랑시에르 안의 불편함
뉴레프트리뷰 랑시에르 논문 정오표

'랑시에르 안의 불편함'에서 제기한 오역 문제에 대해 역자인 balmas님이 정오표를 작성해 올려주신 적이 있는데, 그게 기사화되었다. 이번 '오역 논란' 사례에서 역자가 보여준 태도가 '올바른 번역 문화의 확립'에 좋은 선례가 되리라는 것이 기자의 판단이다. 대놓고 불편함을 토로하여 '악역'을 맡긴 했는데, 좋은 선례가 될 수 있다고 하니까 보람이 없지는 않다. <뉴레프트리뷰>에 국한하더라도 앞으로 나올 2권부터는 보다 주의 깊게 교정된 책을 읽을 수 있을 테니까...   

교수신문(09. 03. 09) 알라딘 블로그의 ‘오역 논란’이 유쾌한 이유 

마르고 닳도록 강조되는 번역의 중요성과 마찬가지로 오역에 대한 지적도 끊이지 않았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특히 오역의 당사자로 주목된 역자들이 ‘나 몰라’ 식으로 대응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런 상황에서 한 역자가 자신의 오역에 대해 개인 블로그를 통해 사과하고, 정오표를 올려 작은 화제가 되고 있다. 사건의 발단은 유명 인터넷 논객인 로쟈의 알라딘 블로그에서 시작됐다. 지난달 20일 로쟈는 자신의 블로그에 얼마 전 출간된 『뉴레프트리뷰(페리 앤더슨 외 지음, 진태원 외 옮김, 도서출판 길)』의 번역을 문제 삼고 나섰다. 로쟈가 문제 삼은 논문은 랑시에르의 ‘미학 혁명과 그 결과-자율성과 타율성의 서사 만들기’인데, 진태원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연구교수가 번역한 논문이었다.  

진태원 연구교수는 ‘FTA반대Balmas’라는 알라딘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데리다, 알튀세르의 책도 번역한 연구자로 유명하다. 특히 평소 이런저런 지면을 통해 프랑스어 철학서의 오역에 대한 문제를 날카롭게 지적해, 번역비평에 대해서는 일군의 독자들에게 신망이 높았다. 그런데 그가 편집위원으로까지 있는 책에 번역한 논문이 형편없는 오역 투성이었다는 점을 로쟈가 하나하나 짚어낸 것이다.

로쟈는 'configuration'의 역어로 역자가 채택하고 있는 ‘공형상화’라는 단어가 한국어가 아니라는 지적에서부터 물꼬를 틀었다. 문맥상 그림 장식의 ‘주제’를 의미하는 ‘subject’를 주체로 옮긴 것도 매끄럽지 못한 번역이라는 지적이다. 말라르메에 대한 구절에서 ‘unfolding of a fan’은 ‘선풍기의 회전’이 아니라, ‘부채 펼치기’라는 언급도 잇달았다. 

베테랑의 실수였나
여기까지 보면 좀 거칠고 다듬어지지 않은 정도의 번역인데, 뭐 그리 호들갑일까 하는 생각이 들 수 있다. 그러나 로쟈는 이어서 “조금 더 깊이 들어가보기로 한다”면서 본격적으로 공격의 활시위를 당긴다. 우선 ‘The statue, in Hegel's view, is art not so much because...but rather because’라는 구절에 대해 역자가 엉뚱하게 “헤겔의 관점에서 볼 때 조각상은 예술이 아닌데...A 때문이 아니라, B 때문이다”로 오역했음을 지적했다. “헤겔의 관점에서 보자면 조각상은 A라는 이유에서라기보다는 B라는 이유에서 예술이다”가 정확한 번역이기 때문이다.

