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문장이 왜 나를 불러 세우느냐면.
그 목소리가 왜 들리느냐면.

불렀으니까. 나를. 쓰는 그 사람이.
들렸으니까. 나는. 쓰는 그 사람이 하는 말이.

어떤 마음으로 누구를 부르는지.
귀 기울여 들으려고 하는 사람은
더 잘 읽으려고 하는 사람은.
가당치 않게도 내가 불렸다고 느끼는 사람은.

글씨의 사실은
비어있음을. 행간을. 백지를. 그 공백을 읽어보려 애를 쓰지.

그러므로 베유의 이 문장은 정말로 베유가 부르는 까닭에 가깝다.
비어있다면.
사랑한다는 말로 읽어 달라는 말. 그가 간절하게 부르는 사람.
실은 그것이 읽는 이의 엉큼한 쾌락이라는걸.
그 사람이 누군가에게 적어 보낸 편지들을 모조리 도둑질해서 쪽쪽 빨아먹는 기분. 아니, 그가 부르는 것이 나라고 착각하면서. 나를 사랑한다고 착각하면서.


#그렇게읽어도되냐고물으시면
#그렇게읽을때잘읽힌다
#도둑맞은편지가아니라도둑질한편지ㅋ


라캉이 기독교는 ‘진정한’종교라고 설명한 것은 이 때문이다. 기독교에서 신은 모든 것과 관련해 탈-존 한다. "그는 탁월한 탈-존입니다. 즉 간단히 말해 사람으로 나타난 억압이며, 심지어 억압 속에서 전제된 사람입니다. 그리고 기독교가 진리인 것은 이와 관련해서 입니다." - P203

라캉은 여기서 "나는 ‘스스로 있는’ 나", 즉 시나이 산에서 모세가 그것이 무엇인지를 물었을 때 불꽃이 이는데도 타지 않는 가시덤불이 들려준 대답을 가리키고 있다. 라캉은 이것을 시니피앙이 결여되어 있는 지점, 상징적 질서에 구멍이 있는 지점을 가리키는 것으로 읽고 있다. — 그리고 이것은 강력하게 재귀적인 의미로, 즉 신은 우리의 언어가 미칠 수 없는 곳에 있는 심원한 현실이라는 것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뿐만 아니라 신은 단지 상징적 질서(큰 타자) 안에 있는 이 결여일 뿐이라는 것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신성한 ‘나는 스스로 있는 나’라는 말은 그 자체로서는 실제로는 데카르트적 코기토, 빗금 처진 주체를, 언표된 모든 것에 의해 드러나는 언표의 이러한 순수한 망실점evanescent point을 예시하고 있다. 이 아무것도 없음無 — 그것의 대리인(또는 플레이스 홀더 place-holder [빠져 있는 다른 것을 대신하는 기호나 텍스트의 일부])가 *대상a*이다. - P204

이 사랑의 초점 또는 베유(Simone Weil)식으로 표현하자면 ‘아무것도 없거든 내가 당신을사랑한다는 말로 읽어라’이다. - P20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