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대 포기하지 마세요!"는 며칠전 췌장암으로 세상을 떠난 랜디 포시의 <마지막 강의>(살림, 2008)의 메시지라고 한다. 책의 띠지에 그렇게 씌어 있다. 좋은 말이다. 그리고 그의 '마지막 강의'도 분명 들을 만한 좋은 내용들로 채워져 있을 거라고 믿는다. 하지만 이 책의 이면은 그렇게 아름답지 못하다. 무려 6억 이상의 선인세를 지불한 책이기에 그렇다. 아래 칼럼에서 소설가 박상우씨가 지적하고 있는 것이지만, 그 금액이면 국내 필자 200-300명의 선인세와 맞먹는다. '번역서 1권 vs 국내필자 213명'이란 표현이 그래서 가능해진다. 간단히 말해서, 출판사로선 그 213명이 쓸 책보다는 이 한 권의 책이 더 가치가 있다고, 더 많은 돈을 벌게 해줄 거라고 판단한 것이다. '수 세기 동안 단 1%만이 알았던 부와 성공의 비밀' <시크릿>(살림Biz, 2007)의 교훈일까?


경향신문(08. 07. 31) [문화로 읽는 세상]‘번역서 1권과 국내필자 213명’
최근 번역 출간된 ‘마지막 강의’라는 책의 선인세가 64만달러(약 6억4000만원)라는 소식을 접했다. 지금까지 최고가를 기록한 책이 20만달러였다니 3배가 넘는 놀라운 기록 경신이다. 선인세를 그렇게 많이 지불했다는 건 대량 판매를 목적으로 삼았다는 뜻이므로 광고비 또한 비례적으로 늘어날 것이다. 국내 10여개의 대형 출판사가 경쟁을 벌였다는 후문이니 가격이 올라간 것도 무리는 아닐 터이다. 하지만 우리보다 출판시장이 10배 이상 큰 일본에서도 선인세가 10만달러를 넘지 않는다는 걸 감안하면 64만달러는 무모한 경쟁의 결과인 것 같아 심히 우려스럽다.
그렇게 파이를 키워 놓으면 향후 외국 출판사들이 제시하는 기본 금액의 출발선이 달라질 건 불을 보듯 뻔한 일이다. 결국 자본의 위력을 마음껏 과시할 수 있는 대형 출판사들만 살아남고 피땀 흘려 좋은 책을 출간하고자 하는 중소 출판사들은 설 자리를 잃게 될 것이다. 출판사가 출판사를 죽이고, 출판사가 출판시장을 죽인다는 말을 나는 믿는다. 좋은 책과 좋은 출판시장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좋은 편집자와 좋은 필자가 많아져야 한다. 그것을 위한 아낌없는 투자는 전적으로 출판인의 몫이다.
출판에 대한 소신과 열정이 없다면 자칫 출판사업은 한탕주의에 대한 환상을 낳을 수도 있다. 그런 환상 속에서 명멸한 출판사들을 나는 지난 20년 동안 숱하게 지켜보았다. 하지만 그런 출판사들은 지금도 나타나고 있고 앞으로도 계속 나타날 것이다. 그런 명멸의 이면에서 소리·소문 없이 좋은 책을 꾸준히 양산해내는 소금 같은 출판사들도 나는 알고 있다. 출판인이 누구인지 일면식도 없지만 나는 그들에게 참으로 깊은 고마움을 느끼고 있다.
6억4000만원의 선인세는 국내 필자들의 질을 더욱 저하시킬 것이다. 블록버스터급 책이 아니면 출판을 하지 않으려는 출판 마인드가 자잘한 국내 필자들의 책에 관심을 기울일 턱이 없다. 그러다보니 어떻게든 책 한 권 출간하고자 하는 필자들은 더욱 선정적인 글쓰기를 하지 않을 수 없게 될 것이다. 너도 나도 책을 쓰고자 덤비는 세상이니 더욱 심각한 질적 저하를 우려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대부분의 등단 작가는 작가가 됐음에도 소설집 한 권 출간하지 못하고 사라진다. 소설집은커녕 소설에 대한 자질을 검증받을 만한 발표 지면도 제대로 얻지 못하고 사라지는 작가들이 대부분이다. 평균적인 계약 관행을 예상수치로 삼아 300만원씩 선인세를 지급할 경우, 6억4000만원이면 국내 필자 213명과 계약을 할 수 있다. 번역서 한 권과 국내 필자 213명, 이것이 아마도 우리 출판 마인드의 현주소일 것이다. 안을 존중하지 않으면 밖에서도 대접받지 못하니 번역물 선인세가 100만달러를 돌파할 날도 그리 머지않은 일인 듯싶다.(박상우|소설가)
08. 07. 31.


