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루왕(蓋婁王)은 도미의 아내가 아름다울 뿐 아니라 의리와 절행(節行)이 높다는 말을 듣고 이를 의심한다. 그러자 도미는 자신의 아내가 죽더라도 마음을 바꾸지 않을 것이라 단언하였다. 이에 개루왕이 도미 처의 정절(貞節)을 시험하고자 도미를 궁에 머물게 하고, 도미 처에게 의복과 사람을 보내 “너의 아름다움을 듣고 도미와 내기를 하였다. 너를 불러 궁인을 삼을 것이니 이제 네 몸은 나의 소유다.”라는 말을 전하게 하였다. 개루왕이 도미의 처를 취하려 하자, 도미의 처는 “따르지 않을 수 없는 명령이라 옷을 고쳐 입고 뒤따라 들어갈 터이니 왕께서 먼저 방에 들어가 계시라.”라고 말하고, 계집종을 자신의 모습처럼 꾸민 후 자신 대신 개루왕의 수청(守廳)을 들게 하였다.

후에 개루왕은 속았음을 알고 화를 내며, 도미의 두 눈을 멀게 하고 사람을 시켜서 강에 배를 띄워 보냈다. 그리고 개루왕은 도미의 부인을 데려다 성관계를 강제로 맺으려 했다. 그러나 도미의 처는 월경(月經)을 핑계 삼아 다른 날 모시겠다고 말한 후 도망쳤다. 도미의 처는 도망치다가 강어귀에 이르렀는데, 강을 건너갈 수 없어 하늘을 부르며 통곡했다. 그때 홀연히 배 한 척이 도미의 처 앞으로 왔다. 도미의 처는 그 배를 타고 가 천성도(泉城島)에 도착했고, 그곳에서 죽지 않고 살아남은 남편을 다시 만났다. 두 사람은 풀뿌리를 캐 먹다가, 함께 작은 배를 타고 고구려 산산(䔉山)으로 갔다. 고구려 사람들이 도미 부부에게 옷과 음식을 주었다. 도미 부부는 가난하게 살다가 객지(客地)에서 일생을 마쳤다.(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7449 )


이 이야기를 나는 언제 읽었을까. 초등학교 도서관에 두꺼운 삼국유사나 삼국사기 같은 이야기들을 읽었던 거 같은데, 달 밝은 밤에 정분이 나는 신라시대 복색의 처녀총각 삽화가 있었던 것도 같다. 이런 이야기들로 어른의 세계를 엿보는 애였던 거다. 권력과 사랑과 인간에 대한 이야기. 


이 이야기를 계속 생각하는 순간이 있었다. 

그리고, 이야기 속의 도미부인이 나는 좋았다.  


그런데도, 도미부인 이야기를 좋아했다고 쓰는 건 망설여지는 일이다. 

검색하고, 이야기에 대해 다시 듣고, 더하여 '정조를 강조하기 위해' 이 이야기가 쓰였다는 것도 본다. 그래서 나는 내가 이 이야기를 정조에 대한 이야기,로 들었던 걸까 생각했다. 

이 이야기는 정조나 정절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다. 마음에 대한 이야기다. 

내 마음. 이익과 합리와 그게 무엇이든 설득할 수 없는 강경한 내 마음에 대한 이야기. 


왕이 무소불위의 권력을 가졌다고 추정되는 세계, 속에서 왕이 취하고자 하는 여자를 취하려 하는 걸 벌할 법은 없었겠지.

여자가 남자의 소유였다고 추정되는 세계, 속에서 아내를 걸고 내기를 하는 남편을 벌할 수는 없었겠지. 

남편이 내기를 했건, 안 했건, 왕이 폭력이었건, 설득이었건, 도미의 처가 고분고분했다면 이야기가 없었겠지. 남편이 눈을 뽑히지도 않았을 테고. 

도미 부인은 자기 마음을 지키기로 한 사람이니까, 이야기가 되어 남았다. 이름이 남은 도미는 형체를 잃었지만, 이름을 남기지 못한 부인은 천년 뒤의 누군가에게 '내 마음을 지키겠어! 이유로 설득하지 못 해도 싫은 건 싫은 거야! '라고 마음을 단단히 하게 하는 버팀목이 되어 주는 거지.

