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 신영복 옥중서간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199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신영복 교수님, 안타깝게도 그분을 알게된 것은 불과 몇해전의 일이다. < 더불어 숲>을 읽으며 장강의 깊은 물과도 같은 흔들림없는 삶과 호통치지 않되 가슴 가장 깊은 곳을 울리는 단호한 어조에 깊은 감명을 받았다. 나와 너만이 아닌 우리가 함께 더불어 살아가자고, 더불어 숲이 되자고 말하시던 분, 스승이 없는 시대에 감히 스승이라 부르고 싶었다.
통일혁명당 사건으로 스물여덟의 나이에 수감되어 이십년의 옥중생활을 겪어내신 분, 주체할수 없는 청춘의 열정과 삶의 희노애락과 성숙을 단절된 15미터의 벽앞에서 고스란히 보내야 했다. 벽은 한정과 단절과 구속이다. 벽앞에서 인간의 내면은 입체적이지 못하고 평면이나 소실점으로 사라지기 마련이다. 그러나 정신적 억압으로 대변되는 벽앞에서도 그분는 결코 자신만의 세상속으로 침잠하지도, 세상과의 소통을 끊어버리지도 않는다. 오히려 어떠한 가식이나 허위도 필요치 않은 벌거숭이로 만나는 수인들의 삶속에서 진정한 인간과 삶에 대한 통찰를 경험한다. 삶의 애락과 오호의 감정이 오직 인간에 의해서만 드러나는 한정된 공간속에서 이끌어낸 관조적인 삶의 시각은 그저 감탄할 따름이다.
그러나 오직 관념뿐인 삶이란 얼마나 허무할까? 그분의 고뇌는 서간문 곳곳에 드러난다.
"지식은 실천에서 나와 실천으로 돌아가야 참다운 것이라 믿습니다" - p140 -
"이처럼 실천->인식->재실천->재인식의 과정이 반복되어 실천과 더불어 인식도 감정적 인식에서 이성적 인식으로 발전해갑니다. 그러므로 이 실천이 없다는 사실은 거의 결정적인 의미를 띱니다. 그것은 곧 인식의 좌절, 사고의 정지를 의미합니다. 흐르지 않는 물이 썩고, 발전하지 못하는 생각이 녹슬수 밖에 없는 이치입니다." - p277-
수감초기의 냉철한 자기 성찰과 중반기의 진지한 삶과 인생에 대한 태도, 그리고 후반기의 완숙한 삶의 성찰은 시간에 따른 그의 의식변화를 보여주는듯 하다. 개인적으로는 80년대 초반에 쓰여진, 후반기의 편지글들에 깊은 감동을 받았다. 후반기의 주된 내용은 관계와 실천이다. 그분에게 있어서 관계는 곧 존재이고 실천이 곧 인식이다. 한정된 관계와 실천이 배제된 인식만으로 이어지는 불완전한 삶의 반복속에서도 자기 논리나 자기 연민에 빠지지 않는 그분의 삶의 태도와 시각이 이 책의 근간이 아닌가 싶다.
책장을 덥자마자 다시 첫장을 넘겼다. 반복해 읽을수록 그분의 글은 명징하게 다가온다. 잔잔한 호수처럼 맑고 명징하다. 허영심이 없다. 말과 글의 본질 위로 올라서려는 허영심이 완전히 배제된 글이다. 그분의 글을 읽는 순간, 난 가장 맑은 호수에서 가장 맑은 삶을 한 웅큼 낚아올린 기분이다. 책장을 넘기는 손맛이 짜릿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