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터 벤야민의 <독일 비애극의 원천>(새물결, 2008)이 출간됐다(원래는 한길사에서도 출간한다고 예고돼 있었는데 그건 어떻게 되는 건지 모르겠다). 아직 별다른 리뷰들이 뜨지 않아 그냥 마이리스트만을 만들어둔다. 벤야민에 관한 리스트는 뽑아놓은 적이 있기 때문에 대신 바로크 관련서들을 찾았다. '독일 비애극'이 주로 바로크 드라마들이기 때문이다(러시아어본의 제목은 아예 <독일 바로크 드라마의 기원>이다). 바로크 관련서라면 음악, 미술, 건축 등이 떠오른다. 바로크 미술에 대해서는 이번에 열리는 '서양미술거장전'이 좋은 볼거리가 되겠다...


13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전체선택 장바구니에 담기
독일 비애극의 원천
발터 벤야민 지음, 조만영 옮김 / 새물결 / 2008년 11월
25,000원 → 22,500원(10%할인) / 마일리지 1,250원(5% 적립)
2008년 11월 04일에 저장
품절
바로크
신정아 지음 / 살림 / 2004년 11월
9,800원 → 8,820원(10%할인) / 마일리지 49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내일 아침 7시 출근전 배송
2008년 11월 04일에 저장

바로크의 꿈 : 1600-1750년 사이의 건축
프레데릭 다사스 지음 / 시공사 / 2000년 8월
7,000원 → 6,300원(10%할인) / 마일리지 350원(5% 적립)
2008년 11월 04일에 저장
품절

바로크, 어떻게 이해할까?
토마스 R. 호프만 지음, 이주영 옮김 / 미술문화 / 2007년 9월
12,000원 → 12,000원(0%할인) / 마일리지 60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내일 아침 7시 출근전 배송
2008년 11월 04일에 저장

고전주의와 바로크
피에르 카반느 지음, 정숙현 옮김 / 생각의나무 / 2006년 10월
15,000원 → 13,500원(10%할인) / 마일리지 750원(5% 적립)
2008년 11월 04일에 저장
구판절판
바로크 음악의 역사적 해석- 21세기 음악가를 위한
민은기 외 지음 / 음악세계 / 2006년 4월
20,000원 → 18,000원(10%할인) / 마일리지 1,00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내일 아침 7시 출근전 배송
2008년 11월 04일에 저장

바로크 건축- 무한을 향한 건축적 드라마, 세계건축산책 5
유자와 마사노부 지음, 류상보 옮김, 우영선 감수 / 르네상스 / 2005년 8월
8,800원 → 7,920원(10%할인) / 마일리지 44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내일 아침 7시 출근전 배송
2008년 11월 04일에 저장

주름, 라이프니츠와 바로크
질 들뢰즈 지음, 이찬웅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04년 3월
17,000원 → 15,300원(10%할인) / 마일리지 85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내일 아침 7시 출근전 배송
2008년 11월 04일에 저장

과학혁명과 바로크 문화
앤드류 그레고리 지음, 박은주 옮김, 황상익 감수 / 몸과마음 / 2001년 12월
10,000원 → 9,000원(10%할인) / 마일리지 500원(5% 적립)
2008년 11월 04일에 저장
품절
바로크 문학
장 루세 지음, 조화림 옮김 / 예림기획 / 2001년 5월
20,000원 → 20,000원(0%할인) / 마일리지 200원(1% 적립)
2008년 11월 04일에 저장
품절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2- 르네쌍스, 매너리즘, 바로끄, 개정판
아르놀트 하우저 지음, 백낙청 외 옮김 / 창비 / 1999년 3월
15,000원 → 13,500원(10%할인) / 마일리지 750원(5% 적립)
2008년 11월 04일에 저장
구판절판
바로크와 로코코
제르맹 바쟁 지음, 김미정 옮김 / 시공사 / 1998년 12월
15,000원 → 13,500원(10%할인) / 마일리지 75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내일 아침 7시 출근전 배송
2008년 11월 04일에 저장

고정희의 바로크 정원 이야기- 유럽 정원에 담겨 있는 공간의 비밀
고정희 지음 / 나무도시 / 2008년 6월
14,000원 → 12,600원(10%할인) / 마일리지 700원(5% 적립)
2008년 11월 04일에 저장
절판

전체선택 장바구니에 담기

13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18)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책사랑 2008-11-05 11:12   좋아요 0 | URL
한길사에서는 현재 편집중에 있는데 곧 출간될 것으로 보입니다. 번역자는 김유동(강원대 교수, 독문학)과 최성만(이화여대 교수, 독문학) 선생입니다. 특히 김유동 교수는 독일에서 박사학위논문으로 "독일 비애극의 원천"으로 써서 이 분야의 진정한 탁월한 연구자입니다. 역주가 아주 깐깐하고 풍부하게 달려있다고 들었습니다. 기대해보죠.

geistes 2008-11-05 11:37   좋아요 0 | URL
김유동교수는 서울대학에서 박사학위를 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혹 정말 독일에서 논문을 썼다 하더라도 '독일에서 논문으로 써서...진정한 탁월한 연구자'라는 말은 논리적으로도, 상식적으로도 문제가 있네요.

