움베르토 에코의 소설 <장미의 이름>을 읽은 독자는 많지만 그곳의 배경이 멜크수도원이라는 것까지 기억하는 독자는 드물다. 나 역시 그랬다. 사실 ‘중세의 한 수도원‘으로 기억해도 충분하다. 하지만 멜크수도원을 둘러본 이상 그 이름을 기억하지 않기도 어려운 일이다.

어제 빈에서 프라하로 이동하는 중에 오전에는 멜크수도원에 들렀고 오후에는 체스키크룸로프를 거닐었다. 점심식사는 크룸로프에서 체코식으로. 멜크수도원에 대한 첫인상은 두 가지인데, 굉장히 크다는 것과 아주 밝은 분위기라는 것. 날씨가 화창해서인지 몰라도 소설과 영화에서와 같은 어둡고 미스터리한 느낌은 손톱만큼도 없었다. ‘여기가 맞아?‘란 의심이 들 정도.

그다음 인상은 ‘이곳도 성이구나‘라는 것. 중세에는 영주의 성만 있었던 게 아니라 성직자들의 성도 있었던 것이니 외양은 다를지 몰라도 주변 마을 위에 군림하는 존재였다는 점에서는 차이가 없다. 둘다 권력의 형상인 것. 세속 권려고 종교권력. 서로 대립하기도 했지만 이 둘은 오랫동안 짬짜미를 하면서 중세의 지배체제를 구축했다. ‘‘수도원‘이란 우리말의 어감을 교정하게 해준 게 멜크수도원이었다.

주변 경관은 영주들의 성 못지않게 아름다웠고 전세계에서 찾아온 방문객(관광객)도 예상보다 많았다. 중국팀 외에 러시아인지 우크라이나인지에서 온 팀도 있었다. 유럽팀은 대부분 노인들로 구성돼 있었는데 가톨릭신자들의 순례지인지도. 몇장의 사진을 올려놓는다. 마지막 도서관 사진은 인터넷에서 가져온 것이다(멜크가 유명한 것은 도서관 때문인데 가이드에 따르면 장서수가 10만권에 이른다). 수도원은 내부 사진촬영이 금지돼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3년만에 프라하에 입성했다. <일생에 한번은 프라하를 만나라>가 3년전에 손에 들었던 책인데 이젠 ‘일생에 두번‘으로 수정해야겠다. 멜크수도원과 체스키크룸로프를 거쳐서(두 곳의 이야기는 나중에 따로 적어야겠다) 프라하에 도착한 게 이곳 시간으로 엊저녁이다. 한국식당 도쿄에서 비빔밥으로 저녁을 먹고 프라하의 야경을 보러 나섰는데 구시가지 광장을 거쳐서 카를교까지 다녀오는 동선이었다. 3년전에는 여름이었고 이번에는 가을이지만 사람들로 붐비는 것은 똑같았다. 비현실적인 느낌을 주는 야경도 그대로. 그래, 여기가 프라하였지. 우리는 지금 프라하에 있다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외국미술관을 다니다 보면 종종 뜻밖의 작품을 만날 때가 있다. 친숙한 작품이 ‘거기에‘ 딱 걸려 있을 때다. 예기치않은 곳에서 지인을 만나는 것 같다고 할까. 책 표지에도 곧잘 등장하는 ‘책읽는 소녀‘라는 그림이 그런 경우였다. 어제 벨베데레에서 마주친 소녀. 아니 소녀는 책을 들여다보고 있으니 내가 그녀를 엿보았을 뿐이다. 프란츠 아이블의 작품이란 것도 어제 알았다. 소녀와 화가 자신의 초상을 기념으로 찍었다. 멜크수도원으로 이동중에 포스팅, 이라고 썼지만 완료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지금은 멜크수도원 방문을 마치고 체스키크룸로프로 이동중이다, 라고 썼지만 접속이 잘 안돼 뒤늦게 포스팅한다. 현재는 프라하를 목전에 두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빈의 아침이 밝아오는 걸 보면서 떠올린 책은 임종대 교수의 <오스트리아의 역사와 문화>(유로서적)이다. 몇년 전에 오스트리아에 대해서 아는 게 없다는 생각이 들어서 구입해놓고 정작 읽지 못했다. 여행을 위해서 책을 읽지만 책을 읽기 위해서 여행을 하기도 한다. 만남이 모든 일의 계기가 되므로.

이틀의 경험이라 하더라도 빈의 주요 건축물에 얽힌 역사와 현재의 일상을 엿보고 나니 혼자서라도 친근함을 느끼게 된다. 언젠가 다시 빈을 찾을 일이 있을지 모르겠지만 그 전까지는 ‘오스트리아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서도 지식을 업그레이드 해놓아야겠다. 츠바이크의 <어제의 세계>도 마저 다 읽고. 사진은 어제 둘러본 슈테판 대성당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엔나의 아침은 오지 않았다. 이곳 시간이 새벽 5시 15분이어서 그렇다. 일어날 시간은 아니지만 잠이 깨는 바람에 불도 켜지 않고 ‘북플질‘(예전에 ‘서재질‘이란 말이 유행한 걸 좇아서). 클림트와 짝이 되는 에곤 실레를 제목에 적은 건 오늘의 여정에 체스키크룸로프가 포함돼서다.

빈에서 프라하까지는 버스로 이동하는데 중간 경유지로 오전에는 멜크수도원, 오후에는 체스키크롬로프를 들른다. 동선에 위치하고 있어서 넣은 일정이다. 멜크수도원은 움베르토 에코의 <장미의 이름>의 배경이다. 소설에서처럼 거대한 장서원이 유명한데, 책을 좋아하는 이들이라면 한번쯤 들러보고 싶어할 만한 곳이다. 나라고 빠지겠는가.

체스키크룸로프는 유명한 체코관광 코스의 하나로 경관이 무척 예쁜 곳이다(아름답다는 말보다 예쁘다는 말이 어울린다). 나로선 3년전 여름에 들렀던 곳이라 재방문이다. 그곳에 에곤 실레 미술관이 있다. 그의 외가쪽 고향이어서 세워진 기념미술관일 뿐 에곤 실레의 작품을 많이 소장하고 있는 건 아니다. 실레의 대표작들은 이곳 빈의 레오폴드 미술관에 있다. 하루쯤 더 묵는다면 미술사박물관과 함께 둘러보려고 했다. 사정이 허락하지 않았다는 뜻. 벨베데레궁전 기념숍에서 클림트 엽서와 함께 실레의 엽서를 여러 장 구입한 것으로 입막음성 마무리.

엊저녁 카페 프라하를 찾아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에곤 실레 전시 광고판이 있어서 기념삼아 한장 찍었다. 지난해인가 나온 영화 때문에 더 상기되는 듯한데 짧은 여정의 여행자에게 빈은 클림트와 실레의 도시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