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다 보니 옛날에 쓴 시가 생각났다. 97년 대선보다도 더 전이니까 아주 오랜 '옛날'이다. '나의 가장 나종 지니인 것'이란 제목은 박완서 선생의 소설 제목에서 따왔으니까(물론 원출처를 따지자면 김현승의 시 '눈물'로까지 거슬러올라가겠지만) 최소한 94년 이후에 씌어진 것이다. 이런저런 할일들에도 불구하고 의욕이 저하된 상태에서 물끄러미 주말과 휴일을 보내다보니 생각난 시인 듯도 하다. 무엇이 너의 가장 나종 지니인 것이냐, 라고 묻는 뜻에서. 생각난 김에 창고에 넣어둔다.

나의 가장 나종 지니인 것 1
어쩌다 그런 생각, 좀처럼 그런 생각을 벗지 못한다.
무엇이 나의 가장 나종 지니인 것이냐에 대해
나의 하나밖에 없는 목숨을 남겨두면, 바로 그 목숨
이전의 마지막 보루, 나의 빤스. 마치 목숨의 경계인 듯
빤스는 나와 함께 반생(半生)을 뛰고 또 뛰었다, 어떤 날은
빤스만 입고 뛰었다(호루라기에 맞춰). 억울할 그 무엇도
없는 날들이 나의 빤스를 젖게 했고 닳게 했고
닳아빠지게 했다. 닳아빠지도록 한 사람 곁에 머문다는 것은
보기 드문 미덕이며, 미덕의 승리이어야 한다. 보라,
온몸의 때를 씻고 씻어내고 우리가 가장 먼저 하는 일,
새 빤스를 입는 일! 금방 빤 듯한 빨아서 말린 듯한
새 빤스, 의 노곤한 감촉이여 갱생의 의지여
(요즘 빤스는 잘 찢어지지도 않는다.)
오, 삶의 이유 있는 살 만함이여
몸에 꼭 맞는 빤스를 여러 장 가진 내게 부러워할 그 무엇이
있을 것인가, 나의 가장 나종 지니인 것들의 순종과
더불어 나는 늙어가리라, 는 생각.
(이건 점차 확신이 되어가는 것인데.)
좀처럼 그런 생각을 벗어나지 못한다, 어쩌다 그런
흐뭇한 생각이 나를 거울 앞에 서게 한다.
빤스만 입고-
무엇이 나의 가장 나종 지니인 것이냐에 대해
나는 단도직입적으로 말한다, 빤스! 라고, 아직은.
나의 가장 나종 지니인 것 2
무엇이 정말, 당신의 가장 나종 지니인 것이냐고
자꾸자꾸 물어보는 녀석은 한 대 패주고 싶다!
나는 거듭, 단도직입적으로 말한다, 빤스! 라고,
덧붙여 말하거니와 세상은 빤스 이전과 빤스 이후로 나뉘는데
빤스 이후의 삶이란, 다름아닌 빤스의 로테이션일 뿐!

07. 11. 05.

P.S. 왜 이 시가 뜬금없이 생각났는지 알겠다. <이론-이후-삶>(민음사, 2007)에서 데리다와의 패널토론을 읽던 중이었기 때문이다. '이후(after)'란 말의 뜻에 대해 깊이 따져묻는 내용이다. '이론 이후의 삶'에서 '빤스 이후의 삶'을 떠올렸던 것이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