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찾은 브라이즈헤드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57
에벌린 워 지음, 백지민 옮김 / 민음사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나간 시절을 다시 살아볼수는 없다. 하지만 지나간 시절 속에 다시 들어가보는 듯한 경험은 할 수 있는 것 같다는 경험을 3년 전 해본 적이 있다. 그건 바로 그 장소를 다시 방문하게 되었을때가 아닐까.

저자 에벌린 워의 자전적 이야기가 많이 반영되어 있는 이 소설은 2차 세계 대전에 참전중인 중년 장교 찰스 라이더가 부대와 함께 우연히 자기가 열아홉 젊은 시절을 보냈던 장소인 브라이즈헤드 성을 방문하여 머물게 되면서 1인칭 시점으로 과거를 회상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나는 전에 이곳에 있었어." 내가 말했다. 나는 전에 그곳에 있었다. 첫 방문은 이십 년도 더 전인 6월의 구름 한 점 없는 날, 메도스위트가 배수로에 크림색으로 흐드러지고 여름의 온갖 향기로 공기가 묵직할 때 서배스천과 함께였다. 그때는 유난히도 해가 쨍한 날이었으며, 나는 수차례, 다양한 심기로 그곳에 있었음에도 다시 찾은 지금 내 마음이 회상한 것은 그 첫 방문이었다. (39쪽)

서민층 출신 찰스는 집안의 기대를 안고 옥스포드에 입학한다. 선배, 동급생과 맺어지는 새로운 관계, 새로운 환경 속에서 가장 두드러진 대상은 동료인 서배스천이었다. 서배스천을 만나기 이전과 이후 찰스의 인생은 달라졌으니까. 서배스천이 눈에 띄는 외모를 하고 있기는 했지만 결코 완벽한 인간도 아니었고 모범이 될 만한 인물이 아니었음에도 서배스천의 모든 행동과 말과 거취는 찰스의 생각과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이런 관계를 두고 치명적인 관계, 운명적 관계라 부를 것이다. 

이 소설이 출간되자마자 대중적으로 큰 인기를 얻었다는 말이 의아할 정도로 이 소설은 영국 귀족 계급, 대중적이지 않은 옥스포드라는 특별한 기관에서의 집단과 개인으로서의 생활 방식 등을 그것도 아주 세세히 다루며 진행해나가고 있다. 또한 청춘들의 연애사, 성장통, 동성간 우정, 종교, 결혼 등 하나에 집중하지 않은 많은 주제를 다루고 있어 어디에 촛점을 맞춰야 할지 끝까지 결정을 못하며 읽기를 마쳤고 다 읽은 후 해설을 참고하여서야 이런 주제들이 모두 다루어졌구나 이해할수 있었다. 오히려 그런 이유에서일까. 1981년 영국에서 ㅇ이 작품이 TV 시리즈물로 만들어졌을 때 그 인기가 대단했다고 한다. 출간된 해가 1945년이라는 연도에서 짐작되듯이 이 소설이 출간되었을 시기는 2차세계대전이라는 전쟁의 복판에 있던 시기이고 거의 모든 사람이 신체적 정신적 배고픔에 시달릴때였으며 작가인 에벌린 워도 예외는 아니었다. 그런 가운데 1920, 30년대를 배경으로 하는 중상위층 사람들의 얘기가 사람들에게 어떤 매력적인 요소로 작용했던 것일까. 이 소설에 대한 해설을 보면 이것을 성냥팔이 소녀가 눈보라 속에서 성냥불을 켜서 잠시라도 추위와 배고픔을 잊는 것에 비유해놓고 있다. 이 소설이 그당시 눈보라속 성냥불 역할을 해주었다는 것이다. 

