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35명이 자살을 한다. 최근 보건복지가족부의 통계를 보면 그렇다. 한국의 자살 사망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0개 회원국 중 1위라고 한다. 반면 결혼과 출산은 크게 줄고 있다. 많은 사람들에게 결혼과 출산은 점점 ‘미친 짓’이 되어가고 있다. 이를 어떻게 보아야 할까? 정부의 대책이 시급한가? 어떤 수준의 대책이 가능하단 말인가? 혹 한국의 발전전략, 아니 한국 사회를 움직이는 근본 원리의 효용성이 그 어떤 한계에 다다랐다는 걸 말해주는 신호는 아닐까?

한국의 인구밀도는 1㎢당 474명으로 세계 3위지만, 산악지대를 빼고 평지 중심으로 계산하면 세계 1위다. 서울의 인구밀도는 1만6181명으로 세계 최고 수준이다. 다른 도시들도 서울 모델을 따르고 있다. 이런 고밀도 사회는 치열한 경쟁을 불러일으키는 ‘속도전쟁’으로 치닫게 돼 있다.

한국은 속도전쟁의 첨단을 달리는 나라다. 세계에서 가장 빠른 압축성장의 신화를 만든 나라가 아닌가. 압축성장은 ‘초일극 집중 구조’와 그에 따른 ‘소용돌이형 경쟁체제’하에서 이루어졌다. 모든 행동은 ‘빨리빨리’와 ‘일사불란’의 지배를 받았다. ‘다양성’보다는 ‘동질성’이 지배 엘리트를 구성하는 원리가 되었다. ‘민주적 합의’의 경험은 짧고 ‘소신과 결단’의 역사는 길다.

한국 사회의 병폐로 지목받는 연고주의도 따지고 보면 ‘속도전쟁’의 산물이다. 연고주의는 이심전심이라는 속도를 숭배하는 이데올로기다. 학벌주의도 다를 게 없다. 학벌주의는 복잡한 인간평가의 과정을 학벌이라는 ‘간판’ 하나로 대체함으로써 시간을 줄이고자 하는 속도전쟁이다.

한국의 근현대사는 불확실성의 질곡으로 점철된 시대였기에 한국인들은 본능적으로 불확실성에 대한 공포감을 갖고 있다. 그래서 불확실성을 제거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종교, 위계질서, 신분증 문화가 발달했다. 간판은 불확실성 제거의 표지이기에 요란할수록 좋다. 속도전쟁의 이면엔 바로 이 불확실성에 대한 공포가 자리잡고 있다. 다른 것에 대한 공포는 동질성을 찾고자 하는 시도로 이어진다. 또 이게 같은 간판을 가진 사람들의 결속력을 높여주기 때문에 이왕이면 좋은 간판을 가져야 할 결정적인 이유가 된다.

좋은 간판을 가진 사람들이 느끼는 간판의 우선적인 효용은 안도감이다. 자기 확인이다. 요란한 간판을 내건 상인들도 똑같은 말을 한다. 간판은 자기 존재 증명이다. 인정 투쟁이다. 장사가 잘되면 좋지만 안되더라도 “나 여기 있다”는 걸 알리는 일을 소홀히 할 수는 없다. 눈과 귀는 따로 놀지 않는다. 언제 어느 곳에서건 자기 감정 발산을 자유롭게 하는 한국인들의 큰 목소리가 낮아질까? 그게 낮아지지 않는데, 시각적인 간판 문화만 홀로 바뀔 수 있을 것 같지는 않다.

선거 때만 되면 불법·탈법·편법이 난무해 ‘선거망국론’까지 제기되지만, 선거 때문에 나라가 흥할 일도 없고 망할 일도 없다. 선거는 후보들의 자기 존재 증명을 위한 이벤트일 뿐이기 때문이다. 이미 한국의 모든 시스템이 속도전쟁 위주로 짜여 있는데다 ‘갑’과 ‘을’의 관계로 대변되는 권력지상주의 구조가 건재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간 속도전쟁의 최대 논거였던 ‘국제경쟁력’은 자살 증가와 결혼·출산의 감소 앞에서 설득력을 잃고 있다. 이제 한국인을 질식시키는 속도전쟁의 구조에 대해 말해야 할 때다. 하지만 이념의 언어로 접근하면 실패하기 십상이다. 속도전쟁은 이념보다 더 크고 근본적인 문제이기 때문이다. 그것을 이념으로 협소화시키면 문제의 본질이 왜곡되고 은폐된다. 문제는 우리 모두 중독돼 있는 속도에 있다.  


한겨레신문 2010.3.2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