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어린 시절 부모님의 욕심때문이였는지 우리 집엔 제법 많은 책들이 존재했었다. 물론 대부분 아버지가 읽으셨던 책이였고, 교육열에 불타오르시던 어머니는 두꺼운 백과사전까지 책장에 빼곡히 쌓아놓고, 나에게 독서를 강요하진 않았으나 상대적으로 그 또래 아이들이 가지고 놀 수 있는 장난감이라는 것과는 거리를 두게 하셨기에 자연스럽게 책이라는 존재와 가깝게 지내는 환경이 조성되었나 보다.

심심할 때마다 두꺼운 백과사전을 몇 권씩 꺼내 읽다가 때로는 쌓아도 보고 도미노놀이도 해봤던 기억이 나곤 한다. 그 유전자가 고대로 피드백이 돼 버렸는지 주니어 역시 가끔 이런 놀이를 함으로써 나를 놀래키곤 한다.

책을 가까이 했던 나를 유심히 살펴보셨는지 어머니와 아버지는 내가 읽을 책들을 꽤나 많이도 구입하셨던 기억이 난다. 한쪽 벽을 빼곡히 채웠던 세계명작 100권도 기억나며, 틈틈이 서점에 들려 내가 읽고 싶은 책들을 뽑아내고 계산은 어머니가 하시곤 했었다. 단 만화책만큼은 금서였었다.

2.
아마도 내 중학교 시절은 이러한 독서생활의 새로운 반전을 가져왔었던 시기일지도 모른다.
비교적 또래보다 많은 책을 읽던 나는 어쩌면 나름의 자만심이 생겼을지도 모를 일이다. 그래봤자 책속의 내용을 주절주절 떠드는 것에 불과했겠지만.

그때 즈음에 서점 계를 강타한 도서가 있었으니 고려원에서 나왔던 "영웅문"이라는 책이 기억난다. 지금에서야 생각해보니 음지의 무협지를 양지로 이끌어 낸 역사적인 사건이 아니었나 라고 개인적인 분류를 짓는 도서 중에 하나라고 판단되지만, 난 아직까지 제대로 영웅문을 읽은 적이 없다. 단지 그 어린 시절 자만심의 시기였는지 내가 서점에서 잡은 책은 영웅문이 아닌 德川家康(도꾸가와 이에야스) 다시 말해 대야망이였으니 말이다. 어린 시절 기억으로 20권이 넘는 책의 분량과 남이 주로 잡는 책이 아닌 책이라는 이유만으로 잡았었을 것이다. 그리고 보란 듯이 학교에까지 가져가 읽어주는 웃기지도 않는 엄청난 현학적인 모습을 그때부터 보여 왔었나 보다.

이러한 시건방진 태도는 결국 같은 반 급우와의 대화로 깨져버린다. 어느 때처럼 쉬는 시간에 이 책을 학교에서 잡고 있는 모습을 멀찌감치서 바라보던 그 급우는 내 앞에 털썩 앉으면서 아직도 잊혀지지 않는 엄청나게 건방지고 비아냥거리는 말투로 한마디를 던진다.

"넌 지금 그 책을 읽냐..난 벌써 1년전에 다 읽었는데..훗.."

충격이었다. 학업성적도 밑바닥 이였고 더군다나 같은 반 급우들과도 그리 친하게 지내지 않는 사교성이 극히 희박한 녀석이었다. 더군다나 남녀공학인 중학교 시절 반에서 여자아이들이 질색팔색을 하는 인물이었던 것.

이 녀석 때문에 난 자연스럽게 나의 모습을 돌이켜봤을지도 모른다. 같잖은 어려운 책을 잡고 아는 척 잘난 척을 하는 기껏해야 중삐리 애늙은이의 모습을... 아마도 그때 그 이후로부터 난 그 책을 학교에 가져오지 않았고 주로 집에서 조금씩 읽어나가는 것으로 나의 독서생활의 크나큰 변화과정을 겪게 돼 버렸다.

3.
그때에 비하면 30대 중반의 나이의 나는 책을 놓지는 않았으나 그때만큼의 독서량을 가지고 있진 않는다. 물론 독서 이외 오락거리가 내 주변에 널려있기도 하고, 그때만큼의 독서에 할애할만한 시간의 부재도 이유라면 이유겠다. 또 하나 그 중학생 시절의 트라우마 스위치의 작동 때문일지도 모를 일이다.

