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초6 딸래미가 머리가 아프다고 했다. 

나는 릴스에서 본 두통치료법을 해보고 싶었다. 수건을 접어서 머리에 대고 물컵을 뒤집어 올리면 뽀글뽀글 기포가 올라가고 머리가 안 아프다는 릴스들이 떴었거든. 아마도 인스타? 

해 보자,고 머리에 댔는데, 오~ 신기하게 기포가 막 올라오는 거다. 

나의 그 꼴을 보더니 중3 아들래미가 그냥 바닥에 함 해보라면서 컵을 거실탁자에 뒤집었다. 

뭐, 한 방에 다 물이 빠져나갔지, 뭐. 

그래 쟁반을 받쳐서는 획 뒤집었더니. 

음. 그 신기한 기포가 똑같이 보인다. 

엄마, 릴스 좀 그만 봐,라고 하는데 할 말이 없다. 

딸래미한테 두통이 없어졌어?라고 묻는 수밖에. 

그러니까, 그 기포를 찍은 사람들이 두통이 없어진 이유는 조금씩 물이 머리를 적시면서 머리가 식어서 그런 건가. 

모르는 일들이 너무 많고, 나도 너무 잘 속는데, 뭐였을까. 

그 두통이 사라졌다는 사람들은.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카스피 2025-09-23 18:1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일반적인 두통이면 큰 상관이 없는데 편두통이면 주의하셔야 되요.저도 어릴떄 갑자기 머리가 이픈적이 많았는데 커서 편두통이란 것을 알았거든요.편두통은 정말 벽을 두드려서 고통을 잊고 싶을 정도로 심한 경우도 많아요.
 

목구멍이 포도청, 이야기를 하고는 이런 이야기를 했다. 


"'김칫국부터 마신다'가 뭔 말인지 알아?"

"알지, 설레발 친다는 소리잖아. 그러니까 앞서 나가고, 그런 거"

"그럼 '김칫국부터 마신다'앞에 뭐가 있는지도 알아?"

"뭐가 있어?"

"모르네, 그 앞에는 '떡 줄 사람은 생각도 안 하는데'가 있어. 그러니까, 어떤 사람이 떡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보는 거지. 그 떡을 보고 '와 맛있겠다, 그런데, 저 떡을 먹으면 목이 막히겠지, 그러니까 김칫국을 마셔야겠다' 그러고 마시는 거지. 웃기지?"

"그러네."

와, 재밌네. 


다른 날 아이가 해 준 이야기는 이런 거

"엄마, '밥 먹을 때는 개도 안 건드린다'라는 말 있잖아? 거기서 밥을 먹는 게 누구인가,에 대한 얘기가 있대. 엄마는 뭐라고 생각해?"

"어? 어. 여태 밥은 개가 먹는 거라고 생각했는데."

"밥은 내가 먹고, 건드리는 게 개라고 생각하는 경우도 있는데, 국립국어원에서는 개가 먹는 거라고 했다더라고."

"오~ 신기하네."


티비에서 본 건 이런 거.(핸섬가이즈,에서 나온 거였지)

'까라면 까라'는 앞에 뭐가 생략되어 있다는 거다. 

에? 나는 까라면 까라,를 아는데, 나도 딱 아이들이 김칫국부터 마신다,를 모르는 거처럼 그 앞에 뭐가 있었는지 모르네. 

티비에서 알려준 내용은 '엉덩이로 밤(송이)을 까라고 해도'였다. 

야, 그 정도는 못 까는 거 아닌가, 싶은데 말이지. 


오래 전부터 말해지는 오래된 짧은 이야기들 가운데, 남고 사라지는 많은 것들이 말들에 있다. 

다음 세대에는 무엇이 얼마나 남게 될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카스피 2025-08-07 01:5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진짜로 김칫국을 마신다의 앞에 떡줄 사람을 생각도 않는데라는 것이 빠져있었네요.저도 별족님이 말씀하시기 전까지는 까막게 잃어먹고 있어군요.정말로 이런 속담들은 시간이 흐르면 그 원뜻을 기억하는 이들이 없어지면서 하나 둘씩 우리 주변에서 사라질것 같습니다.

잉크냄새 2025-08-07 21: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까라면 까라 가 절대로 쉬운 말이 아니었군요.
 

아이들에게 무슨 뜻인지 아느냐고 물었다. 

'목구멍이 포도청'이라는 속담이 있는데 뜻을 알아?

아들에게서 놀라운 해석을 들었다. 

'목소리가 달달하다??'

포도청,을 매실청,같은 걸로 생각한 거다. 


목구멍이 포도청,은 배가 고프면 뭐든 할 수 있게 된다,라는 말,이라고 설명해준다. 


