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벤트] 알라디너의 솜씨자랑

프루스트에게 마들렌이 있었다면 내게는 카스테라가 있다.
다른 점이라면 카스테라는 다 만들어진 것을 한 쪽 떼어내어 먹을 때의 느낌보다는,
만드는 도중, 즉 오븐에서 구워지고 있는 동안 시간차를 두고 풍겨 나오는 냄새로 불러일으켜지는 반향이 훨씬 크다는 것.
밀가루, 설탕, 우유, 꿀, 오일 등의 재료가 한데 섞이고 180도 뜨거운 온도에서 각각의 맛이 아닌 새로운 맛으로 탄생하는 동안 그 과정을 엿보게 하는 그 냄새를 우리는 특히 풍미 (reverence) 라고 부르던가.

처음은 같았으나, 오븐에서 나올 때 윗부분의 색깔은 이렇게 달라져 있다.

식을 때까지 참을성있게 기다렸다가, 반듯반듯 썰기.

 





 

 

 

 

 

 

 

 



 

 

 

 

 

 

 

 

이렇게 완성되고 나면 안먹어도 행복하다. 누릴수 있는 온갖 것은 이미 만들면서 다 누렸으므로.

빵을 그닥 즐기지 않는 우리 식구, 다른 빵들은 만들어놓으면 며칠 가는데 이 카스테라만은 보통 이틀이면 다 먹는다.

기분이 가라앉거나 우울할 때, 부엌으로 달려가 카스테라를 만들어보라고 권하고 싶다, 만드는 방법을 모르신다면, 이 책을 참고하시라는 말과 함께.

 

 

 

 

 

 

왼쪽의 홈베이킹 책에는 제과, 제빵 뿐만 아니라 쉽게 만드는 우리 떡 만들기도 소개되어 있다. 재료나 방법이 복잡하지 않은데, 따라해보면 같은 재료, 같은 방법을 쓰더라도 나오는 결과물이 얼마나 다를 수 있는지 실감하게 된다. 얼마나 공들여, 꼼꼼히 과정을 밟았느냐가 결과물에 그대로 드러난다고 할까.

오른쪽 책은 제과 제빵 중심의 내용인데, 베이킹은 맛만 좋으면 된다는 철학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해주는 책. 빵, 과자의 색채와 크기, 담길 그릇과의 조화 등, 색채 디자인 공부도 따로 필요한 것이 아닌가 느껴질 정도.

아, 중요한 한가지. 카스테라 만들기의 성공 여부는 달걀 거품내기에 있다. 그릇을 거꾸로 들어도 달걀 거품이 쏟아지지 않을 정도로 빳빳해질 때까지, 즉 이미 거품이란 말이 어울리지 않는 순간까지 열심히 저어주는 것. 이게 안되면? 포실포실 카스테라가 아니라, 떡 처럼 된다. 쌀가루로 만든 제대로 된 떡이 아니라, 밀가루 떡 ^^


댓글(25)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설 2008-11-25 07: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반듯하게 잘린 카스테라 정말 환상적이네요. 빵냄새가 솔솔~ 우유랑 먹으면 사르르 녹는 그 맛은 정말 잊을 수 없는 맛이지요^^

마노아 2008-11-25 08: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만들면서 맛보았던 그 향으로 이미 누릴 것은 다 누렸다는 표현이 멋져요. 카스테라의 향기는 정말 근사하지요. ^^

행복희망꿈 2008-11-25 10: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달콤하고 부드러운 카스테라~ 너무 맛있겠어요.

2008-11-25 10:5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8-11-25 12:2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8-11-26 15:00   URL
비밀 댓글입니다.