P.S. 바야흐르 대한민국 1%가 승승장구하고 있다. 어제 서울시교육감 선거에서도 강남 땅값을 걱정해주던 '교육감' 후보가 결국엔 당선됐다(저조한 투표율이 이미 예견케 한 결과이다. 선거결과에 대한 분석은 http://news.hankooki.com/lpage/society/200807/h2008073102454922020.htm 참조). 해서, '촛불의 중간평가' 운운하던 이들은 '입방정'을 탓하게 됐다(촛불은 '다수'가 아니었다!). 나는 다른 결과를 예상하진 않았지만(서울시민이 아니어서 나는 투표권이 없었다) 그럼에도 이 '최악의 결과'에 환멸과 분노를 느낀다. 나는 '수 세기 동안 단 1%만이 알았던 부와 성공의 비밀'이 최고 베스트셀러가 되는 나라에는 희망이 없다고 생각한다(정말 능력만 된다면 이민가고 싶다). '리치스탄(부자동네)'에 대한 선망과 함께 모든 아빠는 '부자 아빠'와 '가난한 아빠'로 나뉜다고 주입시키는 교육환경 속에서 아이들이 제대로 성장한다면 기적 같은 일이다(언제부턴가 '글로벌 인재 양성'이란 문구가 각 시군 교육청의 교육목표가 돼버렸다. 좀 환멸스럽지 않은가?). 그래도 포기하지 말라고? 컴퓨터공학 교수였던 랜디 포시는 이런 교훈을 남겼다고 한다('이게 다예요'라고 덧붙였을 법하다).
★ 감사하는 마음을 보여주세요. 감사할수록 삶은 위대해집니다. ★ 준비하세요. 행운은 준비가 기회를 만날 때 온답니다. ★ 가장 좋은 금은 쓰레기통의 밑바닥에 있습니다. 그러니 찾아내세요. ★ 절대 포기하지 마세요. 벽은 깨라고 있는 것. ★ 꿈을 꿀 수 있다면 이룰 수도 있다. ★ 당신이 뭔가를 망쳤다면 사과하세요. 사과는 끝이 아니라 다시 할 수 있는 시작입니다. ★ 완전히 악한 사람은 없어요. 모두에게서 좋은 면을 발견하세요. ★ 가장 어려운 일은 듣는 일입니다. 사람들이 당신에게 전해주는 말을 소중히 여기세요. 거기에 해답이 있답니다. ★ 그리고 매일같이 내일을 두려워하며 살지 마세요. 오늘 바로 지금 이 순간을 즐기세요. ★ 누군가 당신을 위해 했던 일을 당신도 다른 이들을 위해 하세요. ★ 당신 스스로 당신의 꿈을 허락하세요. 당신 아이들의 꿈에도 불을 지피세요.

내가 가장 공감할 수 있는 지침은 "절대 포기하지 마세요"가 아니라 "가장 좋은 금은 쓰레기통의 밑바닥에 있습니다. 그러니 찾아내세요."이다. 앞으로 5년간 대한민국에서 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일은 쓰레기통이나 뒤지는 일이지 않을까? 거기, 줄 서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