책을 많이 읽고 많이 안다는 것. 이것이 즐겁고 자신을 풍요롭게 한다는 건 분명 틀린 생각이나 이치가 아닐 것이다. 그런데 많은 책을 읽은 만큼 그만큼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이 넓어지거나 바르고 곧은 사상을 갖게 되는가에 대해서 부정적인 생각이 앞서버리곤 한다. 아마도 그건 책속의 세상을 왜곡하거나 혹은 그것이 세상의 전부라고 판단하고 행동하는 일명 "헛똑똑이"들의 존재를 너무나도 많이 접하고 경험했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수천 권의 장서를 소유하고 읽었다는 자부심과 독서량도 중요하겠지만, 남을 위해 혹은 자신을 위해 흘렸을 수천방울의 땀의 소중함까지 겸비한다면 얼마나 좋을까. 오늘따라 영화 베트맨비긴스에서 레이첼이 브루스 웨인에게 했던 말 한방이 떠오른다.

"자신을 나타내는 건 생각이 아니라 행동이다."

넷이 발달한 요즘세상에서 오프라인뿐만이 아닌 온라인 영역까지 자신이 보여주는 모든 행동에 적용시켜야 할 명대사라고 보인다.


댓글(21)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코코죠 2008-01-20 04: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얼마전에 친구랑 커피를 마시며 그런 이야기를 했는데. 우리는 둘 다 애인없는 노처녀이다 보니까 남자 이야기를 주로 하는데요. 어떤 남자를 만나고 싶으냐 라는 질문에 "요즘 무슨 책을 읽는지 물었을 때 바로 대답하는 사람" 을, 그리고 "책을 읽는 남자랑 읽지 않는 남자는 말하는 것부터 틀려" "맞어, 그런 남자는 욕도 어휘력 있게 해(?)" 라는 이야기를 나눴어요.

집에 돌아오며 생각했는데, 정말로 사람을 고상하게 만들어주는 건 책이 아닌 것 같은데. 그러니까 뭘까. 답을 찾지 못했는데 메피님의 글을 읽으니 알 것 같아요. 다이어리를 펼치고 적었어요. 자신을 나타내는 건 생각이 아니라 행동이다. 맞아요, 그런 거 같아요. 그런데 역시나 그 행동을 결정짓는데 도움이 되는 것도 책이며, 현명한 쪽으로 이끌어 준다는 생각은 변하지 않을 것 같애요. 책 읽는 메피님이 멋져요, 이건 진심이에요 :)

순오기 2008-01-20 12: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대야망' 외삼촌댁 책장에 빛나는 장식품으로 있던 이 책을 아주 맛나게 먹어치웠답니다. 박종화의'삼국지'와 더불어~~~ 외삼촌댁 장식품을 먹어준 내게 그들이 고마워하지 않았을까?ㅎㅎ
배트맨비긴즈 어제 OCN에서 하길래 우리 애들이랑 다시 또 빠져서 봤지요. 다시 봐도 감동스런 레이첼의 '그 사람을 나타내는 건 생각이 아니라 행동이다'라는 명대사와 더불어 '이 얼굴이 가면이고 내가 사랑했던 그 남자 부르스는 언제 볼 수 있을까'라는 말도 가슴을 찡~ 울리는 대사였어요.^^

비로그인 2008-01-20 13: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독서는 개인의 인생에서 중요하다. 하지만, 독서가 (그 사람의 )인생의 전부는 아니다는 말에 한 표.
덧) 영웅문은 '고려원'에서 나오지 않았었나요 -.- 저도 친구한테 빌려보던 기억이 새록새록.

프레이야 2008-01-20 13: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백번 지당하신 말씀이야요 ^^
그래서 늘 모자라고도 모자라는 사람, 좀 나아져볼까 싶어 책을 골라 읽지만
그게 또 자신이 한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잖아요. 담장을 뛰어넘어야하는데
말이죠. 어젠 토요명화도 못 보고 자 버렸는데 뭐 했어요? 메피님 페이퍼
있나 뒤져봐야겠어요.

