트에서 따온 글을 남기기도 하였다. 그 내용을 적으면 다음과 같다. (음악세계사 - 러시아 악파 편 발췌)

[술탄 샤리아르는 여성들이 불신과 부정의 대상이라고 생각했고, 누구든지 첫날밤을 보낸 다음에는 죽이고 말겠다고 맹세했다. 그러나 왕비 셰헤라자데는 왕에게 흥미있는 이야기를 들려주어 천일 동안 살아남을 수 있었다.
술탄은 그 이야기의 재미에 이끌려 그녀를 죽이는 일을 하루하루 미루게 되었고, 결국 잔혹했던 자신의 맹세를 포기하게 되었다. 왕비 셰헤라자데가 샤리아르에게 해주었던 이야기는 이상한 것이었다. 그 이야기를 위해 왕비는 시인들의 시와 민요의 가사를 빌려 이야기를 짜 맞추었고, 그 내용을 들려주었던 것이다]

한편 이 곡은 다음과 같은 표제가 붙은 것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1악장 : 바다와 신밧드의 배
2악장 : 키란다르(Kalender; 카란달) 왕자 이야기
3악장 : 젊은 왕자와 왕녀
4악장 : 바그다드 축제, 바다, 청동 기사의 어느 바위에서의 난파, 곡의 종결 




 

> 1악장은 라르고의 서주에 이어 알레그로 논 트로포의 부분으로 이어진다. 첫 부분에 왕의 등장과 같은 웅장하고 무거운 주제가 나오고 셰헤라자데의 주제가 여리게 이어 나온다. 이어 다양한 관악기로 여러 동기를 제시하며 흐르고 조용히 마무리를 하게 된다. 2악장은 카란달 왕자의 이야기로 왕자의 성격과 유사하게 파곳의 유머러스한 느낌의 연주가 나온다.  이후 금관의 힘찬 동기를 지나 화려하게 끝나게 된다. 3악장은 먼저 현악기로만 연주하는 길고, 우아한 선율이 먼저 나오고 이어 춤곡풍의 리듬이 두드러지는 음악으로 흐른다. 클라리넷의 연주가 마치 대화하듯 펼쳐지는 인상적인 악장이다. 4악장은 앞서 등장한 여러 주제를 다시 보여주면서 점점 고조되는 분위기로 흐르다가 조용하고 가는 선의 느낌으로 끝이 난다. 

 


 

 
* Top 추천반 & 클래식 음반 가이드 선정반 

 

러프가이드 추천반 

Valery Gergiev (conductor)
Kirov Orchestra, Mariinsky Theatre, St Petersburg
2001, Philips

 

 

 

그라모폰 가이드 추천반 

Enrique Batiz (conductor)
Philharmonia Orchestra
1992, Naxos

 

  

 

펭귄가이드 k**** & 로제타  

Fritz Reiner (conductor)
Chicago Symphony Orchestra
1960, RCA

 

 

 

림스키- 코르사코프 교향 모음곡 <셰헤라자데> 음반을 소개하는 자리에서 게르기에프의 필립스(2001) 음반을 넣지 않는다면 섭섭할 것이다. 강렬한 색의 표지처럼 발레리 게르기에프와 키로프 오케스트라 (Kirov Orchestra)가 펼쳐내는 음색의 화려함은 곡의 몰입도를 높게 한다. 현재 국내에서 SACD 포맷으로는 유통이 원활하지 않은 점이 아쉬운데 비교적 최근 녹음으로서 노말 포맷의 음반으로도 충분히 표현력은 느낄 수 있다. 전통적 명연으로 프리츠 라이너와 시카고 심포니가 함께한 (RCA, 1960) 음반의 연주는 역동적이면서도 균형이 잘 잡혀 있으며 비교적 오래전 녹음이면서도 밝은 색채감이 두드러진다. SACD Hybrid 포맷으로 리빙스테레오 시리즈로 나와 있어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60. 보로딘 교향곡 2번 

> 러시아 5인조의 한 사람인 보로딘은 세 곡의 교향곡을 만들었다. 작곡가이자, 과학자이기도 했던 그는 발라키레프의 권유로 교향곡을 만들게 되었는데 이 계기로 훗날 보로딘은 국민주의 음악에서 새로운 교향곡의 전통을 구축한 작곡가로 인정받게 된다. 44세 때 만들어진 2번 교향곡은 그의 가장 잘 알려진 곡이자 바인가르트너에 의해 차이콥스키의 6번 교향곡 <비창> 과 비견되는 평가를 받게 되는 곡이기도 하다. 전체적으로 러시아의 웅대한 기운을 느낄 수 있는 곡이며 1877년 곡을 완성하여 초연했다. 전체 연주시간은 약 26분이며 4악장 형태이다. 



