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구멍이 포도청, 이야기를 하고는 이런 이야기를 했다. 


"'김칫국부터 마신다'가 뭔 말인지 알아?"

"알지, 설레발 친다는 소리잖아. 그러니까 앞서 나가고, 그런 거"

"그럼 '김칫국부터 마신다'앞에 뭐가 있는지도 알아?"

"뭐가 있어?"

"모르네, 그 앞에는 '떡 줄 사람은 생각도 안 하는데'가 있어. 그러니까, 어떤 사람이 떡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보는 거지. 그 떡을 보고 '와 맛있겠다, 그런데, 저 떡을 먹으면 목이 막히겠지, 그러니까 김칫국을 마셔야겠다' 그러고 마시는 거지. 웃기지?"

"그러네."

와, 재밌네. 


다른 날 아이가 해 준 이야기는 이런 거

"엄마, '밥 먹을 때는 개도 안 건드린다'라는 말 있잖아? 거기서 밥을 먹는 게 누구인가,에 대한 얘기가 있대. 엄마는 뭐라고 생각해?"

"어? 어. 여태 밥은 개가 먹는 거라고 생각했는데."

"밥은 내가 먹고, 건드리는 게 개라고 생각하는 경우도 있는데, 국립국어원에서는 개가 먹는 거라고 했다더라고."

"오~ 신기하네."


티비에서 본 건 이런 거.(핸섬가이즈,에서 나온 거였지)

'까라면 까라'는 앞에 뭐가 생략되어 있다는 거다. 

에? 나는 까라면 까라,를 아는데, 나도 딱 아이들이 김칫국부터 마신다,를 모르는 거처럼 그 앞에 뭐가 있었는지 모르네. 

티비에서 알려준 내용은 '엉덩이로 밤(송이)을 까라고 해도'였다. 

야, 그 정도는 못 까는 거 아닌가, 싶은데 말이지. 


오래 전부터 말해지는 오래된 짧은 이야기들 가운데, 남고 사라지는 많은 것들이 말들에 있다. 

다음 세대에는 무엇이 얼마나 남게 될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카스피 2025-08-07 01:5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진짜로 김칫국을 마신다의 앞에 떡줄 사람을 생각도 않는데라는 것이 빠져있었네요.저도 별족님이 말씀하시기 전까지는 까막게 잃어먹고 있어군요.정말로 이런 속담들은 시간이 흐르면 그 원뜻을 기억하는 이들이 없어지면서 하나 둘씩 우리 주변에서 사라질것 같습니다.

잉크냄새 2025-08-07 21: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까라면 까라 가 절대로 쉬운 말이 아니었군요.
 

아이들에게 무슨 뜻인지 아느냐고 물었다. 

'목구멍이 포도청'이라는 속담이 있는데 뜻을 알아?

아들에게서 놀라운 해석을 들었다. 

'목소리가 달달하다??'

포도청,을 매실청,같은 걸로 생각한 거다. 


목구멍이 포도청,은 배가 고프면 뭐든 할 수 있게 된다,라는 말,이라고 설명해준다. 


포도청,은 경찰서, 같은 조선시대의 관청이고, 목구멍이 포도청,은 배가 고파서 목구멍에 들어가는 게 없으면, 감옥에 갈 줄 알면서도 나쁜 짓도 하게 된다는 뜻이라고 설명해준다. 

목구멍과 포도청은 나에게 같은 존재라는 말이라고. 목구멍이 밥 내놔라,라고 명하면, 나라는 존재는 얄짤없이 그 무엇이라도 하게 마련이라는 말이라고. 

포도청,을 설명하기 위해 포도대장,이라는 말을 해도, 아들에게는 달콤한 연상들이 따라온다. 나의 이 익숙함은 사극으로 단련된 어휘인가, 싶다. 


목구멍이 포도청, 

시장이 반찬, - 이 말도 뜻을 잘 모르더라. 시장하다,라는 말이 배고프다,라는 것과 같은 뜻이라고 말해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사람을 살게 하는 건 뭘까. 

나는 짐이라고 생각한다, 호수야. 

그렇지 않고서야, 내가 죽고 나면 짐일 수 밖에 없는 물건들을 모으고, 식물을 키우고, 동물을 키우고, 돌멩이에도 이름을 붙이고 곁을 내어주는 인간을 나는 이해할 수가 없어. 

그렇지, 나의 이 몸조차 짐이야. 궁극의 짐, 최초의 짐은 바로 내 자신의 몸이지. 뭐 묘사가 그렇다는 거지. 네가 무언가를 짐이라고 한다면, 결국 그렇다고. 

그리스의 철학자들은 죽음이야말로 진정한 자유라고도 했다더라. 육신이라는 감옥에 갇혀 있는 영혼이 제약없이 풀려나는 게 바로 죽음이라고 했대. 

뭐, 영혼이 있던지 말던지. 그게 정말 자유인지 아닌지 나는 알지 못하지만, 살고 살아가고 있는 지금의 나는, 몸뚱이조차 짐이라고 느껴지는 순간이 바로 산다는 거라고 생각해. 

내 뜻대로 되지 않는 몸, 내 뜻대로 되지 않는 사랑, 내 뜻 대로 되지 않는 그 모든 것이 살아간다는 거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죽지 않고 살아가는 삶에는 짐이 필요하다고 생각해. 

