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풍경 - 김형경 심리 여행 에세이
김형경 지음 / 예담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랑을 선택하는 특별한 기준>에서도 그랬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도 그랬다.  우리 자신의 내면...겉으로 드러나지 않고 세월이 흘러가면서 저 속 아주 밑에 감추어 둔 일그러져 있는 슬픈 유년과 혹은 심하게 억눌린 모나고 못생긴 마음 한 켠과 맞닥뜨리는 것과 같은 뻘쭘함을 느끼게 했다. 그런 이유 때문에 그녀의 책을 피하고 싶은 마음도 있었지만, 묘하게도 김형경의 책들은 벗어나고 싶으면서도 한편으로는 헤어나고 싶지 않아, 그 속에서 나 자신의 행동의 이유를 구하고 싶게끔 하는 이중성을 갖는 것 같다.


<사랑을 선택하는 특별한 기준>과 이 책에서는 겹쳐지는 내용들이 좀 된다. 일례로, 전작 소설에서 정신 분석 상담을 받는 면담자와 피면담자의 에피소드가  이 책에 똑같이 나오는 부분이 있을 정도..... 게다가 직장다니며 아이 키우는 엄마들, 혹은 생업 때문에 이러저러한 이유로 바쁜 엄마들을 뜨끔하게, 혹은 죄책감의 골짜기에 빠지게 만드는 유아기 트라우마에 대한 심리 분석들...


설령 이 책이 <사랑을 선택하는 ...>의 연장선상에 있다는 느낌을 받게 되더라도 나는 이 책이 동어반복 심하다고 딴지를 걸고 싶지 않다. 전혀.


세상을 살아가면서 받는 상처와 그 상처의 원인을 소급하는 일, 삶에 대한 근원적인 공포와 비애 타인과의 미묘한 심리 겨루기 등등은 한 작품에서 한 번만 곱씹는 것 가지고는 쉽게 분에 차지지가 않을 만큼 ‘덜 이상하고 덜 모호한 딜레마’일 것도 같다.


<사랑을 선택하는 특별한 기준>이 소설 형식을 빌린 정신 분석 소설이었다면, 이 책은 낯선 외국, 여행지에서 (자칫 지리멸렬하게도 느껴지는 이 일상에서 나와 여행지 도처를 그야말로 헤매다니면서) 스치는 사람들의 속마음 저 안쪽을 김형경 자신의 경험을 빌려 투사해보고, 자신과 이 세상에 그녀와 비슷한 심장을 가졌을 팔 할의 사람들의 아픔과 억눌림을 이해해보려 하는 각고의 노력. 그 결정체일게다.

 

미묘한 사람의 마음 그 유약함의 세계를 정교한 핀셋으로 조심스레 헤집고 다니는 김형경. 그녀가 핀셋으로 그렇게 사람들의 가슴과 머리 혹은 무의식의 층위 혹의 콤플렉스를 헤집으려 하는데도, 저 여자가 경거망동(?)으로 뵈지 않는 것은 그러니까, 그녀는 나에게 자기의 상처와 세상의 상처를 아울러서 보듬으려 애를 쓰는 사람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댓글(14)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플레져 2004-12-24 00: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와 세상의 상처를 보듬으려는 김형경의 핀셋... 기꺼이 그녀에게 해부당하고 싶어요. ㅎㅎ 간결하지만, 책에 대한 전반적인 느낌이 다 담겨있는듯 해요. 추천합니다. 이미 책을 샀으니 땡스투를 못누르는게 아쉽네요....^^;;

마냐 2004-12-24 00: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토씨 하나 안 바뀌고 똑같이 나오다니, 건 좀 그렇군요. 암튼 예리하심다. ^^

icaru 2004-12-24 00: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플레져 님...저도요...그래서...그녀 책을 대할 때마다...저는 헤벨레레..

마냐 님... '토씨 하나 안 바뀌고'는 저의 뻥 같네요...^^;; 조사 정도는 바꾸었을 꺼고...주어와 목적어 정도는 일치함돠...에고... 제가 과장하는 습성이...

비로그인 2004-12-24 01: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랑은 선택하는 특별한 기준>을 일단 보아야겠네요...으흠...김형경님의 책이 그렇다던데(핀셋)..전 아직...알겠습니다. ^^

내가없는 이 안 2004-12-24 02: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사실 이 작가의 소설을 그리 즐겨 읽지 않아요. 그냥 간단하게는 마음이 편치 않아서, 라는 이유를 대지만 실은 그보다 좀더 구체적인 이유가 있겠죠. 마음이 편치 않게 하는 작가가 김형경씨 뿐만은 아니니 말이죠. 그런데 복순이 언니님도 참 작가를 사랑하는 독자인 듯해요. 경거망동으로 보이지 않는다는 말, 동감! 이 책 살 때 저도 땡스투 눌러야겠어요. ^^

2004-12-24 02:16   URL
비밀 댓글입니다.

kleinsusun 2004-12-24 08: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신분석"을 저도 한번 받아 보고 싶어요.

