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leesunok.com/archives/3869

이선옥작가의 새글을 메일로 받아보는 중이다. PC주의와 페미니즘의 해악에 대해서 드라마를 보고 인상을 남겼다. PC주의와 페미니즘의 폭력적인 태도에 대해 대중이 가지는 피로감이 무엇인지 말한다. 

글 속에서는 '링컨차를 타는 변호사'에서 청소년들이 싸우는 이야기가 나온다. 여론재판을 통해 이미 나쁜 놈을 변호하는 자신의 아버지에 대해 '네 아빠는 가부장제를 옹호하고 학대를 권장하고 있어'라고 말한 친구를 때린 장면에 대해 말한다. '무엇이든 정치적으로 해석하고 최대한 악의적으로 해석'하는 페미니즘의 문제에 대해 말한다. 

나에게도 내가 잘못일 수도 있는데,라는 생각을 하게 한 드라마가 있었다. 누군가 그건 '쓰레기'라고 말하는 걸 들었지만, 여전히 나는 왜 그렇게까지,라는 생각이 드는 미묘한 감상의 드라마는 '앨리맥빌' (https://namu.wiki/w/%EC%95%A8%EB%A6%AC%20%EB%A7%A5%EB%B9%8C )이다. '앨리맥빌'을 재밌게 봤지만, 조금씩 그 때의 나에게 질문하는 순간이 많았었다. 기억나는 에피는 크게 두 가지이다. 

여왕벌 사장님(시즌4 에피소드21)이랑, 피시변호사가 자신의 할아버지? 장례식에서 조사를 읊는 거다. 

여왕벌 에피에서 앨리의 사무실은 결혼했다고 직원을 해고하는 여자 사장님의 변호를 맡게 된다. 그 여자사장은 꽤나 자신만만하게, 내가 사장이고 자신은 성적 매력을 통해 직원들의 충성심을 끌어내고 있다고, 그러므로 결혼을 이유로 해고할 수 있다고 말한다. 담론의 뒤집어진 면을 본 것처럼 질문들이 생겼었다. 회사에서 성적인 무엇도 허용하지 않는 것과 성적인 것들을 동력으로 삼아 저런 식으로 운영하는 것. 각자의 사정, 각자의 생각, 같은 것들. 

피시변호사 에피는 찾지 못했는데, 이 때 피시 변호사는 장례식의 조사를 앞두고 한참을 앨리와 이야기한다. 자신의 할아버지는 늘 인종차별주의자였다. 그런 분이셨는데, 아닌 체하는 게 맞냐고, 2차대전을 겪고 이민자의 삶을 사셨는데, 그 분의 사상이 지금과 맞지 않다고 해서 내가 그럴 수 있느냐고 말했던 것도 같다. 

피시 변호사에 대한 나무위키 설명을 보니까, 딱 그런 인물이었다. (https://namu.wiki/w/%EB%A6%AC%EC%B2%98%EB%93%9C%20%ED%94%BC%EC%8B%9C ) 이 해설에서 피시즘(Fishism),을 본 기억이 있어서 검색했는데, PC주의만 나온다. 나는 피시 변호사를 좋아했기 때문에, 나의 어떤 태도들 '그러면 안 돼'라고 누군가를 교정하려던 태도들을 돌아보게 된 것도 같다. 

다들 나름의 이유들이 있을 것이다, 라고 좀 더 관대해졌을 것도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가까운 사건이라 뉴스를 본 기억이 났다. 이미 아는 일인데도, 이유가 역시 궁금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Ee6AzsJr-zU )

남편도 모르게 임신하고 출산한 부인은 자신이 출산한 영아를 셋이나 살해했다. 아무 것도 모르던 남편은 어느 날 집 냉동고에서 영아사체를 발견하고는 경찰에 신고했다. 조사 과정에 이 프랑스인 부부는 출국했고, 모든 DNA결과가 부부를 가르킨다는 수사결과에 우리나라 과학수사를 믿을 수 없다는 프랑스 언론도 기억이 나고, 끝까지 부인하던 부부의 인터뷰 장면도 나온다. 수사자료를 넘겨받고 모든 분석을 마친 프랑스에서도 그 부인은 역시 아이들의 엄마였다. 