진 연구교수의 오역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는 것이 로쟈의 전언이다. “When art is no more than art, it vanishes”라는 문장을 “예술이 더 이상 예술이 아닐 때 예술은 사라진다”로 황당하게 번역했다는 것이다. “요즘은 똑똑한 초등학생도 알 만한 관용구”인 ‘no more than’을 ‘단지, 고작’이 아니라 ‘더 이상 -가 아닐 때’라고 “직역(?)”했다는 지적이다. 이 경우 랑시에르가 강조한 고도의 역설, 곧 ‘예술은 단지 예술일 때 사라진다’를 동어반복으로 격하한 격이 된다.

“교환방식에 대한 이론적 설명”인 “the rationalization of its way of exchanging”을 “낭만주의적 교환 방식”이라고 번역한 것도 엉뚱하긴 마찬가지라고 일침을 놓았다(물론 로쟈의 제안인 ‘이론적 설명’도 논란의 소지는 있다. 그래서인지 진태원 연구교수는 로쟈의 제안에 동의하지 않는다). 특히 “예술의 미학적 체제에서 재현 불가능한 것은 없다”는 “In the aesthetic regime of art nothing is 'unrepresentable'”을 “ 예술의 미학적 체제에서는 어떤 것도 '재현 불가능'하다”고 정반대로 옮긴 부분은 “미스테리하다”고까지 말했다. 그 밖에 많은 오역을 지적하면서 로쟈는 “베테랑 역자가 실수를 했다는 게 믿기지 않는다”는 말로 실망감을 드러냈다.

이에 대해 진태원 연구교수는 자신의 블로그에 “영어 논문인데다가 랑시에르의 글이 간명해서 너무 안이하게 생각하고 번역을 한 게 이런 불상사를 초래한 것 같다”고 말하면서 독자들과 책의 다른 역자들에게 사과의 뜻을 전했다. 또 오역을 지적한 로쟈에게도 “깊은 감사”의 말을 전했다. 그리고 “예술이 더는 예술이 아닐 때 예술은 사라진다”를 “예술이 단지 예술에 불과할 때 예술은 사라진다”로 정정하는 등 문제된 부분 중 8개의 문장에 대해서 정오표를 올렸다.

진 연구교수의 발 빠른 대응에는 두 사람이 같은 인터넷 공간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평상시에도 대중과 소통에 민감하다는 점에 일차적으로 이유가 있다. 그러나 ‘초등학생’, ‘미스테리’등의 다소 과격한 용어를 써가며 신랄하게 전개된 오역 지적에 거의 실시간으로 수긍을 한 점은, 진 연구교수의 전향적인 자세에서 기인한 바가 크다.

문제된 부분 가운데 8개 문장 바로잡아
대부분의 역자들이 체면이나 혹은 개인적 원한 또는 책에 대한 대중적인 평 등을 우려해 쉬쉬하며 오리발을 내미는 상황에서 솔직한 사과와 정정은 찾아보기가 힘들다. 설령 정정을 한다고 하더라도, 수정판을 낼 때, 은근슬쩍 정정돼 나오는 경우가 대다수였다. 이런 상황에서 진 연구교수의 태도는 올바른 번역 문화의 확립이라는 점에서 눈여겨 볼 점이 많다. 

한편 출판사 측은 오역 지적이 있고난 뒤인 3쇄부터는 오역된 부분을 수정할 것이며, 3쇄까지 가지 않는다면, 뉴레프트리뷰 2권을 낼 때, 별도로 1권의 오역에 대해서 사과와 정정을 할 것이라 밝혔다. 체면차리기에 바쁜 우리 풍토에 새로운 번역 문화 정착의 사례로 기대해봄직하다.(오주훈 기자) 

09. 03. 10. 