최상철 2008-11-25 11: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너무 맛있어 보여요~ 신랑 왈, 니가 뭔들 안 맛있겠냐고 하지만~ 일명 빵순이인데,
왜케 빵 만드는 것은 어려워만 보이는지요~
카스테라 아이가 무척 좋아하는데, 이번주 일요일은 무슨 일이 있어도 한번 도전해봐
야겠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실천할 수 있을까 그것이 문제인 듯 해요~

hnine 2008-11-25 12:26   좋아요 0 | URL
미설님, 이 날은 망칠 각오를 하고 (^^) 아이를 동참시켜서 만들었는데 저 혼자 만들었을 때보다 더 잘 나왔어요. 그래서 아이를 한껏 추켜세웠지요.

마노아님, 우리 음식과 빵 만들기의 차이점 중의 하나이지요, 만드는 동안의 그 냄새요. 영양가나 건강 면에서 따지자면 우리 음식만한 것이 있으랴 싶지만, 그 풍미와 입에 닿을 때의 촉감은 아무래도 빵이 더 매력적이지요? ^^

행복희망꿈님, 달콤, 그리고 부드러움. 카스테라의 맛은 바로 그거지요. 원래 레시피에서 설탕을 좀 줄여서 만들었는데도 충분히 달콤하더라구요. 맛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6학년 상철이 어머님 ^^ 같은 빵순이끼리 악수해요, 반갑습니다. 카스테라 만들기 저는 저나마 만들기까지 실패 많이 했어요. 하지만 달걀 거품내기만 잘 하시면 성공하실 수 있으니 도전해보시기 바래요.

조선인 2008-11-25 14: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흑, 배고파요!!!

뽀송이 2008-11-25 14: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 여기 빵순이 한 명 추가요~~~^^;;
저도 밥보다 빵을 더 좋아한답니다.
기분이 가라앉을 때의 카스테라... 먹어보지 않은 사람은 몰라요...^^;;;
그 부드러움이 주는 위로의 숨결?? ㅎ ㅎ ㅎ ㅎ 쓰읍,,,, 맛있겠어요.^^

hnine 2008-11-25 15:10   좋아요 0 | URL
조선인님, 출출하실 시간인가봐요. 이럴 때 카스테라 한 조각이면 없던 힘도 팍팍 생길텐데...사진으로만 보여드려 미안하네요.

뽀송이님도 빵순이셨구나~ ^^ 이렇게 부드러운 음식이 왜 우리 음식엔 없는 것일까요. 물른 거친 음식이 몸에 좋다고는 하지만요. 제가 그나마 제일 자신있게 만드는 빵이랍니다. 맛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eppie 2008-11-25 15: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포실포실 멋지게 만드셨네요! 달콤하고 촉촉해 보여요. 말씀대로 거품을 빽빽하게 내잖으면 곧 밀가루떡이 되고 마는 카스테라인데 이렇게 화사하게 구워지면 정말 먹지 않아도 행복하겠어요. :]

진주 2008-11-25 15: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허걱.....................................
이 이 이 일을....우 ㅓ 짠 도ㅑ.....

(참고로, 저는 3년 전 다이어트 시작하면서
맨 먼저 한 일이 "빵 끊기"였답니다.
48kg을 유지하기 위해선 지금도 빵보기를 돌 보듯.
그러나 나인님 빵이라면 돌보듯 못 할 거예요..ㅠㅠ
아..달콤향그른 굽는 냄새 난다...아으..)

진주 2008-11-25 15: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그런데 말이죠..
오븐 같은 거 없으면 저거 못 맹글죠?
전에 누군가는 전기밥솥으로 카스테랑 맹글었다고 해서...

아..역시..오븐 없으면 못 맹그는겨.
그려! 난 오븐 없어서 문제없다~~~~^O^

hnine 2008-11-25 15:27   좋아요 0 | URL
eppie님도 카스테라 많이 만들어보셨군요! ^^ 달콤, 촉촉, 카스테라가 받을 수 있는 최고의 칭찬이지요. 감사합니다.