오랜 심문과 정신감정에서 그 부인은 임신거부증이라는 진단을 받는다. 미성년자 살해에도 불구하고, 병이 참작되어 그래도 어느 정도의 감형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결혼도 했고, 부유하고, 이미 아이도 둘이나 있다. 그런데도 그 부인은 임신거부증,이 생겨서 임신을 잊고, 엄마에게 잊힌 태아는 숨죽인 채 존재를 숨기며 자라다가, 어느 날 갑자기 괴물처럼 엄마에게서 분리된다. 그 상황을 맞닥뜨리는 여자는 아이를 아이로 인지하지도 못한다. 

임신거부증,이라는 병에 대해서 말하면서, 살인을 합리화할 수 있기 때문에 용인하지 못한다는 말이 더해진다. 

간절히 아이를 원해서 일없이 배를 부풀리는 상상임신이 있으니, 아이가 필요없어서 존재하는데도 존재를 부인하는 임신거부증이 있을 수도 있는 건가. 

어떤 문명은 아이가 필요없다는 생각을 계속 계속 만들어내면서도 아이를 만들 수 있는 성교는 그저 이성애의 수단으로 인식하는 건가. 여자는 아이를 원하지도 않으면서도 남편과 성교하고, 절대 임신일 리 없다고 스스로에게 최면을 걸었던 건가. 잊고 거부하고 결국 살해하는 이야기 가운데, 사랑하니 당연히 성교하지만, 아이는 별개라고 생각하는 기형적인 문명의 모습을 본다.  

왜 나를 낳았느냐고 혹시라도 아이가 나를 비난한다면, 네가 나에게 온 게 아니냐고 반문할 마음을 단단히 먹은 나에게는 아이와 나의 관계에 능동성이 없는데, 저 이야기 속의 능동성에 놀란다. 


엄마조차 거부하면, 아이는 살아남지 못한다.

사람은 얼마나 신기한가. 

생각이나 감정은 몸에, 몸은 생각이나 감정에 얼마나 많이 좌우되는가. 

존재를 존재로 받아들이는 것조차 얼마나 어려운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호우 2022-11-03 08: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제 어떤 글을 읽다가 이선옥 작가를 알게 되었고 <단단한 개인>이라는 책을 알게 되었습니다. 단단한 개인 리뷰를 찾아 읽다가 별족님에게 다다랐고 별족님의 성실한 글들을 링크하신 이전 글들까지 죽 읽어 내려오다보니 여기까지 왔네요. 말 하는 사람은 많지만 듣는 사람은 적고 판단을 내리기 전에 곰곰히 생각하는 사람은 적다고 생각합니다. 별족님의 좋은 글들 잘 읽었습니다.평온한 하루 보내세요.

별족 2022-11-03 08:40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
 

공기업은 정부의 마이너스 통장이 아니다(https://m.kmib.co.kr/view.asp?arcid=0924253411)라는 글을 봤다. 

글은 공기업의 부실에 대한 성토 다음에 '감당할 수 없으면 차라리 민간에 맡겨라'로 마친다. 

공기업은 소중한 국민의 재산이고, 공기업의 부실은 나라의 부실이 되고, 국가 경쟁력의 약화라는 말 다음에 이어지는 맺는 말에 화들짝 정신이 든다. 

그랬지. 그랬어. 

두 종류의 정부가 있다. 

공기업은 국민의 재산이기 때문에 국민이 어렵지 않도록 이익을 낼 수 없어야 한다는 정부. 공기업이 파는 물이건, 전기건, 공공 서비스건 이익을 낼 수 없도록 가격을 통제한다. 어차피 국민이 낼 돈이고, 통제하지 않는다면 표가 떨어져나간다고 생각한다. 

