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새들은 페루에 가서 죽다 (특별판)
로맹 가리 지음, 김남주 옮김 / 문학동네 / 2007년 10월
평점 :
품절
일년에 한달은 한번 만났던 책들을 다시 읽어본다.
올해는 로맹가리다.
스물몇에 읽었던 이 단편집은 그저 낯설고 어려웠던 느낌만을 남겼는데,
다시 만난 그는 처음으로 뜨겁게 내게 안겨온다.
이 인간 천재로군..
어느 한 편도 놓치고 싶지 않은 빼어난 작품들이다.
이차세계대전 이후에 우리는 무엇을 잃었는가.
신앙을 잊었고, 신을 버렸으며, 품위 있는 죽음이 낯설어졌다.
옆집 숟가락 갯수까지 알던 이웃을 잃었고,
내 마을 공동체를 잃었다..
그러고 보니 인간에게 남은 것은 앙상한 자기자신 밖에 없다.
그 앙상한 자신이 무엇을 할 자유를 가지든 그게 뭐 그리 대수겠는다.
유태계 프랑스인이고 그 자신이 2차대전에 참전하기도 했던지라,
그의 글은 참 스산하다. 냉소적이다.
그의 단편선 전체에서 우리가 믿었던 신념들은 쉽게 부정되고 부서진다.
그는 이제 아무에게도 편지를 쓰지 않았고, 누구에게서도 편지가 오지 않았으며, 친하게 지내는 사람도 없었다. 자기 자신과의 관계를 끊으려는 그 불가능한 일을 하려 할 때 사람들이 언제나 그러는 것처럼 그 역시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끊어버렸던 것이다. (p15)
그녀가 흐느꼈다. 그가 대책 없는 어리석음이라고 스스로 이름붙인 그 무엇에 다시 점령당하고 만 것은 바로 그 순간이었다. 충분히 의식하고 있었고, 자신의 손안에서 모든 것이 부서지는 걸 목격하는 일에 습관이 되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늘 이런 식이었으므로 속수무책이었다. 그의 내부에 있는 무언가가 체념을 거부하고 줄곧 희망이라는 미끼를 물고 싶어했다. 그의 삶 깊숙한 곳에 숨겨져 있는, 황혼의 순간 문득 다가와 모든 것을 환하게 밝혀줄 그런 행복의 가능성을 은근히 믿고 있었다. 대책 없는 어리석음 같은 것이 그 안에 자리잡고 있었다. (p20)
이데올로기이든 헛된 사랑의 열병이든, 이상이든 그것을 뭐라고 부르던 간에 종국에는 우리를 허무의 나락으로 떨어뜨릴 근원의 언저리를 바라본다. 그리고 새들이 페루로 가서 죽을 수 밖에 없듯 배반될지 알면서도 다시 한번 대책없는 어리석음 속으로 걸어들어간다. 기왕지사 삶이란 그런 것이라면 제길 멋지게 온힘으로 날아가 떨어져 죽으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