포도청,은 경찰서, 같은 조선시대의 관청이고, 목구멍이 포도청,은 배가 고파서 목구멍에 들어가는 게 없으면, 감옥에 갈 줄 알면서도 나쁜 짓도 하게 된다는 뜻이라고 설명해준다. 

목구멍과 포도청은 나에게 같은 존재라는 말이라고. 목구멍이 밥 내놔라,라고 명하면, 나라는 존재는 얄짤없이 그 무엇이라도 하게 마련이라는 말이라고. 

포도청,을 설명하기 위해 포도대장,이라는 말을 해도, 아들에게는 달콤한 연상들이 따라온다. 나의 이 익숙함은 사극으로 단련된 어휘인가, 싶다. 


목구멍이 포도청, 

시장이 반찬, - 이 말도 뜻을 잘 모르더라. 시장하다,라는 말이 배고프다,라는 것과 같은 뜻이라고 말해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남편이 출장을 가서, 초6 딸래미랑 걸어서 출근하는 길이다. 

그 날 아침에 '경험의 멸종'책 광고를 본 이야기를 해 줬다. 

"엄마가 아침에 책 광고를 봤는데, 요즘 십대는 선호하는 기술이랑 후각 중에 선택하라고 하면 기술을 선택한대."

"?"

"그러니까, 이렇게 물어보는 거지. 스마트폰을 안 쓸래? 냄새를 못 맡을래?라고 물어보면 냄새를 못 맡고 말지'라고 대답한다는 거야."

그런데 애한테 설명해주다 보니까,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애들이 후각을 잃는다는 게 뭔지 알까? 싶은 거지. 저런 질문은 아무 것도 모르는 사람한테 하는 질문이 아닌가. 십대라면 죽음의 무게도 모를 텐데, 저런 질문이 유효할까. 만약 정말 냄새를 못 맡는 채로 하루만 지내봐도 그런 선택을 할까, 의문이 들었다. 

"냄새를 못 맡아도 불편한 게 없지 않아?"

"에? 냄새를 못 맡으면 맛을 못 느낀대."

"그래?"

아무 것도 모르는데, 냄새를 못 맡는 불편을 모르는데, 그런 선택을 어떻게 질문하고, 그 대답을 어떻게 신뢰할 수 있지, 싶었다. 

어떤 질문을 하고, 어떤 대답을 듣던, 균형점은 어디에 있는 걸까. 상대의 말이 어떤 배경 가운데 나온 지 안다면 연구는 가능할까. 책이 묘사한 근심은 정말 유효할까. 

경험의 멸종,이라는 실제의 모험 대신 가상공간의 모험을 모험이라고 상상하는 세태에 대한 어쩌면 경각심은 나나 아이에게는 아직 없는가, 싶다. 책을 읽어봐야 하려나. 


댓글(1)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카스피 2025-06-02 01:0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중식대가 이연복 쉐프가 후각을 잃어 맛을 보지 못한다고 하더군요.그분이 하는 요리는 수십년간의 경험이 쌓여서 맛을 안보고도 가능하지만 일반인이 그렇다면 엄청 불편할 겁니다.
하지만 10대들에게 스마트폰을 뺏는 것은 그 어떤 처벌 보다도 가혹하게 느껴질 거에요.
 

명절 연휴, 여기 저기로 달리는 차안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c8JdUI51NZg

나는 반딧불이,라는 노래가 나오고, 내가 남편에게 말한다. 

"글쎄, 애들이 반딧불이가 개똥벌레랑 같은 건 줄 몰랐대!"

"에? 그래? 둘이 다른 게 아냐?"

"어, 아빠도 모르네."


딸아이는 뒷자리에서 나무위키를 검색한다. 

반딧불이,는 개똥벌레와 같다,는 설명을 찾고, 다시 반디,가 그 벌레의 옛이름이라고도 찾는다. 옛이름 반디,에서 반딧불,이 되고 벌레의 이름이 반딧불이,가 되다니. 

"에? 초였다가 촛불이었다가 촛불이,가 되었네."

개똥벌레,는 옛날에 그 벌레가 너무 흔해서,이기도 하고 개똥이나 소똥에서 생겨난 줄 알고 그런 이름이 붙었다고도 한다. 

어머니는 어렸을 때 호박잎으로 반딧불이를 감싸서 호롱불처럼 가지고 놀았다시는데, 냄새가 났었다고 그래서 아마도 개똥벌레일까,라고 하셨다. 


반디,라는 예쁜 이름을 가지고도 개똥벌레도 되고, 반딧불이도 되네. 

참,이름이란 것도 부질 없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