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락과 비상
숨막히는 여린 떨림을 견디지 못하고 매일밤 바위산을 오르던 시절이 있었다. 그렇게 오래동안 벼랑끝을 서성이던 그 시절 세 번의 우연이 칙 코리아의 음악 만나게 했다.
라디오 공개방송에서 어느 가수가 자신이 가장 존경하는 뮤지션의 이름으로 칙 코리아를 이야기했을 때 스치듯 들었던 첫 번째 우연. 답답한 마음의 바닥에 가닿을 때면 무작정 레코드 가게에 가서 처음 보는 앨범 중에 아무렇게나 끌리는 음반을 사고는 그 우연에서 만나는 설레이는 의미를 기대했던 습관이 있었다. 그렇게 목마름을 달래려 레코드 가게에 들렸다가 칙코리아 앨범을 만났던 두 번째 우연. 그런데 친구를 사귀듯 조심스럽게 틀어본 칙코리아의 음악은 피아노와 드럼과 베이스가 난잡하게 뒤엉킨 선율을 토해내는 것만 같았다. 이번엔 완전히 잘못 선택했구나 하는 실망이 있었지만 왠일인지 그 뒤로 가끔씩 별 생각없이 그 음반을 틀어놨던 세 번째 우연.
그렇게 무심결에 틀어놨던 칙코리아의 음악이 어느 순간 내게 너무나 다른 느낌으로 다가오기 시작했다. 그 난잡함과 복잡함이 중력의 힘을 받아들이면서도 오히려 그 힘을 타고 자유롭게 노니는 나비의 날개짓 같이 느껴지기 시작했다. 정해진 코드와 선율의 틀이 있지만 그것에 고착되지 않고 각 악기마다 자신들만의 자유로운 감정을 따라 노닐며 다른 악기의 날개짓과 함께 어울어지는 자유가 어느 순간 내 가슴 깊이 스며들어버렸다. 그렇게 Jazz에 대한 나의 첫사랑이 시작된 것이다.
칙 코리아의 연주는 내게 추락의 틈을 뚫고 도약해나가는 비상의 이미지를 그리게 했다. 추락하는 존재자들은 중력의 힘으로부터 벗어날 수 없다. 허나 그 절대적 힘으로부터 벗어날 수는 없지만 추락의 절망에 함몰되지 않고 새로운 가능성으로 도약할 수도 있다. 떨어지는 속도가 불러들인 바람을 타고 획일적인 직선에서 일탈하며 자신만의 곡선을 그려낼 수 있는 것이다. 그 과정에는 추락의 절망을 타고 노니는 역설적인 자유와 자신만의 영혼이 깃들 수 있다. 이렇게 칙 코리아의 음악을 통해 만난 Jazz는 추락 속에서 비상하는 도약의 미학이 아니었을까?
# 그 때 들었던 음반을 찾을 수 없어서 다른 곡을 링크시킵니다.
# Chick Corea, "Now He Sings, Now He Sobs"(1968)에서 [My One and Only 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