하지만 '새물결'이라는 말만 들어도 짜증이 확 나긴 하네요. 동문선과 함께 경계하는 출판사 중 하나입니다.

로쟈 2008-11-05 18:45   좋아요 0 | URL
동문선보다는 그래도 나은데요.^^

책사랑 2008-11-05 16:53   좋아요 0 | URL
물론 전공자라고 해서 반드시 좋은 번역을 보장하지는 않지요. 그러나 수년 간 연구해온 성과는 인정해주어야 한다고 봅니다. 제가 알려드리고자 한 것은 그래도 전공자에 의한 번역이 그나마 좋은 번역을 위한 최소의 조건이라는 뜻이었습니다. 예, 서울대에서 학위를 하신 듯 합니다. 알아보아야 할 듯... 뭐, 그것이 번역의 질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지만요.
그리고 벤야민 전공자라고 하더라도 벤야민 사상의 스펙트럼이 워낙 넓어서 국내 벤야민 전공자들도 세부 분야를 전공했죠. 그런 점에서 김유동 교수는 바로 "독일 비애극의 원천"으로 학위를 해서 '진정한 탁월한 연구자'라고 한 것입니다. 그런 점을 믿고 번역을 기다려보자는 취지에서... 이해를 부탁합니다.

로쟈 2008-11-05 18:44   좋아요 0 | URL
아마 다른 분과 혼동하신 것 같습니다. 김유동 교수는 아도르노 전공자이고, <아도르노 사상> 등의 저작을 갖고 있습니다. <계몽의 변증법>의 역자이기도 하구요. 연구와 번역은 성격이 좀 다른데, 아무튼 이름을 걸고 나오는 책인 만큼 기대는 해봅니다...

책사랑 2008-11-05 19:17   좋아요 0 | URL
아닙니다. 경상대 독문과 김유동 교수가 아도르노 전공자이시고, 제가 말씀드린 김유동 교수는 지난 해인가 강원대 독문과 교수로 임용된 동명이인의 다른 분입니다. 제가 두 분을 모두 알기에 말씀드립니다.

로쟈 2008-11-05 21:11   좋아요 0 | URL
동명이인이었나요?!..

geistes 2008-11-06 00:15   좋아요 0 | URL
호기심에 찾아봤는데 정말 강원대독문과에 김유동이란 분이 계시네요.
국회도서관에 검색해보니 그 분이 쓰신 것으로 추정되는--경상대 김유동교수도 비슷한 '업계'종사자이시니 헷갈립니다^^--벤야민 논문이 2편정도 있네요.
박사학위를 어디서, 무엇으로 했는지, 내신 책도 없는 것 같고, 앞으로 기대를 해봐야겠군요. 근데 윗분은 저분을 '진정한 탁월한 전공자'로 인정해주시는 것을 보니 저 분이 쓰신 박사학위논문을 읽어보셨나 보군요.
번역에 나서신 분이 그 분이라면 한국에서 만들어내는 자신의 첫번째 학문적 업적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최x만교수님은 새물결의 벤야민 번역에 분개하시던데, 여하튼 새물결의 번역은 믿음이 안갑니다. 책값만 얄굿게 비싸구요.

바벨의도서관 2008-11-06 13:11   좋아요 0 | URL
geistes 님, 이제는 물론 확인하셨겠지만, "서울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아도르노 전공자로서 경상대에 재직 중이신 김유동 교수님과 독일에서 [독일 비극의 원천]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책사랑 님 말씀대로- 강원대에 재직하고 계시는 김유동 교수님은 다를 뿐 아니라, 이 김유동 교수님은 벤야민 전공 이전에 [독일 비극의 원천] 번역의 적임자인 게지요.

geistes 님의 말("근데 윗분은 저분을 '진정한 탁월한 전공자'로 인정해주시는 것을 보니 저 분이 쓰신 박사학위논문을 읽어보셨나 보군요.")에는 솔직히 비아냥이 느껴집니다. 박사학위논문을 읽어보지 않아도 그런 평가를 할 수 있습니다. 제일 간단한 방법은, 벤야민 전공자들 사이에서 인정받는 지의 여부를 알면 됩니다(국내의 벤야민 전공자들이 많지 않아, 저도 대부분의 전공자들(강사와 교수들)을 개인적으로 알고 있습니다).