자유분방한 옥스포드에서의 생활, 아슬아슬할 정도의 청춘, 하지만 지켜야할 종교와 도덕, 자유가 도덕과 종교의 범위를 넘어갔다고 하는 판단이 이후 이들이 스스로 자기 인생을 꾸려나가는데 어떤 영향으로 작용을 하는지. 참으로 한마디로 규정할 수 없는 여러 가치관과 잣대의 충돌을 저자는 자기 인생에서 겪었고 그것을 스스로 대표작이라고 말하는 이 소설 속에서 드물게 개정판까지 내며 정리해보려고 한 것 같다. 1981년에 TV영상물로 만들어졌다고 했는데 이후로도 다른 해석과 다른 방식의 시도의 여지가 많아보인다. 찰스가 브라이즈헤드를 재방문하게 된 것처럼 이 작품 역시 재독, 재해석의 여지가 많다는 것이다.


2019년 가을, 나는 수십년 만에 나의 이십대 후반과 삼십대 초반을 보내던 곳을 혼자 다시 방문해본 적이 있다. 갈때만 해도 반갑고 그리운 마음이었는데 막상 기차에서 내려 그곳의 지역을 가리키는 표지판을 보는 순간부터 나는 발걸음이 느려지고 있었다. 그리고, 보는 듯 마는 듯 서둘러 둘러보고는 다시 돌아오는 기차를 탈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차마 당당하게 둘러볼 수 없는 마음에 웃음대신 눈물을 흘렸던 것은 지금 생각해도 잘 이해가 되지 않는다. 

『다시 찾은 ○○○』모두 이런 곳, 이런 시기를 마음 속 한켠에 갖고 있지 않을까. 차마 아무때나 꺼내볼 수 없는 그런 브라이즈헤드가.

참으로 마음 복잡하게 하는 작품이었다. 언젠가 재방문 해볼만한 작품이다. 


댓글(17)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tella.K 2021-09-30 09:4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그 마음 뭔지 알 것 같습니다. 저도 버스 한번만 타면 내 어란시절 옛동네를 갈수있는데 여태 못 가고 있습니다.ㅠ

hnine 2021-09-30 13:27   좋아요 1 | URL
개인적인 감상이 섞여들어가니까 일단 객관성을 잃어버리고 읽게 되더라고요 ㅠㅠ
작가가 이 작품으로 하고 싶은 얘기가 아주 많았구나...그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읽는 사람에게 다 전달되지 않거나, 잘못 또는 일부만 받아들이거나 할 위험이 있다는 것을 작가도 알았을까요? 내고나서 한참 후에 기어이 개정판을 내고 말았으니까요.

blanca 2021-09-30 09: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 읽어봐야겠네요. 이런 이야기 좋아해요. 책 소개 감사해요. 그런데 번역이 괜찮나요? 궁금합니다. 번역 얘기가 있어서요.

hnine 2021-09-30 13:38   좋아요 0 | URL
책이 재미없어서가 아니라 포인트를 잡지 못해서 읽는데 한참 걸렸어요. 번역이 잘 되었는지는 잘 모르겠는데 번역하는 사람이 참 힘들었겠다는 생각은 여러번 했답니다. 옥스퍼드의 학제, 기숙사 생활, 건물 양식, 그림 양식, 역사적 배경때문에 인용한 부분 기타 등등, 주석 붙은 곳이 너무나 많아요. 책 한권 속에 주석이 386번까지 달려있어요. 다 읽고 넘어갈 필요없다고 해도 그러자니 찜찜하고요. 그리고 영국 작가라서 그런지 직접적인 묘사보다 인물의 심리나 상황을 비유해서 표현하는데 아주 능숙한 사람이라서 제가 놓치고 그냥 읽어넘어간 부분도 많을거예요.

