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리의 황홀 - 윤광준의 오디오이야기
윤광준 지음 / 효형출판 / 2001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좋은 사운드를 내는 스피커는 어떻게 가려내는가 하는 질문에, ‘비올라의 음색을 제대로 구현할 수 있는 가의 차이이다.’ 라고 어디서 주워 들었던 기억이 난다. 이 말에 나는 그런 의문을 품었었다. 비올라 소리인지, 바이올린 혹은 첼로의 음색인지 구별해 내는 능력은 스피커가 만들어 내 주는 것이 아니라 비올라가 어떤 소리를 낸다~ 하는 지각, 인식 같은 것이 중요한 게 아닐까 하는. 맨눈으로도 저것이 비올라인지 바이얼린인지 구분을 못하는 판국이라면 더더욱.
나는 이렇다. 음악을 좋아하지만, 오디오에는 좀 ‘무식한’이다. 내로라 하는 오디오 파일인 윤광준은 오디오 기기를 바꾸는 과정에서 음악과 기기 그리고 인간에 대한 세 축을 정교히 하지만, 나는 음악만 생각하는 사람이다. 청각도 원체 무감각스럽고.....
사회 생활을 처음 시작했던 97년 첫 월급을 타서 내 소유의 미니컴포넌트를 샀었다. 그 전까지는 룸메이트의 대형 라디오를 귀동냥이나 하는 신세였다. (귓동냥의 설움을 아시는지, 피아니시모 부분에서는 볼륨을 약간 높여 듣고, 포르테시모 부분에서는 순발력을 발휘 볼륨을 최대한 줄여 듣는 경지를 말한다.) 아무튼 그때 샀던 그 제품은 97년이었는데도 LG가 아니라 ‘골드스타’라는 브랜드명이 박혀 있었다. 흐흐... 갓 출시된 따끈한 신제품이 아니었던 탓에 비교적 싸게 구입했던 거다. 99년 초 직장을 옮길 때, 전 직장의 퇴직금을 탈탈 털어 지금까지 내 좋은 벗이 되어 주고 있는 롯데 오디오를 구비했다. (아마 기계가 망가져 소리를 내지 못하는 일이 벌어지지 않는 한, 앞으로도 이 기기를 바꾸지 않을 성 싶은데..)
이 오디오로 음악을 듣고 있으면 마치 제1 바이올린 연주자의 분주한 손놀림이 보이는 듯하고, 중앙 위쪽에 위치한 금관 악기 소리 특유의 뻗어가는 듯한 에너지가 각인되듯이 귀에 들어온다. 무대 저 뒤편에서 바닥을 설설설 기는 듯이 낮게 깔려오는 베이스는 공기의 간질거림으로 전달된다. 콘트라베이스의 잔향이 묵직한 여운의 꼬리를 남기며 공간 속으로 사라져간다. 여리고 유약한 부분이 전혀 없다.
확실히 이 녀석은 첫 월급을 탔을 때 샀던 골드스타 컴포넌트하고의 확연한 차이를 주며, 실로 접신의 황홀경을 주었다. 나 자신을 잊어버릴 정도로 등골이 오싹하는 전율. 자신을 잊어버린다는 것, 그것은 원래는 저 선율 속에 살았는데.... 이 밖에 있는 나는 내가 아닌 거 같은 느낌이다.
하지만 한번 수준이 높아진 귀는 점점 고급으로만 치닫는다 하니, 귀가 둔감한 척 애써 점잔을 빼며, 더 좋은 오디오에 대한 갈망을 감추고 살아야 할까 보다. 비용이 많이 드니까.
그가 언급한 명기들 골드문트나 마크 레빈슨 따위의 하드엔드 기기들 잘 모른다. 따라서 윤광준이 선정한 10대 명기 이야기인 3부 ‘하이엔드 오디오의 세계’는 사실 오디오 사진만 감상하면서, 눈이 호강하는 데만 그쳤다.
2부 ‘오디오 더 깊이 사랑하기’는 앰프, 스피커, 플레이어 등 각 파트별로 구체적인 이해를 도모하는 항목이다. 사실 이 책과 같은 전문 서적은 아는 사람에게는 물고기 물 만난 듯 반갑고, 모르는 사람에게는 그저 어렵게만 느껴지는 특징이 있다. 그럼에도 이 장을 읽다보면 윤광준이 오디오를 잘 모르는 대상으로 하고 있다고 생각이 든다. 그의 글은 친절하고 편안했다.
하지만 뭐니뭐니해도 가장 좋았던 부분은 맨 앞 1부 ‘추억과 열정의 오디오 편력기’ 편이다. 여기서는 그 기기를 만든 수많은 사람들의 취향과 고뇌가 얽혀 있는 오디오 이면의 고군분투하는 숱한 이야기들을 통해 인간의 열정과 도전이 어디까지 미칠 수 있는지를 볼 수 있다. 뭔가에 미친 사람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던. 이 책에는 인간에게 유보시킬 행복은 없다는 말이 나온다. 머뭇거리고 망설이다보면 결국 아무 것도 못하는 것이 사람의 삶이 때문이다. 꼭 오디오가 아니더라도 어쨌든 빠져 있는 만큼 생은 행복할 것이다.
오디오에 조예나 관심은 전무하지만 음악은 진지하게 듣고 싶은 이들이나, 인간의 다양성 만큼이나 다양한 오디오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싶으신 분들, 그리고 자신을 소멸하고 몰두시킬 수 있을 만큼 강력한 소리에 미쳐 있는 사람의 정신 세계를 엿보고 싶으신 분들이 이 책을 재미나게 읽으실 수 있을 것이다.
-------------------------------------------------------------------
그 밖의 메모....
“글렌 굴드의 명연주로 널리 사랑받는 바흐의 골드베르크 변주곡엔 굴드 특유의 흥얼거림이 녹음되어 있다. 피아노 연주 도중 간간이 튀어나오는 그의 음성은 연주의 감흥을 높여 준다. 이 연주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피아노의 음이 아니라 굴드의 목소리에 더욱 매력을 느낀다고 한다. 그런데 이 곡은 스피커를 바꾸었을 때 굴드의 목소리는 더욱 분명하고 끊어짐이 없이 들린다고. 오디오의 기기가 음의 디테일와 뉘앙스를 더해 준다는 것이리라.”
“영국제 스피커들은 보기와는 아주 다른 유려하고 매끈한 음을 들려 준다. 고유한 울림이 잘 반영되어 있다.”
아 이 책에서는 저자 윤광준의 친구로 김갑수 시인의 이야기가 나온다. 라디오 디제이이자, 시인인 김갑수도 한 오디오파일이라 한다. 얼마나 돈을 아끼고 아껴서 오디오와 음악에 투자했는지 화장지를 살 돈이 없어서 화장실에서 일을 본 후에는 샤워를 했다고 한다. 그런데 우째, 물값이 더 들겠다 싶은 거다. 돈이 없어서가 아니라 사러갈 시간이 없어서 아녔을까 싶은데..ㅋ 아무튼 그만큼 남 눈치 안 보고 좋아하는 것에 미쳐 있었다는 뜻이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