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옥으로부터의 사색 - 신영복 옥중서간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199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신영복 교수님, 안타깝게도 그분을 알게된 것은 불과 몇해전의 일이다. < 더불어 숲>을 읽으며 장강의 깊은 물과도 같은 흔들림없는 삶과 호통치지 않되 가슴 가장 깊은 곳을 울리는 단호한 어조에 깊은 감명을 받았다. 나와 너만이 아닌 우리가 함께 더불어 살아가자고, 더불어 숲이 되자고 말하시던 분, 스승이 없는 시대에 감히 스승이라 부르고 싶었다.

통일혁명당 사건으로 스물여덟의 나이에 수감되어 이십년의 옥중생활을 겪어내신 분, 주체할수 없는 청춘의 열정과 삶의 희노애락과 성숙을 단절된 15미터의 벽앞에서 고스란히 보내야 했다. 벽은 한정과 단절과 구속이다. 벽앞에서 인간의 내면은 입체적이지 못하고 평면이나 소실점으로 사라지기 마련이다. 그러나 정신적 억압으로 대변되는 벽앞에서도 그분는 결코 자신만의 세상속으로 침잠하지도, 세상과의 소통을 끊어버리지도 않는다. 오히려 어떠한 가식이나 허위도 필요치 않은 벌거숭이로 만나는 수인들의 삶속에서 진정한 인간과 삶에 대한 통찰를 경험한다. 삶의 애락과 오호의 감정이 오직 인간에 의해서만 드러나는 한정된 공간속에서 이끌어낸 관조적인 삶의 시각은 그저 감탄할 따름이다. 

그러나 오직 관념뿐인 삶이란 얼마나 허무할까? 그분의 고뇌는 서간문 곳곳에 드러난다. 
"지식은 실천에서 나와 실천으로 돌아가야 참다운 것이라 믿습니다"  - p140 -
"이처럼 실천->인식->재실천->재인식의 과정이 반복되어 실천과 더불어 인식도 감정적 인식에서 이성적 인식으로 발전해갑니다. 그러므로 이 실천이 없다는 사실은 거의 결정적인 의미를 띱니다. 그것은 곧 인식의 좌절, 사고의 정지를 의미합니다. 흐르지 않는 물이 썩고, 발전하지 못하는 생각이 녹슬수 밖에 없는 이치입니다."  - p277-

수감초기의 냉철한 자기 성찰과 중반기의 진지한 삶과 인생에 대한 태도, 그리고 후반기의 완숙한 삶의 성찰은 시간에 따른 그의 의식변화를 보여주는듯 하다. 개인적으로는 80년대 초반에 쓰여진, 후반기의 편지글들에 깊은 감동을 받았다. 후반기의 주된 내용은 관계와 실천이다. 그분에게 있어서 관계는 곧 존재이고 실천이 곧 인식이다. 한정된 관계와 실천이 배제된 인식만으로 이어지는 불완전한 삶의 반복속에서도 자기 논리나 자기 연민에 빠지지 않는 그분의 삶의 태도와 시각이 이 책의 근간이 아닌가 싶다.

책장을 덥자마자 다시 첫장을 넘겼다. 반복해 읽을수록 그분의 글은 명징하게 다가온다. 잔잔한 호수처럼 맑고 명징하다. 허영심이 없다. 말과 글의 본질 위로 올라서려는 허영심이 완전히 배제된 글이다. 그분의 글을 읽는 순간, 난 가장 맑은 호수에서 가장 맑은 삶을 한 웅큼 낚아올린 기분이다. 책장을 넘기는 손맛이 짜릿하다.


댓글(14) 먼댓글(0) 좋아요(4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5-08-30 20: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온 세상에 울리는 선생님의 맑고 고운 울림(!)은 시대가 큰 폭으로 변화할수록 더욱 커다란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 같아요. 관계는 존재이고 실천은 인식이다.. 흠..고통 속에서도 오히려 더욱 세상을 사랑하고 존재를 껴안을 수 있다니..참.. 닮고 싶은 부분이기도 하지만 저같았다면 오히려 타인에게 더욱 상처를 내고 말았을지도 모를 일입니다. 잉크냄새님의 감정과 이성의 상승이 조화롭게 잘 느껴지는 좋은 리뷰네요. (하나를 알면 가끔 열을 까먹지만, 일케 또 복습을 해 봐야 나중에 잘난 척을 할 수 있쭁..)