공기업은 무능하고, 국가는 작아져야 하기 때문에, 국민의 재산이지만 팔아치워야 한다는 정부. 공기업이 파는 물이건, 전기건, 공공서비스 건 이익을 낼 수 있지만, 무능한 공기업이 하던 대로 일을 해서 이익이 안 난 거라고, 민간에 맡긴다면 이익이 날 거라고 말한다. 어차피 국민이 낼 돈이고, 국가로서 책임질 일이 줄어든다는 건 좋은 거라고 생각한다. 

앞의 정부가 집권한 동안 국제정세가 괜찮았으니, 가격이 꽉 묶였어도 어찌어찌 굴러갔던 공기업은, 뒤의 정부가 들어서는 시점에 국제정세가 엉망진창이라서 손해가 이만저만이 아니다. 손해가 나는 이유가 무능 때문이니, 민간에 맡겨라. 국가는 책임을 덜고, 민간은 과연 국가가 책임질 때만큼 가격통제에 따를까. 

민자발전소가 들어오고, 한전의 가격통제력은 약화되었다. 하나의 회사일 때와 쪼개진 작은 회사들일 때, 더하여 민간의 발전소가 전기 공급자로 진입했을 때, 가격통제력은 점점 더 약화될 수밖에 없다. 그런데도, 국가는 한전을 통제하고, 한전은 발전사를 통제하고, 다시 민자발전사는 억울함을 언론에 토로한다. 이유는 있지만, 설명할 말은 길고, 아무도 열심히 듣지는 않는다. 

민간에 넘기면, 국가의 가격통제력이 약해지겠지. 

부실은 뭐고, 무능은 뭔가. 

민간은 뭐고, 국가는 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회사의 신문스크랩에서, "윤 대통령의 '원전 페티시즘'... 바보짓 50년이 시작됐다."

(https://www.hani.co.kr/arti/opinion/column/1048821.html) 이걸 봤다. 기분이 좋지 않았다. 상대를 거짓말장이, 듣지 않는 고집장이로 단정하고, 국제적 자료를 주워섬기면서 꽤나 근거가 있는 말인 채 한다. 아무리 단가가 싸다 한 들 비오는 날, 바람없는 날 전기를 공급하지 못하는 재생에너지의 한계나, 전력망이 고립된 우리나라의 상황, 유가가 치솟는 좁은 시공간에 대해서 과연 귀를 막고 있는 사람은 누구인지 모르겠다,고 생각했다. 그런 이야기를 쓰겠다고 생각하면서 기자를 검색하고 내가 이미 이 기자가 쓴 글(국회의사당에 원전을 짓자)을 읽고 '토론의 태도'(https://blog.aladin.co.kr/hahayo/12165658)라는 글을 쓴 적이 있었다. 

정답을 안다고 생각하시니 부럽습니다,라고도 쓰고는 싶었다. 나도 그런 세상에 살고 싶네,라고 생각한 것도 같다. 


그래 뚱해진 채로 또 이리저리 검색하다가 "원전은 이미 사양산업, 윤 대통령이 나서도 수출 어렵다"(https://news.v.daum.net/v/20220629152401970) 는 글을 보았다. 내가 저 말을 했었는데, 싶어서 기사를 읽었다. 나는 그 말을 2015년에 썼었다.(https://blog.aladin.co.kr/hahayo/7744179) 알라딘의 생태주의자 분이 쓴 글(원자력발전X 핵발전O https://blog.aladin.co.kr/idolovepink/7736949)에 댓글로 말에 옳고 그름이 어디있느냐, 많이 쓰면 그게 맞는 거지,라고 한참을 말하다가, 당시에는 페이퍼 쓸 때가 아니라서 일없이 책을 걸고 리뷰를 썼다. 그리고 그 리뷰에 원자력이 사양산업이고, 이제 공급관리보다 수요관리가 중요하다고 썼었다. 2015년에, 그러고도 수명을 다할 때까지 안전하게,가 역할이면 역할이라고도 썼었다. 그런데, 그 당시에 가구당 전력소비 이 정도면 충분하다고 생각했는데, 계속 계속 전력소비가 느는 걸 보고 있으니까, 참 나도 답이 없네,라는 순간들이 생겼다. 한전의 사장님들이 두부가 콩보다 싸서야 되겠냐,고 말할 때마다 그렇지,라고 생각하는 나는, 지금의 기형적인 전력소비상황에서 방법이 있는지 알 수가 없다. 가전이 꽉 찬 이상적인 집을 묘사하는 광고들 다음에 이제 건조기와 식세기가 필수 신혼가전이고, 가스렌지를 인덕션으로 바꾸는 상황에 직면했다. 