야클 2008-01-20 19: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 영웅문을 아직 안 읽으셨다니요. 영웅문을 안 읽는다는건 이 생을 살아가면서 누려야 할 재미 중 큰 걸 하나 놓치는 거랍니다. ^^

Mephistopheles 2008-01-20 19: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즈마님 // 많은 독서량이 어휘력 증강과 100% 직결된다고 보긴 힘들지만 많은 영향을 주는 건 사실일꺼에요. 사람을 고상하게 만들어주는 것...어렵네요. 많은 독서량이 꼭 사람을 고상하게 만들지만은 않겠죠. 아마도 많은 독서량과 더불어 다른 그 무언가도 겸비해야 하지 않을까요..^^
순오기님 // 어린 나이에 읽은 "대야망"은 꽤나 힘겨웠습니다.오죽하면 꿈에서도 수많은 일본이름들이 나와서 화들짝 놀라 깨곤 했었겠습니까..^^
단테님 // 독서가 삶을 풍요롭게 하는 건 맞지만, 그것만이 삶의 전부가 되는 건 꼭 맞다고 보고 싶진 않아요. 하하..맞아요 고려원이였죠.. 그 사람 인물 대빵 크게 집어넣은 표지..
혜경님 // 맞는 말씀이에요. 사람이 자기 그릇을 넓히는 것만큼 발전적인 모습은 없을꺼라 보고 싶습니다. 그런데 그릇용량을 넘기는 내용물에 빠지거나 혹은 자신이 품은 내용물이 전부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피곤해요...^^ 아 토요명화..이번주는 그다지 편성이 풍요롭지 않더군요..^^
리사님 // 어쩌면 제 독서취향이 넓어진 계기가 된 것이. 여기 알라딘에 출입하면서 부터라고 보여집니다. 다방면의 책을 많이 읽고 그 책을 조심스럽게 권해주시는 분들 덕분에요.^^ 알게 모르게 서재를 꾸리시는 분들에게 많은 도움을 받고 있는 것이죠.^^ 그리고 자신의 독서 컬렉션은 남에게라기 보단 자신의 체크 차원이 아닐까요. 내보인다는 생각은 아니라고 보고 싶습니다.^^
야클님 // 고려원에서 나온 그 반듯한 글씨의 영웅문은 읽지 않고 다른 책으로 읽지 않았나 싶습니다.^^ 다른 책으로 신조협려와 사조영웅전, 의천도룡기를 읽었다면...혹시 영웅문을 다 읽은 것 아닌가요?

비로그인 2008-01-20 20: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메피스토님의 '휴일의 글' 제 서재로 옮겨갑니다.
글 좋습니다..
고맙습니다. 메피스토님.

저역시 OCN에서 배트맨 비긴스를 봤답니다.
이퀼리블리움에 출연했던 배우더군요..
역시 인용하신 대사가 인상적이었습니다.


antitheme 2008-01-20 20: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영웅문이 몽고제국의 역사를 다룬 책인줄 알고 손에 들었다가 아직까지도 무협소설을 즐기며 살고 있습니다.

웽스북스 2008-01-20 21: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무식하다는 걸 깨닫게 되는 단계인 것 같아요 전.
영웅문 하니까 생각나는게
지난 연말 모임에서 내가 안읽은 책 이름을 대서 그 책을 읽은 사람의 숫자를 카운트해서 많은 게 이기는 게임을 했었는데 (페이퍼에 썼던) 어떤 언니가 영웅문을 말하고 0점을 받았던 슬픈 기억이. ㅋㅋ 어쩜 또 우리 모임에서는 단 한명도 영웅문을 안읽었었는지 말이죠 ㅋㅋㅋㅋㅋㅋ

다락방 2008-01-20 21: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헛똑똑이란 단어가 가슴을 심하게 때리는군요.
저 자신을 반성하게 하는 글이예요.

잘 읽었습니다, 메피스토님.

산사춘 2008-01-20 21: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미 짐작했듯이 님의 고급 유머는 독서와 성찰의 결과였습니다.
춘의 저급 유머가 저잣거리표 독설과 성질의 결과인 것처럼요.