겨울 2005-08-30 21: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시 첫장으로 돌아가 읽은 자리를 더듬는 근사한 기분, 알지요. 이 책, 다시 읽지 않으면 안되겠어요. 썩은 냄새나는 고인 물에 잠긴 듯 나태했던 일상을 위해서라도요.^^

파란여우 2005-08-30 21: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잉크님의 철학적 사유가 신영복 선생의 사색처럼이나 난이도가 높아요.
저도 이 책 읽은지 오래 되었지만 기억력이 별로 없다죠.
원래 이렇게 생겨 먹은걸 어떡합니까.
고통속에서도 세상을 아름답게 보겠다는 근사한 말은 겨우 기억하는데
그게요, 저는 도무지 안되더라구요. 그래서 맨날 잘난척 하면서 깨지고 산다죠.

icaru 2005-08-31 09: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스승이 없는 시대에 스승을 삼고자 했다는 것에서, 신영복 선생님을 향한 잉크냄새 님의 마음을 알 수 있겠네요.
님의 말씀처럼 불완전한 삶의 반복속에서도 자기 논리나 자기 연민에 빠지지 않았다는 사실만으로도 그 분은 대단합니다.
그런데 신영복 선생님의 책 <강의>는 읽기에 쉽지가 않더군요.. 오래 전에 중도포기...재시도의 기회를 틈틈이 노리는 중이긴 하지만....
원래 고전 관련이 쉽게 읽어낼 성질의 것이 아니기는 하지만요...

stella.K 2005-08-31 10: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님의 리뷰를 읽으니 전에 서재 지인으로부터 받은 다른 책이 생각이났습니다. 이렇게 마음이 착 가라앉아있는 요즘이었는데 그의 책이라도 붙들걸 그랬습니다.^^

잉크냄새 2005-08-31 12: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복돌이님 / 감정과 이성의 조화라는 부분, 언뜻 이해가 되지 않는 면도 있었는데 님이 예를 들어주신 짱구 사례로 확 깨달았습니다. 신영복 교수님 글은 항상 우리를 겸허하게 만듭니다.
우울과 몽상님 / 맞아요 그 기분 참 좋더군요. 책장을 덥자마자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는 경험, 처음이고 근사했지요. 제가 신교수님의 책을 접한 것도 님의 < 더불어숲> 리뷰를 통해서였습니다.
여우님 / 저는 실천할수 있는 여건이 되면서도 실천하지 못하니 참 부끄러운 일입니다. 사고가 썩는지, 녹스는지도 모르는 것이 가장 큰 잘못인가 봅니다. 여우님이 아니시지요.
이카루님 / 그래요. 하나의 점으로 사라질수 있는 자기만의 세상을 박차고 인간의 관계와 소통을 이야기하시는 분이시죠. 저도 이분의 다른 책을 물색중인데...<엽서>로 할지...<강의>로 할지...아직 미지수입니다.
스텔라님 / 님이 작년에 페이퍼로 꼬박꼬박 올려주시던 <더불어숲>의 구절들이 참 오래도록 가슴에 남아있습니다. 자유의 반대는 구속이 아니라 타성이라는 구절은 평생 간직될 겁니다.

2005-08-31 14:46   URL
비밀 댓글입니다.

플레져 2005-09-02 12: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불완전한 삶의 반복속에서도 자기 논리나 자기 연민에 빠지지 않는 → 저와 정 반대되는 모습이라 고개가 숙여집니다. 언제쯤 이 불안한 항해는 끝날런지요...

2005-09-02 12:05   URL
비밀 댓글입니다.

잉크냄새 2005-09-02 12: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속삭님 / 20년이란 세월이 얼마나 장구한 세월인지..그것도 인생의 최고점이라 할수 있는 20대후반에서부터의 20년이니 얼마나 엄청난 세월인가요. 그런 속에서도 스스로를 다스리는 삶의 자세는 이곳의 우리를 부끄럽게 만듭니다.
플레져님 / 보통 사람들은 자기애가 너무 강한가 봅니다. 어찌 보면 그것이 또한 세상을 살아가는 힘이 되기도 하겠지요. 하지만 자기애도 혼자만의 사고는 아닌듯 합니다. 혼자라는 생각은 관념뿐인 함정이라고 합니다.
속삭님 / ㅎㅎㅎ 볼건 보면서 엮읍시다요.^^

sweetmagic 2005-10-06 16: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무지하게 부끄럽긴한데...입장 바꿔 하라면 전 진짜 못 할 것 같아요
사색은 커녕 맨날 자학만 하거나 매일매일 미쳐갈지도 .....
이렇게 못난 제가 저도 ....참 애닮고 가슴이 아파요 ,......ㅠ.ㅠ

잉크냄새 2005-12-06 13: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매직님 / 보통 사람들의 삶이겠죠. 느끼고 감동하는 가슴에 비해 행동하지 못하는 가슴이 늘 아프답니다.

포로롱 2005-12-26 13: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훌륭한 책이었다고 기억하고 있어요. 어제 영풍문고에 가보니 한국 스테디셀러 칸에 있더군요.

잉크냄새 2006-01-16 16: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포로롱님 / 훌륭한 책이죠. 개인적으로 수세기가 흘러도 잊혀지지 않을 명작이 아닌가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