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에 나온 책들 가운데 알라디너들에게 (적어도 페이퍼상으로는) 가장 각광을 받은 책은 샹탈 무페의 <정치적인 것의 귀환>(후마니타스, 2007)인 듯하다(국내에선 '무프'라고도 표기돼 왔다). 작년에 <민주주의의 역설>(인간사랑, 2006)을 읽으면서 이 책의 원서 또한 복사해둔 것 같아 기억을 돌이켜보았지만 어느 구석에서 찾을 수 있을지는 엄두가 나지 않는다(순서로 치자면 <헤게모니와 사회주의 전략>, <정치적인 것의 귀환>의 후속작이 <민주주의의 역설>이다). 아무려나 (뒤늦게라도) 정치의 계절에 나온 주요한 이론서로서 꼽아둘 만하다. 한겨레의 리뷰(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255635.html)가 가장 자세하므로 참조해볼 수 있겠고 여기서는 무페 읽기의 리스트를 추려서 '세계의 책'으로 분류해놓는다. 역시 한겨레의 기사를 참조하여 몇 마디 덧붙인다.

한겨례(07. 12. 08) 자유주의와 사회주의 접점을 찾다

샹탈 무페는 1990년 한국어로 번역된 바 있는 <헤게모니와 사회주의 전략>(한국어판 제목 ‘사회변혁과 헤게모니’)으로 우리에게 알려진 정치철학자다. 그의 지적 동업자인 에르네스토 라클라우와 함께 써 1985년에 출간한 이 책에서 무페는 자신의 새로운 민주주의 전략을 처음 제출했다. 그 전까지 마르크스주의 안에서 자신의 이론을 구상했던 무페는 이 책을 통해서 마르크스주의와 사실상 결별했다. ‘포스트마르크스주의’ 이론가라는 호칭은 이때 붙여졌다. 그의 새 민주주의 전략은 ‘급진적이고 다원주의적인 민주주의’로 요약할 수 있다.

<헤게모니와 사회주의 전략>에서 무페와 라클라우는 마르크스의 경제결정론을 거부하고, 그 대신에 그람시의 헤게모니 개념을 받아들였다(*이 책에 대한 수요가 있음에도 다시 출간되지 않는 건 이상한 일이다. 이 책에 대한 간단한 언급은 '라클라우-라캉-지젝'(http://blog.aladin.co.kr/mramor/1033614)을 참조). 두 사람은 그람시의 헤게모니를 통해 마르크스주의적 계급투쟁이 다양한 사회적 대립를 구성하는 하나의 층위일 뿐이며, 사회에는 다양한 투쟁들이 경합하고 있음을 포착했다. 이 경합하는 투쟁들을 일시적이고 불안정하지만 공동전선으로 모을 수 있는데, 그 공동전선을 구성하는 담론적 힘이 헤게모니다.

이 책에 이어 나온 것이 <정치적인 것의 귀환>인데, 여기서 무페는 민주주의의 갈등적이고 투쟁적인 성격을 강조하면서, 그 불확정적인 긴장 속에서 경제적 평등의 이상을 실현할 수 있는 ‘민주사회주의’ 혹은 ‘자유사회주의’의 가능성을 발견한다. 이 새 기획은 프롤레타리아라는 단일한 주체를 거부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마르크스주의적 사회주의와는 완전히 다르며, 또 자유주의 이념을 긍정한다는 점에서 기존 좌파의 반자유주의적 기획과도 다르다. 무페는 자유를 절대화하는 전통의 자유주의와도 거리를 두고 사적 소유를 옹호하는 경제적 자유주의와도 절연한다는 전제 위에서 개인의 자유와 인격의 자율을 인정하면서 평등의 이상을 추구하는 것을 민주주의의 목표로 제시한다. 이 책에 이어 무페는 ‘정치적인 것’의 개념을 더욱 숙고해 <카를 슈미트의 도전>(1999) <민주주의의 역설>(2000) <정치적인 것에 대하여>(2005) 같은 책으로 펴냈다.(고명섭 기자)

07. 12. 09.

P.S. <카를 슈미트의 도전>(1999)는 무페의 편저이고 국역본이 나와 있는 <민주주의의 역설>(2000)과 함께 모두 버소(Verso)출판사에서 출간됐다. 그다지 두껍지 않은 책이므로 국내에도 소개될 수 있을 듯하다(물론 슈미트의 <정치적인 것의 개념>(법문사, 1992) 등과 같이 나와야겠다).

무페의 최신간인 <정치적인 것에 대하여>(2005)는 '행동하는 지성'(Thinking in action) 시리즈의 한권이다(이 시리즈는 동문선에서 여러 권 출간된 바 있다). '입문서'격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나 싶다. 기사에서 언급되지 않은 책으로는 <정치와 열정>(2002)이 있다. 그녀의 홈피를 찾으니(http://www.wmin.ac.uk/sshl/page-2486) 이 책은 무료로 다운로드된다(http://www.wmin.ac.uk/sshl/PDF/Mouffe%20PDF%20.pdf). 아침부터 좋은 횡재이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yoonta 2007-12-09 15:11   좋아요 0 | URL
<헤게모니와 사회주의전략>은 저도 재발간되었으면 하는 책입니다. 오늘날의 급진정치의 방향성과 관련해서 상당히 중요한 이야기를 하는 책이더군요. 다만 원문의 난해함때문인지 기존의 번역본은 오역이 좀 보이던데 이런 점 수정해서 다시 나왔으면 하네요.

로쟈 2007-12-09 15:44   좋아요 0 | URL
네, 다시 나오면 좋겠고, 다시 나올 거라고 기대합니다...

람혼 2007-12-10 03:50   좋아요 0 | URL
저 역시나,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