P.S. 기자도 지적했다시피 '초등학생’ ‘미스테리’등의 과격한 표현을 사용한 것에 대해서는 개인적으로 역자에게 죄송하게 생각한다('미스테리'는 내가 자주 쓰는 표현이긴 하다. '악의적' 표현은 아니다). 사실 내가 겨냥한 건, '랑시에르 안의 불편함' 서두에 적었듯이, 번역 자체보다는 "우리 학계의 낮은 담론 수준"을 질타하는 출간의 변이었다. 번역상의 실수들이야 조용히 짚고 넘어갈 수도 있었지만 "협량한 지적 풍토" 운운은 너무 고압적이면서 오만하게 여겨졌다. 일부 신랄한 표현은 그에 대한 나대로의 '불편함'을 표출한 것이다.  

그리고, 기자가 '논란의 소지'가 있다고 한 “the rationalization of its way of exchanging” 번역 문제. 역자는 정오표에서 "교환방식에 대한 합리화'라고 옮겼는데, 누구라도 일감으론 그렇게 옮겼을 것이다. 나도 마찬가지로 'rationalization'을 '합리화'로 옮겼다가 '이론적 설명'이 조금 더 낫겠다는 판단을 했다. '이론적 설명'은 내가 궁리해낸 말이 아니라 영한사전에 등재된 설명어다(나는 매번 사전을 찾아본다).  

전체 문장은 이렇다. "The critique of culture can be seen as the epistmological face of Romantic poetics, the rationalization of its way of exchanging the signs of art and the signs of life." 내가 보기에 'the epistemological face of Romantic poetics(낭만주의 시학의 인식론적 모습)'과 'the rationalization of its way of exchanging the signs of art and the signs of life'는 둘다 'The critique of culture(문화비평)'의 (동격)보어다. 즉, 'rationalization'은 여기서 'epistemological face'와 대등한 말이다. 내가 좀더 과감했다면, 'rationalization'을 '인식론적 설명'으로 옮겼을 것이다. 물론 '합리화'라고 옮기는 게 무난하다. 하지만 '합리화'라는 우리말이 갖는 약간의 부정적 뉘앙스(가령 '잘못된 견해나 행동 따위를 그럴 듯한 이유를 대어 정당화하는 일'도 '합리화'이다) 때문에 좀 주저하다가 '이론적 설명'으로 대체한 것인데, 이것이 '논란의 소지'까지 되는지는 의문이다...


댓글(4) 먼댓글(2)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서울비의 생각
    from seoulrain's me2DAY 2009-03-11 08:48 
    "오역 논란의 한 가지 사례"
  2. 오늘의 오역계 잡동사니
    from 잠보니스틱스 2009-10-23 00:10 
    ★영화 역사상 가장 오역된 제목은 (대밋님) ★'죽은 시인의 사회'는 오역이다? (즈망푸님) ★'가을의 전설'이 오역인가? (전쟁과 평화님) ★Traduttore, traditore - Legends of the Fall (ουτις님) ★[질문] 이 영화의 제목도 혹시 오역인가요? (anakin님) ★영화 역사상 가장 왜곡된 대사 (Zannah님) ★"내가 니 애비다."와 "내가- 네 아버지다." 의 차이 (슈르님) ★한국 스...
 
 
paul 2009-03-10 20: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번역의 중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하면서 일까요, 오역 문제에 대한 의미있는 목소리들은 번역 작업에 있어서 또다른 검열기능을 할 수 있으리라 기대되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러나 창작에 임한 작가가 그렇듯이 번역자도 지나치게 오역의 혐의에 대한 공포에 시달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겠죠. 이 경우에도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이전에 말씀하셨던 '책임'이나 '자유'의 문제가 중요하게 제기되는 사안이겠죠.^^
번역서를 즐겨 읽는 독자의 입장에서, 오역 지적의 '책임'있는 목소리에 대해 번역자들도 '책임'이 걸린 번역으로 응답할 수 있기를 바랄뿐입니다.^^

로쟈 2009-03-11 23:29   좋아요 0 | URL
오역을 없앨 수는 없죠. 불가피한 면도 있구요. 다만, 불필요한 오역을 줄일 수는 있을 거라고 봅니다. 각자가 '책임'을 다하면요...

2009-03-11 22:2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9-03-11 23:36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