사실 책사랑 님이 김유동 교수님의 박사학위논문을 읽었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 "진정[…] 탁월한 연구자"라는 평가는 필경 이전에 한길사에 계실 때 알게 된 최성만 교수님을 통해 접하게된 평가를 그대로 반복한 것일 테지요. 그러나 그 평가의 근거로 내세운 "독일에서 박사학위논문으로 "독일 비애극의 원천"으로 써서"라는 표현이 그렇게 다그칠 정도의 문제인 지는 모르겠습니다. [독일 비극의 원천]에 대해 박사 학위 논문을 썼으니 국내에서는 흔치 않은 이 분야의 전문가다 정도로 쉽게 이해될 수 있는 말일 텐데 말입니다.

......

그러잖아도 그제 김유동 교수님과 이 난데없는 번역본 때문에 통화했습니다. 최성만 교수님이 이미 전화로 알려주었다면서, "이런 책에는 번역본이 여러 개 있는 것이 좋지요"라고 말하며 웃으시더군요. 물론 진짜로 웃을 기분은 아니겠지만 말입니다(선점 효과의 문제가 있으니까요).

geistes 2008-11-06 18:50   좋아요 0 | URL
책사랑님과 카이로스님은 출판계에서 일하시는 것 같고, 서로 일면식이 있으신 분 같습니다.
뭐 대단한 논쟁을 벌이자는 일도 아니니 간략히 이야기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저는 책사랑님이 가지고 계신, 아니 한국인들이 가지고 있는 몇가지 편견에 대해서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특히 학문의 경우, 어떠한 근거로 그 사람의 업적을 평가해야 하느냐의 문제입니다.
대부분의 해외학위의 경우 한국에서 검증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교수사회를 봐도 동료교수가 해외에서 학위했다고 하면, 같은 전공자일 경우 그것을 구해 읽어보는게 '업계' 윤리상 당연한 학문적, 인정적 윤리(!)일텐데 그런 것조차 무시될 경우가 태반입니다. 지도학생이 지도교수가 무슨 논문을, 저작을 썼는지 모르는, 그리고 알려고 하지도 않는 경우가, 동료가 쓴 책이 무엇인지조차도 모르는 경우가 태반입니다.
이 대부분은 한국에서 논문을 쓴 이에 대한, 한국에서 한국어로 공부를 하는 이에 대한 편견에 쌓인 무지 도는 무관심에 기인할 경우가 많습니다.
그나마 한국에서 나온 학위, 학술지 논문은 논문 쓸 때 찾아나 보지요, 해외에서 나온 논문은 거의 체면치레로 참고문헌에 올려놓는 일이 비일비재합니다.

강원대 김유동 교수님의 학문적 업적이 정말 업계에서 인정받는다면, 그래서 '진정한 탁월한 연구자'라는 평가를 내릴려면, 동료 학자들의 구술로 된 인정이 아니라 평가주체인 동료학자가 쓴 논문을 읽어보면 됩니다. 그 논문이 학문적 인정을 받는다면 동료학자가 읽었을테고 참고문헌으로 인용을 했겠지요. 이 정도는 상식적으로 알 수 있는 사항입니다. 이 정도만 상식적으로 확인을 하시고 기획이나 편집을 임하신다면, 뭐랄까요, 동료학자들의 입에 의존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물론 가장 편하고 권위있는 방식이 동료들의 평가에 의한 것이라는 거 저도 잘 압니다. 하지만 편집인은 책에 가장 적합한 연구자를 물색하고 확인하고 검증할 책임이 있는 역할 아니겠습니까.
그리고 학자에 대한 평가는 학자가 내리는게 다르고, 기자가, 출판편집자가 내리는 평가는 또 다른게 당연한 것 아니겠습니까.

한 분야의 전문가라면, 특히 인문학의 전문가라면 당연히 자국어로 된 연구서나 번역, 논문으로 평가해야 되지 않을까요. 소문으로만 떠도는 해외 학위로 무엇을 어떻게 검증할 수 있다는 말입니까. 제가 국회도서관에서 그 분의 논문을 찾아본 것은--읽어보지는 못했지만-- 그 분이 자신의 전공분야에서 어떤 활동을 했는지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개인적으로는 한국에서 교수까지 오르신 분이 연구서 하나 없고, 학술지 논문이 두편 정도밖에 안된다는 사실이--물론 더 되는데 제가 못 확인한 것이 있을지도 모릅니다-- 의외로 여겨집니다. 저는 그 분이 동료들사이의 평가 외에는 아직 벤야민 전공학자로서 검증이 되지 않은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는데, 그 분의 해외학위 하나로 전문분야의 탁월한 성취 운운하는 것이 나이브하다고 생각하는 제 판단이 상식에서 벗어나는 것일까요.

