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랍에미리트를 문학기행차 찾을 일은 없을 듯싶지만 유럽행의 경유지로 지난번 두바이에 이어서 이번에는 아부다비에 들렀다. 환승대기 시간이 길어져 공항인근호텔에서 한숨 자고 맞은 아침. 아침비행기로 아테네로 향하기 전에(5시간남짓 소요) 공항에서 잠시 자유시간을 보내는 중이다.

환승공항에서 하룻밤을 보내는 것도 드문 일이어서 ‘아부다비의 밤은 깊어‘라고 적으려 했으나 장시간비행(인천공항에서 아비다비까지 9시간50분 소요) 탓에 어젯밤엔 바로 잠이 들었다. 조식은 호털방에 비치된 커피와 엊저녁 기내식으로 나왔던 모닝빵(버터)으로 대신하고 로비에서 일행과 조우. 어젯밤에는 알지 못했으나 호텔에서 공항까지는 연결통로가 있었다.

장시간 비행은 작년 11월 스페인문학기행 때의 기억(대기시간 포함 22시간. 기록이었다)이 있어서 당분간은 수월하다는 느낌을 갖게 될 듯. 10시간가량 수감체험을 한다는 기분이면 버틸 만하다(제때 식사와 음료가 제공되고 영화관람도 가능하니 고급 수감생활에 속한다). 어제 기내에서는 쉬엄쉬엄 망구엘의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를 읽다가 최근 개봉했던 아일랜드(배경) 영화 <이니셰린의 밴시>를 보았다. 한글자막 제공. 소개와 예고편만으로 감독 마틴 맥도나란 이름을 기억하게 만든 영화.

탑승시간이다. 대여섯 시간 뒤에는 아테네 상공에 가 있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중해문학기행차 인천공항에 나와있다. 터미널 집합시각은 오후 3시지만, 요즘 집에서 탈 수 있는 공항(행)버스가 하루 네차례밖에 운행하지 않아서 오전 10시반 차를 이용할 수밖에 없었다. 정오가 되기 전에 도착했는데 밀린 일이 있어서(오늘 마감인 원고) 먼저 처리하고 점심을 먹으려 한다. 아무려나 그렇게 또한번 문학기행이 탄생하려는 참이다.

편의시설이 갖춰져 있는 만큼 공항에서 시간을 보내는 일이 지루하진 않다. 첫 목적지인 그리스(아부다비에서 환승하여 내일 아테네로 들어가지만 아테네 관광은 크레타에 다녀온 뒤에 진행한다)와 관련한 아이템으로 어젯밤부터 부랴부랴 영화 <카잔자키스>(작가의 이름이 ‘카잔차키스‘로 통용돼 그렇게 적지만 영화는 <카잔자키스>로 개봉되었고 그게 현지 발음과 가까워보인다)를 마저 보았고(앞부분만 봤었다) 테오 앙겔로풀로스(1935-2012)의 영화(엘레니 카라인드루의 영화음악)들이 생각나서 챙겼다(기억의 창고에서 꺼냈다).

돌이켜보면 <안개 속 풍경>(1988) <율리시즈의 시선>(1995) <영원과 하루>(1998) 등을 극장에서 봤었다. 오래전이고 그러고 보니 2000년대 발표작들을 보지 못했다(<울부짖는 초원>을 포함한 삼부작이 있다). 시적인 미장센으로는 타르콥스키와 함께 최고 경지에 이른 감독이란 걸 다시 확인한다. 앙겔로풀로스의 자취를 찾는 건 이번 일정에 포함돼 있지 않지만 여하튼 크레타인의 시선(카잔차키스)과 함께 그리스의 시정도 느껴보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로쟈 > 초판본 햄릿 해프닝

3년 전에 적은 해프닝이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심술 2023-03-30 11: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안녕하세요, 로쟈님.
박완서 선생님의 세번째 창작소설집이 몇년에 어느 출판사에서 무슨 제목을 달고 나왔는지 궁금합니다.
나름 연보도 살펴보고 조사해 봤는데 모호해요.

1 부끄러움을 가르칩니다, 1976, 일지사
2 배반의 여름, 1978, 창작과비평사
3 ?
4 꽃을 찾아서, 1986, 창작사
5 저문 날의 삽화, 1991, 문학과지성사
6 너무도 쓸쓸한 당신, 1998, 창작과비평사
7 친절한 복희씨, 2007, 문학과지성사

두번째 소설집 ‘배반의 여름‘이 1978년이고 네번째 소설집 ‘꽃을 찾아서‘가 1986이니 그 사이 어딘가인데 후보가 될 듯한 책들이

ㄱ 꿈을 찍는 사진사, 1979, 열화당
ㄴ 엄마의 말뚝, 1982, 일월서각
ㄷ 지 알고 내 알고 하늘이 알건만, 1985, 창작과비평사
ㄹ 그 가을의 사흘 동안, 1985, 나남

등인데 이 가운데 제가 찾는 답이 있나요?
없다면 넷 다 창작소설집이 아닌 이미 단행본으로 발표된 다른 책에서 고른 선집일 테고요.

안녕히 계세요.

로쟈 2023-03-30 12: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엄마의 말뚝일거 같아요

심술 2023-04-01 15:04   좋아요 0 | URL
알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작가의 이름이 어떠해야 한다는 법은 없지만, 입에 잘 익지 않는 이름은 독자의 손에서도 멀리 있기 쉽다(나로서도 노벨상 작가나 노벨상급 작가여서 ‘압둘라자크 구르나‘나 ‘응구기 와 시옹오‘를 어렵게 기억한다). 그런 면에서는 미국문학의 ‘젊은 피‘라는 오테사 모시페그도 한국독자에겐 너무 멀어보이는 작가다(이름을 기억해두려고 페이퍼를 적는다).

1981년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출생. 바너드 칼리지에서 영문학을 전공하고 브라운대학교에서 문예창작 석사학위를 받았다니까 공부 잘하는 작가. 2015년에 첫 장편 <아일린>으로 주목받았고 2018년에 두번째 장편 <내 휴식과 이완의 해>도 호평을 얻었다. 그리고 2020년에 세번째 장편 <그녀 손안의 죽음> 발표. 이 세편이 모두 번역돼 있다. 미국문학의 유망주가 어떤 주제, 어느 정도 무게감의 작품을 쓰는지 궁금해서 챙겨놓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로쟈 > 본의 벚꽃, 교토의 벚꽃

6년 전 페이퍼다. 그 사이에 일본문학기행차 교토에 다녀왔지만 벚꽃이 진 뒤였고, 독일문학기행차 독일도 다녀왔지만 본은 동선에 없었다(어느 작가를 탓해야 할까). 두 도시의 벚꽃은 올해도 사진으로만 감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