 

 


> 1악장 알레그로 b단조로 소나타 형식이다. 강렬하게 현이 묶여 제 1주제의 문을 연다. 목관의 연주가 뒤섞이고, 곡이 흐르다가 1주제를 반복하게 된다. 2주제는 첼로가 부드러운 선율로 노래하고 이어진다. 발전부에 이르러서는 1주제의 요소가 반복되며 재현부에서 격정적인 모습으로 변하며 악장을 마무리한다. 2악장 스케르초 프레시티모 F장조. 도입부의 혼을 중심으로 한 짧은 서주후 1주제가 목관악기로 나타나며 코다에서 조용히 트레몰로로 이어진 후 곡은 마무리 된다.  

3악장 안단테 Db장조. 전체적으로 3부 형식이다. 시작 부분은 하프의 반주에 클라리넷이 등장하고 이어 호른이 아름다운 선율을 연주한다. 이어 다양한 관악기의 연주로 곡은 조용이 마무리된다. 4악장 피날레 알레그로 B장조. 대체로 소나타 형식으로 볼 수 있다. 탬버린, 큰 북과 같은 타악기가 등장하며 화려하고 격정적인 피날레를 갖는 악장이다.  

 

 

* Top 추천반 + 클래식 음반 가이드 선정반 

 

Loris Tjeknavorian (conductor)
National Philharmonic Orchestra
RCA, 1977

 

 

 

 

 

Stephen Gunzenhauser (conductor)
CSR Symphony Orchestra (Bratislava)
Naxos, 198

 

 

 

 

 

Erich Kleiber (conductor)
NBC Symphony Orchestra
1947  

&
Carlos Kleiber (conductor)
SWR Radio-sinfonieorchester Stuttgart
1972, Hanssler

 

알렉산더 보로딘의 교향곡 가운데 유명한 이 곡을 담고 있는 음반은 다른 곡과 함께 담고 있는 경우와, 아니면 1-3번까지 전곡을 담고 있는 케이스로 나눠 볼 수 있다. 2번 곡만을 담고 있는 경우에는 클라이버 부자의 음반(Profil)이 여러 모로 흥미로움을 남겨 주고 있고 애호가들에게는 반드시 들어봐야 할 음반으로 꼽히고 있다. 보로딘의 교향곡 전곡을 담고 있는 음반은 체크나보리안(Loris Tjeknavorian)의 음반(RCA)이나 스테판 군젠하우저 (Stephen Gunzenhauser)의 낙소스 음반이 외국 비평잡지에서 높은 평을 받고 있는데 가격도 저렴하고, 비교적 쉽게 구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한편 콘드라신, 스베틀라노프가 만들어내는 강렬한 느낌의 음악도 보로딘의 이 곡에서 빛을 발하는 연주로 평가 받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59. 글린카 오페라 <루슬란과 루드밀라> 서곡 

 

> 러시아의 귀족이었으며 러시아 음악의 아버지라 불리는 글린카는 오페라와 관현악에서 획기적인 작품을 시도하고 만들어냈다. 베를리오즈의 대규모 관현악에 자극을 받았으며 스페인으로 건너가 <스페인 서곡>을 작곡하기도 했다. 스페인을 거쳐 러시아로 돌아온 후 러시아 정교의 전례가에 화성을 붙이는 시도를 하였고 다시 작품탐구를 위해 베를린으로 건너가기도 했는데 스승 덴을 찾아간 베를린에서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흔히 얘기하는 러시아 5인조가 글린카의 음악 정신을 받아 이어간 후계자들이기도 하다. 

글린카가 남긴 작품 가운데 가장 유명한 작품인 오페라 <루슬란과 루드밀라> 서곡은 경쾌하고 화려함이, 러시아의 매력적인 느낌과 같이 어울려 들리는 곡이다. 오페라는 푸시킨이 옛 민화를 소재로 쓴 풍자시를 바탕으로 글린카와 시르코프가 대본을 만들어 작곡한 것이라 한다. 오페라 속에서의 악상에 의한 곡이기 때문에 1842년 9월과 11월 사이에 만들어졌으며 글린카 자신의 얘기로 리허설을 하는 동안 틈틈이 연출가실에서 작품을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다. 
 



* <루슬란과 루드밀라> 서곡
 

 


> 곡은 약 5분 정도의 길이다. 소나타 형식으로 빠르게 지나가는 느낌의 첫 부분이 등장한다. 첫 부분은 프레스토 D장조로 1주제는 모든 악기가 동시에 같은 리듬을 연주하는 튜티로 시작한다. 이어 루슬란의 노래하는 듯, 아리아에서 가져온 2 주제가 등장하고 발전부를 거쳐 다시 경쾌한 재현부로 들어간다. 화려한 끝맺음으로 힘차게 끝이 나는 밝은 느낌의 곡이다. 