Mephistopheles 2008-01-20 22: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한사님 // 으허...잘쓰거나 못쓰거나 별반 상투적인 글을 다 가져가시고..^^ 크리스찬 베일이라는 배우인데 연기도 잘하며, 매력도 듬뿍인 배우랍니다. 가끔 그 영화자체는 개판 오분전이지만 단지 그 배우때문에 빛이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티테마님 // 저는 친구집에 우연히 갔다가 그집 형이 빌려논 무협지를 후다다닥 읽어버리고 푹 빠졌던 기억이 납니다..^^ 암튼 세로쓰기임에도 불구하고 어찌나 빨리 읽히던지.^^
웬디양님 // 김용의 무협지는 그래도 짜임새있는 "서사"가 존재하기에 읽어봐도 재미는 확실히 있습니다. 허무맹랑하거나 터무니없거나 그러진 않아요..^^
다락방님 // 어...그럼 전 본의 아니게 다락방님을 구타한 것이 되버리는군요..ㅋㅋ 반성은 무슨...제가 다 부끄럽사옵니다.^^
산사춘님 // 구라사마 춘사마님이 저렇게 말씀하시면 저는 참으로 거시기해요..^^ 전 한번도 춘님의 유머를 저급이나 저잣거리표라고 생각한적은 없었어요..^^ 그리고 저급이면 어떻고 저잣거리면 어떻습니까..재미있고 웃기고 유쾌하면 되죠.^^

웽스북스 2008-01-20 22: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실 무협지는 제대로 읽어본 적이 없어요, 저로써는 어쩐지 입문하기가 어려운 남의 세계 같달까요- 허무맹랑하거나 터무니 없을 것 같아서 안읽는 건 아니구요 ^-^

깐따삐야 2008-01-20 23: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생각은 대범한데 행동은 소심해요. 결국 저를 나타내는 건 '소심함'이죠. 흑!

Mephistopheles 2008-01-21 00: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웬디양님 // 음...그 무협지라는 것이...사내들에게는 일종의 중독성이 강하게 나타나는 장르에요..^^ 한번 읽기 시작하면 끝장을 보게 만드는 그 표현할 수 없는 몰입감...^^
깐따삐야님 // 생각의 실천이 문제가 되겠군요.^^

네꼬 2008-01-21 09: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어제 OCN에서 배트맨 비긴즈 보다가 "자신을 나타내는 건 생각이 아니라 행동이다." 이 말에 깜짝 놀랐는데. (뭐랄까 부끄러운 마음...)

저는 책을 참 안 읽는 편이지만(심한 부끄러움) 그나마 때로는 이렇게 읽어 무엇하나, 할 때가 있어. (그래도 닥치고 읽어!- 춘님 버전.)


조선인 2008-01-21 09: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영웅문을 안 읽은 사람이 이리 많다니!!! 부르르르르

보석 2008-01-21 11: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이라는 도구가 문제가 아니라 그걸 받아들이는 사람의 그릇이 문제겠지요.
중학교 때 영웅문을 읽은 후 무협의 세계에서 헤어나질 못하고 있습니다. 하하.

Mephistopheles 2008-01-21 21: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꼬님 // 책을 참 안 읽는 건 부끄러운게 아니에요.물론 책 많이 읽으면 좋긴 하지만, 그게 생활이어야지 의무나 속박이 되서는 안된다고 보고 싶어요.^^
조선인님 // 그니까..사형...제가 안읽었다기 보다는 제대로 그러니까 고려원에서 나온 걸 안읽었다는 말입니다. 다른 책으로는 읽었어요. 영화도 봤고 만화도 봤고 단지 고려원에서 나온 것만 안읽었다는 말이어요..
보석님 // 빙고. 누가 잡느냐에 따라 나라를 지키는 검이 되고 소를 잡는 칼이 되는..^^ 음 그럼 보석님도 내공은 삼만갑자 이상.??
살청님 // 으허허. 카메라 각도의 차이일 뿐입니다. 전의 이미지는 머리위에서 지금 이미지는 정면에서..ㅋㅋㅋ

가넷 2008-01-23 00: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만화나 드라마등으로 접하다가 정작 원작을 접하니 재미가 없더라구요. 그래서 김영사에서 정식 계약해서 나온 사조영웅전만 읽고 접었습니다.^^;

Mephistopheles 2008-01-25 18:14   좋아요 0 | URL
워낙에 유명한 작품이기에 만화도 만화고 영화로도 정말 자주 만들어지지 않았나 싶습니다.^^ 그래도 책이 제일 재미있습니다. 저 역시 김영사 책으로는 읽진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