수요관리는 공급관리보다 훨씬 어렵고, 사람들은 산업전기요금과 가정용전기요금이 꽤나 독립된 것처럼 말하지만 그렇지도 않다. 국가의 부유함이 산업 덕분이고, 제조업에 사용되는 전기는 물품의 생산단가와 연결된다. 나는 원자력이 그 안전에 대해 대중을 설득하지 못해서 사양산업이 된다고 생각했었다. 수출이야 못 할 수도 있지, 그렇지만, 원자력을 수출하지 못해도, 자동차와 가전제품을 수출해서 우리나라의 부가 유지되기 위해 산업용 전기요금이 어느 정도 낮아야 한다면, 그것도 원자력의 역할이 되어버리는 거다. 전기요금은 올라야 해, 오른 전기요금은 가정에서 에어컨 실내 온도를 높이게 만들어야 하고, 필수가전의 숫자를 줄어들게 해야 한다. 

원자력딜레마( https://blog.aladin.co.kr/hahayo/9663603 )를 읽으면서 조금은 다른 태도가 된 것도 같다.

두부가 콩보다 싸면 안 된다. 그걸 감당할 수 있는 수준으로 개개인이 삶을 조정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이들은 벌써 티빙으로 다 봤는데, 뒷북으로 티비엔에서 하는 걸 틀어놓고 보고 있었다. 

한자비석에 학교 밴드로 들어가는 비밀번호가 있다고 해서 찾는 중이었는데, 그 비석에 쓰여진 말이 '出爾反爾'였다. 추리반,이라서 소리가 그렇게 나는 비석을 세웠나, 싶지만 역시 궁금해서 뜻을 찾았다. 

출이반이[出爾反爾]
국어우리말샘
너에게서 나와서 너에게로 돌아간다는 뜻으로, 행불행과 좋은 일 나쁜 일이 결국은 모두 자기 자신에 의하여 초래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더보기
出尔反尔[chū ěr fǎn ěr]
중국어
발음
발음듣기
① 이랬다 저랬다 하다 ② 언행이 앞뒤가 서로 모순되고 신의가 없다 더보기









너무 신기해서 기억해두려고 적어놓는다. 

같은 한자로 쓰여져 있는데, 국어사전 뜻이랑 중국어 뜻이 다르다.

한자를 배워두면 선조들이 하듯이 필담은 나눌 수 있을 줄 알았는데, 아니잖아.라는 생각이 들었다. 검색 아래쪽에 고사성어 사전에 맹자 양혜왕 하편에 나오는 말이라고도 하는데, 중국어로 뜻은 왜 저렇게 된 걸까.  

더보기,로 들어갔더니, 중국어 예문에 자업자득,이라는 뜻도 있으니, 같은 의미가 있었던 것도 같은데, 지금은 아마도 이랬다 저랬다 하다,의 뜻이 더 큰 게 아닐까 싶다. 

우리나라에서 민주화,라는 말을 아예 다른 뜻으로 쓰던 그런 식으로 의미가 변질된 건 아닐까, 혼자 생각했다. 국민이 주인이 되는 과정,이라는 의미가 의견을 억압적으로 하나로 통일시킨다,는 의미로 변질되던 과정이 우리에게 있었던 것처럼, 어른들이 '결국 네가 한 행동이 너에게 돌아온다'고 말하면서 얼마나 모순되는 행동을 해 왔으면, 아예 그 말이 그런 의미로 변질된 건 아닌가,하는 생각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