   

 

 

* Top 추천반 + 클래식 음반 가이드 선정반

 

Vassily Sinaisky
BBC Philharmonic Orchestra

2000, Chandos

 

 

 

 

Evgeny Svetlanov (conductor)
Bolshoi Theatere Orchestra

1963, Regis

 

 

  

이 곡을 담고 있는 음반의 수는 그리 많지 않다. 또한 이 곡을 포함하여 클린카의 관현악곡을 포함하고 있는 형태가 많은데 이런 점에서 바실리 시나이스키 (Vassily Sinaisky) 와 BBC 필하모닉의 음반을 추천할 만하다. 녹음도 비교적 최근(2000년) 이며 다양한 형태의, 글린카의 곡을 들어 볼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다.  한편 게르기에프, 므라빈스키, 페도세프등 보다 개성적인 연주가 담긴 음반도 고려해 볼 수도 있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58. 라벨 : 스페인 랩소디 외 

 

> 근,현대 프랑스 음악을 대표하며 특징 있는 음악을 구사하는 작곡가 라벨의 작품은, 두 곡의 피아노 협주곡이 대표적이지만 관현악곡과 피아노 독주곡과 같은 작품도 음악적 효과와 색채가 뚜렷한 명곡이다. 스위스 국적을 가진 아버지와 스페인 계통의 어머니 아래에서 태어난 그는, 고전적 형식과 과감한 화성을 통해 독자적인 스타일을 만든 작품을 남겼다. 앞서 살펴본 피아노 협주곡 이외에 교향시 [스페인 랩소디], 무곡 [볼레로] , 피아노곡 [물의 유희(물의 장난)], 피아노곡 [밤의 가스파르], 관현악 편곡작품인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 [전람회의 그림] 등이 또한 유명하다.


* 대표적이며 많은 사랑을 받는 작품들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스페인 랩소디]

19세기 프랑스의 이국적인 모습의 스페인적인 특징, 라벨이 흠모했던 두 작곡가인 샤브리에와 림스키 코르사코프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이 이 곡들에 대한 평이다. 그의 나이 32살에 만들어진 작품으로 정밀하며, 이색적인 색채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1곡 밤의 전주곡(prelude a la nuit), 2곡 말라게냐(Malaguena), 3곡 하바네라(Habanera), 4곡 축제(Feria) 으로 이어진다.

 


[밤의 가스파르]
피아노 독주곡인 이 곡은, 19세기 시인 베르트랑(A. Bertrand, 1807-1841)이 남긴 3편의 시에 의한 영향으로 만들어진 작품이다. 음악세계 라벨편에 따르면 라벨 자신은 발라키레프의 [이슬라메이]를 지적하며 이보다 더 어려운 곡을 쓰겠다고 공언한만큼 난곡으로 유명하다. 1곡 옹딘(Ondine), 2곡 교수대(Le Gibet), 3곡 스카르보(Scarbo) 로 이어진다. 

 


[전람회의 그림]
피아노 독주곡으로 유명한, 모데스트 P. 무소르그스키가 작곡한 독주곡을 라벨이 관현악용으로 편곡한 음악이다. 원곡의 편곡자로는 다양한 사람들이 있으나 라벨의 편곡은 매우 높은 인기를 얻고 있다. 이 까닭은 화려하고, 원곡에 충실하면서도 세련된 느낌을 주는 작품에 기인한다. 1922년 10월 쿠세비츠키의 지휘로 초연이 이뤄졌다.

 

 

[볼레로]
볼레로는 스페인에서 유행하는 춤곡으로, 라벨이 만년(1928년)에 쓴 작품이다. 연주시간은 약 15-16분으로 처음부터 보통 빠르기로 선율과 리듬이 일정하게 반복되는 특성을 갖고 있다. 하지만 같은 멜로디가 다양한 악기의 쓰임, 크레센도로 이어지는 흐름등이 점점 고조되며 곡의 흐름을 이어간다. 작곡의 배경에는 러시아의 전위적인 무용가 이다 루빈스타인 (Ida Rubinstein)의 의뢰로 작곡한 곡이다.  

 

  

* Top 추천반

  

Charles Dutoit (conductor) 
Orchestre symphonique de Montreal

1982, Decca 

 

 

 

Louis Lortie(piano)
1988, Chandos 

 




관현악곡의 음반으로는 장 마르티농(Jean Martinon)의 EMI 음반 , 앙드레 클뤼탕스(Andre Cluytens)의 EMI 음반, 그리고 샤를 뒤트와가 몬트리올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함께한 음반(Decca)을 추천할 만하다. 모두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라벨의 다채로운 곡을 들어볼 수 있다. 또한, 라벨의 세헤라자데나 어미 거위의 음반을 선택하고 싶다면 앙세르메(Decca)와 파보 예르비(Telarc)의 음반을 주목해도 좋다.  

한편, 독주곡에서는 음질 좋고 가격도 저렴하며 무엇보다 안정적인 연주로 곡을 이끄는 루이 로르띠(Louis Lortie)의 음반을 우선으로 추천할만하여 아르모니아 문디에서 주목할만한 결과물을 내놓았던 알렉상드르 타로(Alexandre Tharaud)의 연주도 애호가들에게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