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의 통상적인 일과의 하나로 새로 나온 책들의 면접을 보다가 다시금 강의와 관련한 책들을 읽는다(페이퍼를 몇개 쓰려다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될 듯하여 무리하지 않기로 한다. 내킬 때 하는 수밖에). 톨스토이와 도스토예프스키, 헤밍웨이, 그리고 지젝과 하루키. 피츠제럴드와 헤세에 대해서도 보충할 게 있지만 필요한 책이 바로 눈에 띄지 않아서 일단 보류.
하루키에 관한 책 가운데 임경선의 <어디까지나 개인적인>(마음산책)을 읽다가 재즈카페 주인장으로서 하루키가 했다는 말을 옮긴다. 아마도 에세이 어디에선가 읽은 듯한 말이기도 하다. 가게 단골손님들이 생길라치면 그는 이런 말을 던지고 싶어 했다. ˝이거, 어쩌죠? 정말 죄송하게 되었네요. 실은 저희 곧 이사간답니다.˝
보란듯이 이사를 갈 수 있다면 좋겠지만 다만 말로라도 한방 먹여보는 것이겠다. 하루키는 그런 말이 주는 쾌감을 좋아했다고. 이 또한 ‘하루키적인 것‘의 목록에 포함시킬 만한데, 하루키의 독자가 된다는 것은 그런 감정이나 태도에 공감하고 맞장구치는 것이겠다. 그렇게 이사한 가게에까지 여차저차하여 손님이 쫓아온다면? 하루키식 대처법은 이렇다. ˝저도 심기일전해서 새로운 곳에서 새롭게 시작할 테니까 여러분도 심기일전해서 힘내주십시오.˝
문득 떠올린 건 이 서재도 언제까지 유지해야 하는가란 의문이다. 30대에 시작한 일을 50대에 이르도록 못 끊어도 되는 일인가 싶어서다. 독서야 평생의 일이라지만 ‘블로거‘ 노릇은 언제까지 해야 할까. 마땅한 선례가 없어서 판단하기 어렵다. 내년이면 아마 알라딘 창업 20주년이 되는 성싶은데 그것도 하나의 매듭이다. 적당한 시기에 자리를 내주고 새로운 시작을 해보는 것도 좋겠다.
책들이 잔뜩 펼쳐져 있는 식탁에 ‘독일에서 가장 유명한 심리학자‘라는 에바 블로다레크의 <외롭지 않다고 말하는 당신에게>(문학동네)도 놓여 있다. 독일에서도 이런 책이 베스트셀러인가 보다. 원제도 그런지는 모르겠는데, ‘솔직하고 다정하게 내 안의 고독과 만나는 법‘이 부제다.
잠시 책을 펼치니 ‘부모 자아‘ ‘어른 자아‘ ‘어린아이 자아‘란 개념이 나온다. 미국의 정신의학자 에릭 번의 개념으로(교류분석 모델의 창시자라 한다), 우리 각자의 자아는 이 세 가지 자아 상태로 구조화돼 있다고. 부모 자아는 다시 비판적 부모 자아와 양육적 부모 자아로 나뉘고, 어른 자아는 객관적, 어린아이 자아는 순응적이다. 오랜 습성을 바꾸려고 할 경우에는 양육적 부모 자아나 객관적 어른 자아의 태도를 가지고 순응적 어린아이 자아를 잘 위로해 주어야 한다고.
생각해보니 이사 문제도 그러하다. 자립과 분리의 문제도 그렇고. 익숙한 것과 작별하기 위해서는 위로와 격려가 필요하다. 언젠가는 떠나는 날이 올 것이다. ˝여러분도 심기일전해서 힘내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