저는 오히려 한길사 번역이 나오면, 새물결 번역과 비교해 진정 번역자의 전문가로서의 검증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저는 학위여부가 아니라 번역서의 번역 정도가 진정 학자로서의 진검승부가 될 것 같은 생각이 들어 아무런 가치판단을 하지 않을 작정입니다. 제가 자주 들르는 싸이트에 나름 지적권위를 가진 한 분은 새물결 번역을 소개하면서 벤야민의 사상이 너무 난해해서 '공들인 번역본을 가지고도 읽어낼 수가 없다'라고 평하시더군요. 저는 직접 두 번역으로 평가해보려 합니다.

여하튼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geistes 2008-11-06 14:35   좋아요 0 | URL
그리고 제가 최성만교수님께 벤야민 번역에 대한 분개--아케이드프로젝트등에 대한--를 우연히 낀 술자리에서 사담으로 들었던게 2005년 초봄이었는데 벌써 3년반도 훨씬 넘었습니다. 물론 여러가지 문제가 있었겠지만 솔직히 이젠 그런 말을 어떻게 받아들여야할지 모르겠습니다. 그냥 출판돼나온 책으로만 평가하자 싶습니다.

바벨의도서관 2008-11-10 15:58   좋아요 0 | URL
geistes 님, 답글 잘 읽었습니다. 이상하게 위의 글에는 답글이 달리지 않네요. 며칠 동안 답글을 못 단 이유입니다. 오늘 혹시나 하는 마음에 이 글에 딸린 '댓글달기'를 눌러보니 여기는 열리네요.

전에 상당히 큰 규모의 인문사회과학 출판사 편집부에서 한동안 일했지만, 책사랑 님과는 일면식도 없습니다. 그분이 작년 말에 이곳, 로쟈 님의 '북'로그에서 자기의 이력을 간단히 언급한 것을 통해 알 뿐입니다.

로쟈 2008-11-06 23:30   좋아요 0 | URL
설왕설래가 많은 듯한데, 책이 출간되면 다 해명될 수 있겠죠...

lefebvre 2008-11-07 11:55   좋아요 0 | URL
흥미로운 얘기들이 오고갔었군요! 저도 호기심에 강원대 김유동 교수님의 박사학위 논문을 찾아봤더니 논문 제목은 "Walter Benjamins Trauerspielbuch und das barocke Trauerspiel: Rezeption, Konstellation und eine raumbezogene Lektüre"이네요. 지도교수는 Klaus Garber인 듯하고('-인 듯'한 이유는 감사의 말을 보내곤 있는데 지도했다 안 했다는 분명히 명시되어 있지 않아서. 참고문헌을 보니 가버 교수의 벤야민 연구서 2권이 있기는 합니다만), 2004년에 출판된 걸 보니 굉장히 빨리 국내에서 교수자리를 차지하셨네요! 단 4년만에! ㅎㅎㅎ 아참 학교는 처음 들어보는 대학이네요. 오스나브뤽대학(Universität Osnabrück). 하노버라는 도시로 유명한 니더작센 주의 또 다른 도시 오스나브뤽에 있는 공립학교라고......

로쟈 2008-11-07 23:27   좋아요 0 | URL
조사가 확실하네요.^^ <독일 비애극의 원천>에 관한 김교수의 논문을 읽어봤는데, '서술구조'만 다루고 있어서 좀 아쉽더군요...

노이에자이트 2008-11-08 16:08   좋아요 0 | URL
오스나브뤽은 경제사에 나오는 한자동맹의 일원인 상업도시로 유명했는데 여기서 일생을 보낸 학자 유스투스 뫼자는 헤르더와 괴테에게도 영향을 준 인물입니다.독일 낭만주의의 주요 인사 중 한 명이지요.괴테의 <시와 진실> 13장 끝무렵에 이 도시와 뫼자에 대한 이야기가 나옵니다.읽어보세요.그다지 길게 나오지는 않습니다.
독일어 잘하는 사람들 부러워...저는 이름만 독일어지 단어 몇개 밖에 몰라요.

로쟈 2008-11-08 16:53   좋아요 0 | URL
그 몇 안되는 단어에 '오스나브뤽'도 들어가네요.^^

노이에자이트 2008-11-08 17:25   좋아요 0 | URL
고유명사는 꽤 많이 안답니다.일반명사는 안되지만요.하하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