김혜남의 <나는 정말 너를 사랑하는 걸까>를 읽고 김혜남을 한번 찾아가 볼까 생각해 본 적 있거든요.

근데 그렇게 지나간 기억들과 나도 모르고 있었던 상처들을 끄집어 낸다는게...

참 그런게.....김형경 같이 모질지 않으면 하기가 너무 힘들 것 같아요.

호밀밭 2004-12-24 08: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 책을 읽으려고 생각하고 있어요. 2005년에 새로운 마음으로 읽어야지 계획만 세워 두었어요. 김형경의 책을 즐겨 읽다 보면 약간은 동어 반복적인 면이 느껴져요. 님, 정말 예리하시네요. 그리고 저도 내면에 있는 이중성을 알고 싶어서 정신분석을 받고 싶다는 생각이 들곤 해요. 정말로요. 님, 좋은 리뷰 잘 읽고 가요.

잉크냄새 2004-12-24 09: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지막 문단, 아마도 작가와 책에 대한 최고의 배려와 격려가 아닐까 싶네요.

icaru 2004-12-24 10: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폭스 님~~!! 제가 폭스 님이 쓰시는 일상 이야기를 즐겨 읽게 되는 이유 중에 하나는...님에게는 짐짓 부끄럽고 쑥쓰러울 수도 있는 속내도 남들에게 내보이는 당당함과 솔직함 때문이지요~... 그 글들을 보면서 그 속에 투사된 저를 보곤 했답니다. 하지만...저에게 그리 써보라 한다면 못 쓰거든요... 저에겐 좀 부족한 ...ㅋㅋ 같은 맥락에서 김형경의 이 책도 저의 편협함이 책 속의 맥락에서 읽혀 때론 석연치 않아질 때가 있긴 하지만...

그녀의 글은 저 자신을 다시 정리하게 하기 때문에 좋거든요.... 님의 글도 그래요...


로드무비 2004-12-24 10: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복순이 언니님, 리뷰 잘 읽었습니다.

유아기, 혹은 유년의 밀봉된 상처에 모든 책임을 전가하는 듯해서

전 그 점이 좀 불쾌하게 느껴졌고요.(꼼짝마! 하는 듯해서.^^)

자신의 사정을 진솔하게 털어놓고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점 때문에

꽤 재밌게 읽혔답니다.

님의 리뷰도 재밌네요.




icaru 2004-12-24 11: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안 님~ 맞아요... 김형경 책은 간단히 마음 편케 하질 않죠... 계속 반문하게 만들고 딴지 걸고 싶게 하는 부분... ‘에잇...또 그 얘기야...!’ 라는 말이 내질러지게 하는 면도 없지 않아 있어요....ㅋ 근데...신기한 건요...그럼서도...문장하나하나를 제가 잘 소화하고 있다는 느낌을 준 다는데 있어요... 그건 아무래도 작가 자신의 경험이 글속에 잘 체화되어 있어서 그런게 아닌가 싶은....몸으로 아파가면서 썼기 때문에... 잘 읽힌다는..

어떤 책들은 내가 뭘 읽고 있는건가 싶게...건너건너 구절이 들어오는 책이 있는가 싶으면서도 필자가 말하고자 하는 바와 제 생각이 대강 뜻이 맞아.... 그래 이 책 나쁘지 않다 싶은 책이 있는 반면에 말이죠....




icaru 2004-12-24 11: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클레인 수선 님~ 김혜남의 <나는 정말 너를 사랑하는 걸까>라~ 으아 그런 책이 있고만요... 검색해 봐야지 홀홀.... 상처를 끄집어 낸다는 것은 모질지 않으면 못한다는 님의 말에 끄덕끄덕 합니다...






icaru 2004-12-24 11: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호밀밭 님 우리 함께 정신 분석 받으러 가~ 볼까요.. ^^

잉크냄새 님... 제가 작가에 대해 박수로 보내고 싶은 마음을 바로 읽으셨구먼요!!!



로드무비 님~! 맞습니다... 유아기 체험이 아무리 중요하다기로소니..... 우리는 과거의 사생아가 아니지요.... 언제까지 어릴 적 핑계만 대고 있을 순 없는 노릇이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