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문학기행의 공식일정이 무탈하게 종료되고 공항으로 향하는 중이다. 도쿄대교를 건너면서야 도쿄가 항구도시라는 걸 새삼 확인한다. 도쿄항이 배경인 소설이 있다면 둘러보았을텐데(전지적 문학시점).
에치고유자와는 밤새, 그리고 아침까지도 계속 눈이 내렸다. 1박2일의 짧은 설국기행이었지만 설국의 정취를 만끽할 수 있어서 좋았다. 눈이 많이 내린 그제와 오늘 사이, 어제 설국 일정을 소화했다는 것도 행운이었다. 눈이 쌓였지만 맑은 날씨였기에 목표한 장소들을 차질없이 가볼 수 있었다. 날씨가 변수라고 생각한 문학기행이었는데 염려가 무색할 만큼 날씨가 맞춤하고 좋았다.
에치고유자와를 떠나 예상대로 3시간쯤 내달려 도쿄도심으로 되돌아왔고, 버스에서 하차해서는 소세키 탄생지(표석이 서 있다)를 거쳐서 소세기 산방(나쓰메 소세키 기념관)을 찾았다. 한번 와본 곳이지만 한국어 오디오가이드가 그때도 있었던지는 기억나지 않는다. 아무튼 전시내용이 뭔가 더 충실해진 것 같았다. 소세키 산방의 여러 방과 전시물들을 둘러보고 기념관 바깥에 있는 동상 앞에서 단체사진을 찍었다. 공식 문학일정이 모두 종료되는 순간이었다.
일행은 도쿄이학대학 주변 분식점에서 점심을 해결했다. 원래는 수요일 점심을 먹으려던 곳인데 일정이 바뀌면서 마지막날 점심식사가 되었다. 이어서 향한 곳은 롯폰기의 국립신미술관인데 건축가 구로카와 키쇼의 작품이라는 미술관 자체가 ‘작품‘이었다. 자유시간을 가졌는데 나는 건물을 좀 둘러보고 카페에서, 진행을 함께한 스탭들과 커피를 마시는 쪽을 택했다. 인청공항에 무탈하게 도착해야 여행이 종료되는 것이지만 일본에서의 일정을 큰탈없이 마무리해 다행스럽다.
2차 일본문학기행을 기획한 데는 개인적인 욕심도 있었다. 지난번에 일본근대문학관을 방문하지 못한 것이 걸렸던 것인데, 이번에 그곳은 물론 가마쿠라 해변과 엔가쿠지도 찾아가볼 수 있어서 좋았다. 다시 찾은 에치고유자와는 한번 찾았던 곳임에도 더 매력적으로 느껴졌다. 가와바타 야스나리가 예닐곱 차례나 찾은 것도 그 매력과 무관하지 않겠다.
로쟈와 함께하는 문학기행은 올해 일본문학기행으로 스타트를 끊었고 2월에 한국문학기행(목포/여수), 그리고 4월의 오스트리아문학기행(+슬로베니아와 헝가리),10월의 중국문학기행(청두, 베이징, 상하이)으로 계속 이어질 예정이다. 작가와 문학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 문학기행의 발걸음은 멈추지않고 계속되리라는 것이 마음가짐이다. 부디 그렇게 되기를...
![](https://image.aladin.co.kr/product/17034/90/cover150/k872534789_1.jpg)
![](https://image.aladin.co.kr/product/24790/62/cover150/k662633814_1.jpg)
![](https://image.aladin.co.kr/product/9817/84/cover150/8937429098_1.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117/pimg_7537481534573280.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117/pimg_7537481534573281.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5/0117/pimg_7537481534573282.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