누군가에게 짐이 되고 싶지 않은 너의 슬픔을 알 것 같으면서도, 나는, 네가 엄마인 염분홍 여사에게 너무 잔인하다는 마음이 되었어. 

엄마의 집에 있는 짐들을 하나씩 챙겨서 너의 집으로 옮기는 마음은 그래 네가 좀 더 허랑방탕한 아들이었다면 기특하고, 고마운 처사일 수도 있는데, 너는 그런 아들이었던 적이 없잖아. 엄마에게 그 간절함을 내 보인 적 없었던 아들이라서, 엄마를 외롭고 쓸쓸하게 만드는 거야. 엄마는 너를 사랑하고, 그 사랑은 엄마를 살게 하는데, 너는 그 사랑을 짐이라고 부르고, 짐이 되지 않기 위해서 엄마를 밀어내지. 미지 앞에서 울던 그 마음을 엄마 앞에서는 한 번도 보인 적 없으니, 엄마는 늘 네가 어렵고, 늘 너를 그리워하잖아. 

살아간다는 건, 짐을 지고 걷는 일이야. 내 자신을 겨우 짊어질 수 있을 때, 그 다음 짐들이 필요하지. 아니, 내 자신을 짊어지기 위해서도 다른 짐들이 필요해. 나만으로는 마른 나뭇가지처럼 서 있을 수가 없거든. 오히려 다른 어쩌면 짐이면서도 사랑인 것들이 나를 세우고 살게 하는 거거든. 

호수야, 사람은 누구나 다 약하고 어리석단다. 약하고 어리석기 때문에 버티고 살아가기 위해서 네가 짐이라고 부르는 그 사랑이 필요해. 너 혼자 짊어지고 있는 것도 아니고, 너에게 짐인 누군가도 너를 떠받치고 있는 거야. 

네가 무얼 짐,이라고 부르는지 생각해봤으면 좋겠어. 

그 짐,이란 게 어떤 건지도 생각해 봐. 그게 없으면 도대체 어떻게 계속 살아간다니. 아무 짐도 없는 삶이란 없고, 어리석은 사람은 짐이 무거울 수록 더 삶에 용맹해지기도 해. 살다보면 깨닫게 되기도 하고 말이지. 엄마에게 짐을 빼앗지 말아, 호수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지도에 색깔표시 다르게 할 수 없나. 퍼센테이지만큼 색깔을 섞어서 보여주던지. 한 표만 많아도 이기는 이 싸움에서, 결국 한 사람 한 사람의 표의 가치가 동일한 선거라는 공간에서 저런 식으로 이분법적으로 색칠하는 방법뿐인가? 

결국 보라색으로 살게 될 텐데, 더 파란 보라색과 더 붉은 보라색들로 칠하면 미울까. 

요즘 AI는 그런 것도 그려주겠지만, 이렇게 말로만. ㅋ 

그러고, 도대체 출구조사가 이렇게까지 다르다는 건, 뭘까. 

참으로 사람 속은 모를 일이네,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남편이 출장을 가서, 초6 딸래미랑 걸어서 출근하는 길이다. 

그 날 아침에 '경험의 멸종'책 광고를 본 이야기를 해 줬다. 

"엄마가 아침에 책 광고를 봤는데, 요즘 십대는 선호하는 기술이랑 후각 중에 선택하라고 하면 기술을 선택한대."

"?"

"그러니까, 이렇게 물어보는 거지. 스마트폰을 안 쓸래? 냄새를 못 맡을래?라고 물어보면 냄새를 못 맡고 말지'라고 대답한다는 거야."

그런데 애한테 설명해주다 보니까,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애들이 후각을 잃는다는 게 뭔지 알까? 싶은 거지. 저런 질문은 아무 것도 모르는 사람한테 하는 질문이 아닌가. 십대라면 죽음의 무게도 모를 텐데, 저런 질문이 유효할까. 만약 정말 냄새를 못 맡는 채로 하루만 지내봐도 그런 선택을 할까, 의문이 들었다. 

"냄새를 못 맡아도 불편한 게 없지 않아?"

"에? 냄새를 못 맡으면 맛을 못 느낀대."

"그래?"

아무 것도 모르는데, 냄새를 못 맡는 불편을 모르는데, 그런 선택을 어떻게 질문하고, 그 대답을 어떻게 신뢰할 수 있지, 싶었다. 

어떤 질문을 하고, 어떤 대답을 듣던, 균형점은 어디에 있는 걸까. 상대의 말이 어떤 배경 가운데 나온 지 안다면 연구는 가능할까. 책이 묘사한 근심은 정말 유효할까. 

경험의 멸종,이라는 실제의 모험 대신 가상공간의 모험을 모험이라고 상상하는 세태에 대한 어쩌면 경각심은 나나 아이에게는 아직 없는가, 싶다. 책을 읽어봐야 하려나. 


댓글(1)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카스피 2025-06-02 01:0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중식대가 이연복 쉐프가 후각을 잃어 맛을 보지 못한다고 하더군요.그분이 하는 요리는 수십년간의 경험이 쌓여서 맛을 안보고도 가능하지만 일반인이 그렇다면 엄청 불편할 겁니다.
하지만 10대들에게 스마트폰을 뺏는 것은 그 어떤 처벌 보다도 가혹하게 느껴질 거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