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제목 작성일
북마크하기
역사교육으로 읽는 한국현대사 ( 공감5 댓글0 먼댓글0) 2013-10-05
어느덧 주말 오후다. '이주의 책'을 골라놓는다. 타이틀북은 김한종 교수의 <역사교육으로 읽는 한국현대사>(책과함께, 2013)다. '국민학교에서 역사교과서 파동까지'가 부제이고, 그 파동 때문에 시의에 딱 맞는 책이 됐다. 저자는 역사교육과(서울대)를 나와서 역사교육과(한국교원대)에서 강의를 하고 있으니 '역사교육'에 관한 한 최고의 적임자라 ...
북마크하기
미국은 세계를 어떻게 훔쳤는가 ( 공감11 댓글0 먼댓글0) 2013-10-03
미국사 관련서가 한꺼번에 여럿 출간됐기에 리스트로 묶어놓는다. 강준만 교수의 <미국은 세계를 어떻게 훔쳤는가>(인물과사상사, 2013)는 '주제가 있는 미국사'가 부제. 17권에 달하는 <미국사 산책>을 이미 완간한 만큼 '주제별 미국사'는 얼마든지 가능할 듯싶다(띠지로 보아 네이버에 연재도 됐던 모양이다). 안효상의 <...
북마크하기
대니얼 데닛 읽기 ( 공감9 댓글0 먼댓글0) 2013-10-01
인지과학 내지 심리철학의 '고전'급에 해당하는 책이 번역돼 나왔다. 대니얼 데닛의 <의식의 수수께끼를 풀다>(옥당, 2013). 데닛의 대표작으로 원저는 1991년에 출간됐다. "이 책은 신경생물학자, 인지심리학자, 인공지능학자와 수년 동안 교류하고 협력한 결과물이다. 이해하기 쉽지만 진부하지 않고, 재치 넘치지만 진지하며, 정보로 가득하지만 사...
북마크하기
니코마코스 윤리학 읽기 ( 공감13 댓글0 먼댓글0) 2013-09-30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숲, 2013)이 천병희 선생의 번역으로 새로 나왔다. 이제이북스에서 처음 나오고 길에서 개정판으로 출간된 <니코마코스 윤리학>(길, 2011)과 함께 두 종의 원전 번역본을 갖게 된 셈. 주문한 책은 아직 못 받았지만, 미리 리스트를 만들어놓는다. 올해 플라톤의 주요 대화편들을 강의에서 읽고 있는...
북마크하기
성장 없는 번영 ( 공감14 댓글0 먼댓글0) 2013-09-28
강의차 지방에 내려가기 전에 '이주의 책'을 골라놓는다. 추수의 계절에 부응이라도 하려는 듯 책이 많이 나왔다. 그 가운데 개인적인 관심사와 시의성을 고려하여 다섯 권을 골랐다('이주의 저자'로 돌릴 책은 제외한 것이다). 먼저 타이틀북은 팀 잭슨의 <성장 없는 번영>(착한책가게, 2013)이다. 부제는 '협동조합과 사회적 경제를 위한 생태거시경...
북마크하기
과학혁명의 구조 읽기 ( 공감10 댓글0 먼댓글0) 2013-09-26
과학철학의 고전적인 저작, 토머스 쿤의 <과학혁명의 구조>(까치, 2013)가 50주년 기념판으로 다시 출간됐다. 두 가지가 달라졌는데, (1)저명한 분석철학자이자 토머스 쿤의 패러다임 이론을 푸코의 사회과학 이론에 접목시켰다는 평가를 받는 과학철학자 이언 해킹이 쓴 서론이 추가됐고, (2)서울대학교 홍성욱 교수가 공동 역자로 참여하여 번역을 새...
북마크하기
헤르만 헤세 선집 ( 공감16 댓글0 먼댓글0) 2013-09-23
현대문학사에서 출간하는 '헤르만 헤세 선집'이 완간된 듯싶다. 올초에 <데미안>을 필두로 11권이 나올 예정이라고 했는데, 이달에 <페터 카멘친트>와 <유리알 유희>, <잠 못 이루는 밤> 세 권이 추가돼 12권이 됐다. 예정보다 한권 더 나온 셈. 대부분이 중복 번역된 작품들이지만, 한자리에 모아놓는 의미가 있겠...
북마크하기
경제이론으로 본 민주주의 ( 공감13 댓글0 먼댓글0) 2013-09-20
'이주의 책'을 골라놓는다. 타이틀북은 앤서니 다운스의 <경제이론으로 본 민주주의>(후마니타스, 2013)이다. "정당론 분야의 고전 중의 고전. <경제 이론으로 본 민주주의>는 사회과학 분야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책 가운데 하나"라고 소개되는 책. '합리적 행위자'라는 경제학의 가정을 정당정치에 적용했다고. <민주주의...
북마크하기
바디우와 지젝을 만나다 ( 공감9 댓글0 먼댓글0) 2013-09-16
이미 예고된 일이지만 프랑스 철학자 알랭 바디우가 슬라보예 지젝과 함께 내한한다. 지젝은 세번째이지만 바디우는 첫 방한이다. 행사의 전반적인 일정과 의의에 대해서는 주선자인 이택광 교수의 소개글을 참고할 수 있다(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236&contents_id=36364). 행사를 계기로 바...
북마크하기
절망의 인문학 ( 공감11 댓글0 먼댓글0) 2013-09-14
'이주의 책'을 골라놓는다. 타이틀북은 오창은의 <절망의 인문학>(이매진, 2013)이다. 발행일은 8월말로 돼 있지만 이주에 선을 보였다. '반제도 비평가의 인문학 현장 보고서'가 부제. "한국 인문학 현장 보고와 심층 인터뷰, 비평문 형식으로 구성돼 있다." 얼 쇼리스의 <희망의 인문학>을 염두에 둔 제목은 중의적이다. "당당하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