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에서 니체의 <비극의 계보>를 읽게 되어 오랜만에 니체 전집에 손을 댄다. 이제껏 강의에서는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주로 읽었고, <도덕의 계보>도 한번 다룬 기억이 있다. 내년 스위스문학을 진행하게 되면 니체 강의도 보강이 필요하다. 초기와 후기 저작을 제외하면 니체의 주요 저작은 이렇다(제목은 전집판 기준).

<비극의 탄생>(1872)
<반시대적 고찰>(1873)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1878)
<아침놀>(1881)
<즐거운 학문>(1882)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1883-1885)
<선악의 저편>(1886)
<도덕의 계보>(1887)

아래 네권은 전집판으로 한권에 묶여있다.

<바그너의 경우>(1888)
<우상의 황혼>(1888)
<안티크리스트>(1888)
<이 사람을 보라>(1888/1908)

그리고 <권력의지>(혹은 <권력에의 의지>)로도 출간된 유고들.

이 가운데 마침 이번에 새 번역본이 나오기도 해서 <비극의 탄생>과 함께 <아침놀>을 손에 들었다. 예전 청하판 전집에선 <서광>으로 나왔고 그 제목으로 더 친숙한데 대세가 <아침놀>이라 그에 적응해야 할듯. 니체에 관한 책은 너무 많이 갖고 있어서 틈틈이 솎아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세학자이자 감정사학자 바버라 로젠와인의 신간(2021)이다. 원제는 <사랑>인데, 사랑이란 판타지의 역사를 다룬다는 의미에서 번역본 제목이 그렇게 정해진 것 같다. 프루스트 강의에 참고하려 구입했다. 앞서 나온 <분노>도 챙겨놓아야겠다...

나는 오늘날 사람들이 사랑을 무엇이라 생각하는지, 과거 사람들은 사랑이 무엇이라 생각했는지를 이해하고 싶고, 그 서사 속에 여성들을 포함시키고 싶다. 나는 ‘실제‘ 인물들과 그들이 자신의 사랑을 어떻게 이야기했는지를, 더불어 우리가 정교하게 만들어내고 붙드는 사랑의 판타지에 흔히 뼈대 역할을 하는 창작물들을 나란히 언급하고 싶다. - P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로쟈 > 영국 계몽주의와 근대 세계

3년 전 페이퍼다. 프랑스 계몽주의 강의를 진행하고 있는데 여름학기에는 영국 계몽주의와 18세기 소설도 다루려 한다. 올해의 강의 목표 가운데 하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가르시아 마르케스를 남미문학 강의때마다 다루면서 거의 전작을 읽게 되었다. ‘거의‘라고 단서를 붙인 건, 절판된 작품들이 있기 때문. 대표적으론 <사랑과 다른 악마들>과 <미로 속의 장군>이 그렇다.

장르적으로 마르케스의 책은 장편소설과 중편소설, 단편소설집, 논픽션 등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전작읽기의 대상이 되는 건 장편 6편과 중편 4편, 합해서 10편이다. 이것을 발표 연대순으로 나열하면 이렇다(제목은 번역본을 따른다. *표시는 절판본이다).

<썩은 잎>(1955, 중편)
<아무도 대령에게 편지하지 않다>(1961, 중편)
<더러운 시간>(1962)*
<백년의 고독>(1967)
<족장의 가을>(1975)
<예고된 죽음의 연대기>(1981, 중편)
<콜레라 시대의 사랑>(1985)
<미로 속의 장군>(1989)*
<사랑과 다른 악마들>(1994)*
<내 슬픈 창녀들의 추억>(2004, 중편)

대략 어림해서 8주 일정의 전작 강의를 진행할 만한데 <더러운 시간>은 제외하더라도 두 편이 빠져 있어서 현재로선 어렵다. 가장 번역이 까다로운 <족장의 가을>까지 재번역된 상황에서는 <미로 속의 장군> 같은 작품이 방치돼 있는 건 이해하기 어렵다. 다시 나오길 기대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3-01-13 12:51   URL
비밀 댓글입니다.
 

이탈리아의 저명한 정치철학자 로베르토 에스포지토(아마도 조르조 아감벤 이후 가장 중요하게 언급되는 이탈리아 철학자가 아닌가 싶다)의 책이 지난 연말에 처음 번역돼 나왔다. <코무니타스>와 <임무니타스> 두 권인데, 근간예정인 <비오스>와 함께 에스포지토의 삼부작을 구성한다고 한다. <비오스>와 신간 <사회면역>도 번역돼 나올 예정. 생명정치의 전반적인 소개로는 토마스 렘케의 <생명정치란 무엇인가>가 앞서 나왔었다. 















생명정치의 저작권 지분은 푸코와 아렌트, 벤야민 등이 나눠갖고 있지만, 현대정치의 핵심 화두로 끌어올린 공로는 아감벤에게 주어져야 할 것이다. 같은 이탈리아 철학자로서 에스포지토는 아감벤의 <호모 사케르> 시리즈와 어떻게 다른 시각으로 현대정치의 여러 문제들을 사유하고 있는지 이번에 번역된 저작들을 통해서 따라가볼 수 있겠다. 독서를 위해서 영어판들도 모두 구비해놓았다. 하지만 당장에 독서는 힘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