진주님, 어머, 다이어트하신다고 빵을 끊으시다니...빵을 먹을때는 딱 그만큼 밥을 덜 먹으면 되지 않을까요? 하지만 저 때문에 계획에 차질이 생기면 안되지요. 그리고 오븐 없으니 카스테라 못 만드시옵니다! 안심하시옵소서. (단, 얼른 전기밥솥 어디 안보이는데에 치우시옵소서.)

2008-12-02 08:16   URL
비밀 댓글입니다.

hnine 2008-11-25 18:51   좋아요 0 | URL
하하...알겠습니다 ^^

춤추는인생. 2008-11-25 23: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 전 밀가루떡을 두어번 만든적이 있지요 ㅋㅋ 그런데 나인님 카스테라는 제것과 비교할수없이 맛있어보여요. 일요일날 공갈빵을 만들었는데, 제대로 부풀지 않아, 파이처럼 되어버렸어요. 아 전언제쯤 선수가 될까요 나인님..^^

hnine 2008-11-27 08:42   좋아요 0 | URL
저도 그런 시행착오를 많이 겪었어요. 그래서 혼자 다 처치하느라 애먹기도 하고, 다시는 안 만들리라 혼자 굳은 결심 한 적도 있고요 ^^
공갈빵은 혹시 발효가 충분히 안되어 그런게 아닐까요? 식빵 만들때 그 반죽 조금 남겼다가 납작하게 밀어 오븐에 넣으면 잘 부풀던데요.

하양물감 2008-11-26 09: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여기도 빵순이요~~~~~~^^;
요즘 우리 한솔이도 엄마를 닮아가는듯...빵만으로도 열흘은 너끈히 버틸 수 있는뎅....(^^)
카스테라 너무 맛있겟어요....

hnine 2008-11-26 16:19   좋아요 0 | URL
저는 열흘도 더 버틸 수 있어요 ^^ 그런데 건강을 생각해서 자제하고 있지요. 빵은 어디까지나 보너스, 끼니를 대신할 수는 없다! 이런 방침을 세운 것도 일부러 자제하기 위한 안간힘이라고나 할까요 ㅋㅋ
카스테라는 그나마 버터도 안들어가서 좋은데 설탕이 좀 많이 들어가긴 하지요. 그래서 설탕도 조금 줄여서 만들어요. 그래도 달더라구요 ^^

순오기 2008-11-26 18: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으흑~~~ 우리 가족은 모두 빵순이 빵돌이야요.
엄마는 왜 빵 만드는 걸 배우지 않느냐고 원망 무쟈게 들었어요.
게다가 꿈의 카스테라라니~~~~~ 미치겠어!!
이럴땐 추천을 무한대로 해야되는뎅ㅇㅇ ^^

hnine 2008-11-26 20:41   좋아요 0 | URL
순오기님, 잼 만드는 기술이나 정성에 비하면 카스테라는 아무것도 아닌걸요 ^^ 그나저나 몸은 좀 어떠신지 모르겠어요.

세실 2008-11-30 08: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쿠키만 도전하다 이제 관심 물러갔고, 카스테라는 음..... 자신 없습니다. 히
님 빵맛을 언제나 볼 수 있을까요?
고1때 쫓아다니던 남자애가 고려당에서 파는 커다란 벌꿀 카스테라 상자를 주었을때 거절 못하고 받은뒤 언니랑 둘이 허겁지겁 먹던 생각이 납니다. 그때 카스테라는 제게 이 세상에서 가장 달콤한 맛이었습니다.

hnine 2008-11-30 08:44   좋아요 0 | URL
와~ 그런 일이 있었군요. 저에게는 한번도 없었던 일이~ ^^
카스테라에 워낙 달걀이 많이 들어가니까 달걀 비린내를 잡아 주기 위해서 럼주나 청주를 조금 넣기도 하고, 꿀을 넣어주기도 하지요.
어떤 카스테라가 그때 그 카스테라 맛에 비기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