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죽음이란 무엇인가 - 생각의창 1
한국종교학회 엮음 / 창 / 2001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죽음은 곧 삶이요 열반 (정승석 저)'을 읽고 |
"죽음은 곧 삶이요 열반 (정승석 저)"을 읽고 한국종교학회 편, '죽음이란 무엇인가'(도서출판 창, 2001), p.73∼99.
'알면 사랑한다'는 말이 있다. 어떤 대상에 대한 편견에서 벗어나 깊이 알면 알수록 그 대상을 존중하고 사랑하게 되면서 동시에 자기 자신도 더 사랑하게 된다1)는 의미인 듯하다. 이 잠언은 종교 간의 이해에 있어서 더욱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일반적으로 개종교들은 자기 종교의 교리에 대한 절대적 신념과 타종교에 대한 무지로 인해 타종교에 대한 편견에 빠지기 쉽다. 이로 인해 서로의 모습을 열린 마음으로 만나고 서로 간의 차이를 통해 배우며, 이를 통해 더욱 자기다워질 수 있는 기회를 상실하고 만다. 이보다 더 큰 문제는 그런 편견을 근거로 상대를 정죄하고 무시하며 심지어 극단적인 반목에 이르기도 한다는 점이다. 그래서 이런 문화간, 종교간 충돌의 문제를 지니고 살아가는 현대에서 서로를 알고 사랑하게 되는 것은 더욱 중요한 일이다. 이런 문제의 맥락 속에서 '죽음은 곧 삶이요 열반'이라는 정승석의 글은 더욱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 글이 불교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고치고, 이를 통해서 불교에 대한 바른 이해를 전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정승석이 다루려는 오해는 '불교가 속세의 고뇌로부터 초연한 삶을 강조하기 때문에 죽음에 대해서도 큰 관심을 두지 않을 것이고, 불교가 '죽음이 곧 열반'이라고 보기 때문에 죽음을 추구하는 종교로서 허무주의일 것이라는 일반적인 생각이다. 그리고 죽음에 대한 불교의 이해를 바르게 전함으로서 불교의 궁극적 인식인 '생사즉열반(生死卽涅槃)'에 대한 바른 이해를 전하고자 한다. 불교가 바라보는 죽음을 잘못 이해하기 때문에 생사즉열반의 진리에 대해서도 오해하게 된다는 것이다. 저자는 이를 위해서 불교가 이해하는 죽음, 죽음에 대한 접근방식과 극복방식을 '죽음에 대한 붓다의 태도', '죽음의 정의와 상태', '죽음의 종류', '죽음의 과정', '죽음의 극복'을 분석함으로써 살펴본다.
[ 죽음에 대한 불교의 이해 ] 이 책을 통해 불교는 죽음 그 자체의 정체와 정면대결하여 죽음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비문제화시켜 버리려는 독특한 방식으로 죽음의 문제를 해결하는 특징을 알 수 있다. 즉, "불교는 죽음이라는 실체를 인정하고서 어떻게 죽음을 극복할 것인가라는 방향을 걷지않고, 죽음이라는 실체를 근원적으로 부정해 버림으로서, 죽음이란 없는 것이라고 깨달음으로서 죽음을 극복하려는 종교"5)라는 것이다. 이런 불교에 있어서 죽음은 존재가 변해가는 변화의 한 부분으로써, 고정된 실체가 아니고, 존재의 사라짐, 단멸(斷滅)도 아니다. 물론 단순하게 새로운 세계로 도약해 가는 가능성의 과정만도 아니다. 오히려 무상한 변화의 과정인 죽음을 새로운 차원으로 바라보는 체득을 통해서 넘어서야 한다. 죽음을 바라보는 불교의 이런 관점의 특징을 정리해 보면, 첫 째, 불교가 죽음의 문제에 접근해 가는 방식은 대단히 구체적이고 실재적인 현상에서부터 시작한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죽음에 대한 막연한 불안이나 두려움, 또는 죽음에 대한 신화적 이해나 신비한 이해의 방식이 아니라, 죽음이 어떤 과정으로 일어나고, 그 종류는 어떻게 분류되며, 그 각각의 의미는 무엇인지에 이르기까지 현실적인 것을 대단히 복잡하고 체계적으로 접근해간다. 이런 측면은 죽음 문제의 해결에 대해서 불교가 얼마나 철저하고 현실적인지를 보여준다. 죽음의 문제를 단순히 내세에서의 영원한 삶이나 윤회로 떠넘김으로써 회피하는 방식처럼 형이상학적이기만 한 공허한 방식들과는 너무나 다른 방식이다. 둘 째, 죽음의 문제를 생명과 삶의 문제와 깊이 연관시키는 점이다. 生卽死 死卽生의 관점에서 드러나듯이 죽음을 생명과 단절되고 대립적인 것으로 바라보면서 터부시하지 않고, 오히려 생명이 죽음으로부터 기원한다고 볼만큼 죽음의 의미를 적극적으로 재해석해낸다. 이것은 죽음을 극복하고 파괴하려고만 하는 두려움과 욕심의 문제를 안고 있는 현대의 미숙함을 향해서 중요한 깨달음을 전해준다. 발전과 확대만을 중요시하는 현대의 문명은 죽음을 생명의 적으로만 보면서 파괴하려고만 하여 오히려 모든 생명에 있어서 자신을 내어주는 죽음의 성숙이 지닌 근본적인 의미를 상실하게 하여 오히려 죽음을 재촉하는 어리석음을 범하고 있고, 이것은 생태문제나 소비문화 등의 여러 문제로 전지구적 생명의 그물에 치명적인 상처를 내고 있다. 이런 문제 앞에서 불교는 오히려 죽음이 궁극적 의미와 삶 속에서 죽음을 깊이 품고 이로 인해 오히려 삶이 풍성해지는 성숙함을 보여준다. 이것은 또한 불교가 죽음의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서 '죽음의 의미와 현상에 대해서 철저히 이해하려는 염사(念死)를 중시'한다는 세 번째 특징을 보여준다. 사실 우리 문화는 죽음의 문제를 가장 극단적인 타부로 여기면서 들춰내는 것을 꺼리는 경향이 있는 듯하다. 건물의 4층을 F로 하거나 무덤을 가능한 한 멀리 두려는 등의 모습은 이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죽음에 대한 막연한 불안과 두려움으로 회피하려고만 하고 죽음에 대해서는 알 수 없고, 생각한다고 어떤 대답이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섣부른 판단으로 죽음에 대해 생각하는 것조차 무시한다. 그러나 죽음을 바로 직면하고 마주하는 삶이 아니라면 문제가 있는 삶이라는 누군가의 말처럼 불교는 우리 삶에 피할 수 없는 죽음을 깊이 마주하고 뚫고 나아가는 일이 오히려 삶을 더욱 풍성하게 해주는 가장 중요한 일임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네 번째는 이런 복잡하게 보이는 생각의 결이 모두 삶의 문제에 대한 해결에 실천적으로 집중되어 있다는 점이다. 죽음의 현상, 종류, 과정 등의 내용이나 극복의 방법 등을 얕게 보면 대단히 사변적이고 공허한 듯이 보이고, 죽음과 그 이후 세계에 대한 보편적 진리를 정립하고 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이 모든 가르침은 인간이 처한 죽음의 절박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하는 구체적인 실천의 문제로 집중되어있다. 그래서 지적인 논증이나 설득보다는 내적인 체험을 통한 체득을 강조한다. 물론 이런 면이 일상을 살아가는 우리 이웃에게 얼마나 체득될 수 있을지는 의문이지만 그럼에도 그 궁극적 의도의 방향성만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기에 충분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