다락방 2021-09-30 11: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너무 궁금하네요. 생각보다 쪽수가 많지만(6백쪽이 넘네요!0 저도 읽어보고 싶어요. 어쩐지 저도 좋아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hnine 2021-09-30 13:46   좋아요 3 | URL
초반부는 주인공 찰스가 그의 동급생 서배스천에게서 동성간 매력을 느끼고 끌릴수밖에 없는 관계, 그것을 통한 정신적 성장 이런쪽으로 촛점을 맞추고 읽으면서 얼마전에 읽은 <위대한 몬느>, <나르치스와 골드문트>, <지성의 양식> 이런 작품들을 연상했는데 중반 너머로 가서 주인공의 결혼, 헤어짐, 상대방에 대한 가책 등으로 고민하는 부분을 보면 마치 톨스토이의 작품에서처럼 도덕과 종교와 양심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 것이 더 부각되는 것으로 보였어요.
혹시 읽으시게 된다면,
1. 한번 읽을 때 50쪽 이상은 읽을 수 있을때
2. 책에 집중해서 읽을 수 있는 상황일 때
그럴때 읽으시는게 좋지 않을까 해요.
저는 워낙 슬렁슬렁, 어떤 때는 한번에 100쪽도 읽지만 어떤 때는 겨우 서너쪽 읽고 덮기도 하고 그런 식이라서요.

scott 2021-09-30 17: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에벌린 워의 한 여름 방학 같은 청춘이 느껴지는 이 작품 가장 좋아합니다 ^ㅅ^

hnine 2021-10-01 05:24   좋아요 0 | URL
제목에 끌려 선택했을 뿐 저는 처음 보고 듣는 작가였어요. 영국 작가인데 미국에서의 대중적인 인기 얻는데도 성공적이었다고 하네요. 한 여름 방학 같은 청춘 같은 느낌으로 읽기 시작하다가 뒷 부분에는 내가 뭘 놓치며 읽어왔던가 하는 의심을 슬슬 느끼게 하는 작품이었답니다. 재방문을 부르는 작품 중 하나가 될 것 같아요. 이렇게 실제로 다시 읽어보는 소설이 몇권 있어요. 읽을때마다 느낌이 같지 않더라고요.

책읽는나무 2021-09-30 20:0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는 나인님 마지막 단락 문장들이 종일 맴돌았어요.
오전에 나인님의 리뷰 읽고 이제사 댓글 다네요.
저도 한 번 읽어 보고 싶네요.위에 스콧님도 좋다고 하시니~^^
편안한 밤 되시옵소서♡

hnine 2021-10-01 05:33   좋아요 1 | URL
책읽는나무님도 그런 장소가 있으신가요? 저는 그곳을 다시 방문했을때의 그 느낌을 지금도 잊을 수가 없어요. 전혀 예상못한 반응이 왔거든요. 저의 지난 시절, 그때의 제가 저만치 영상을 보듯 다시 보이더라고요. 그런 느낌을 이렇게 작가는 작품으로 써내겠지만 저는 그냥 느낌으로 붙잡고 있을 수 밖에요.
(아들이 늦게 들어와서 편안한 밤 못보내고 말았네요 ㅠㅠ)

scott 2021-10-08 16:0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에이치 나인님 이달의 당선 추카~~
10월에 포스팅 많이 올려 주세요

주말 행복하게 ~

그레이스 2021-10-08 18:19   좋아요 1 | URL
저두요 축하드려요

hnine 2021-10-09 06:25   좋아요 1 | URL
Muchas Gracias.
Feliz fin de semana.
(감사합니다. 즐거운 주말 되세요.)

서니데이 2021-10-08 18:2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달의 당선작 축하합니다.

hnine 2021-10-09 06:25   좋아요 2 | URL
감사드려요. 별로 부지런히 쓰지 못한 달이었는데 부끄럽네요,

페크pek0501 2021-10-11 15: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달의 당선작, 축하드리옵니다. 저는 이거 타 본 지가 한참 된 것 같아용. ㅋㅋ
꾸준한 독서와 꾸준한 리뷰 쓰기가 빛을 발하고 있다고 봅니다. ^^

hnine 2021-10-11 15:32   좋아요 1 | URL
주시는 상이니 감사히 받지만 요즘 저도 책읽기 많이 못하고 있어요.
책읽는것 여전히 좋지만 그보다 더 재미있어 보이는 일 있으면 언제든지 뛰어나갈 준비가 되어 있기도 해요 ^^
할수만 있다면 직접경험이 찐 아니겠나 해서요.
잘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건강하게 가을을 잘 보내시기를 바랄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