이야기가 되어 남는 그 강경한 마음의 선택이 섬에 떠밀려 온 쪽배 위에 눈 먼 장님과 그 남자를 건사할 자신 뿐이라고 해도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선재업고 튀어,가 종영하고도 유튜브로 영상을 보고 있다. 

대만 팬미팅에 선재 등신대를 업고 온 팬에게 웃으며 손하트를 만드는 변우석 영상도 보고, 팬미팅 사진이라는 사진들도 좀 본다. 김혜윤이 나온 틈만나면,도 본다. 

왁자지껄한 팬미팅과 선재에 대한 열광을 보면서 애초에 내가 드라마를 보고 무슨 생각을 했었는지 생각했다. 

1,2회차 선재가 자살,했다고 생각한 나는 사랑에 대해 쓰려고 했었다. 오래 사랑한 사람이 나를 아예 기억하지 못할 때의 절망에 대해서 쓰려고 했었다. 심지어 팬으로 나를 사랑한다고, 살아있어줘서 고맙다고 말하는 때의 절망에 대해서 쓰려고 했다. 안전하게 짝사랑만 하려는 세태에 대해서 쓰려고 했었다. 

수십, 수백, 수천, 수만, 수십만의 열광적이랄 수 있는 사랑을 받는 류선재는 단 한 사람 임솔의 팬심에 절망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사랑이란 참으로 이상하고 잔인한 감정이라서. 

류선재의 죄책감과 뒤엉킨 애달픈 짝사랑은 임솔의 뒤늦은 팬심이 오히려 슬프다. 

열아홉 솔이는 선재의 마음을 알 수 없고 알아도 받을 리 없고, 지금 선재를 좋아한다고 사랑한다고 말하지만 그 감정은 나란히 서서 마주 볼 수도 있는 독점적인 관계의 마음이 아니라, 먼발치에서 보내는 누군가와 나눠 가지는 팬의 마음이다.  

드라마의 도입에서 나는, 그 마음의 불균형이 가져오는 파국이, 드라마가 말하려는 걸 수 있다고 생각했다. 강태성을 따라다니느라 선재를 보지도 못하는 열아홉 솔이처럼, 자기 주변의 꽤나 멋질 수도 있는 누군가를 알아차리지도 못하는 팬심은 좋지 않다고 말하는 거라고 생각했다. 

다 늦게 내가 처음 매혹당한 어떤 이야기의 의도가 떠오른 것은, 지금 세계를 열광시킨다는 선재에 대한 이슈 때문이다. 

이야기가 하고자 하는 어떤 주제는 이야기가 보여주는 이미지 가운데 퇴색하고, 오히려 반대 쪽으로 현상을 강화시킨다. 

등신대를 업고 온 팬은 자신을 짝사랑하는 이웃집 총각의 애달픈 사랑을 모르는 채로, 류선재의 팬미팅에 가 있을 수도 있는 게 아니겠는가. 사람들이 두렵고 위험한 미지의 존재를 받아들이는 사랑 대신, 안전하고 무해한 가짜 사랑으로 도피한다. 독점적이고 밀도높은 지속적인 관계를 찾아낼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이들과 같이 보고 나와서 하고 싶은 말을 꾹 참고 있으니, 아이들이 재밌다고 했다. 


나는 심심하고, 별 재미 없었기 때문에, 아이들의 반응이 신기했다. 

요즘 좀 진지한 문화비평을 읽고 있나 싶은 중딩 아들은 '어려운 질문을 쉽게 보여주는 영화'라는 감상을 남기고, 초딩 딸은 '재밌었다'는 짧은 감상이었지만 재밌었던 거 같다. 

폭력이 난무하는 오락영화들을 주로 같이 봐서 그런 건지도 모르겠다. 하지 못한 나의 감상은 역시 범죄도시인가, 싶었는데 말이지. 이야기가 여러 갈래고, 복잡하다는 생각을 했기 때문에 단순한 이야기가 좋은데,라고 생각했다. 

어른들의 감상은 나중에 남편이랑 둘이서만 차에서 했다. 나는 개의 설계사,를 읽은 데다가, 지금 어떤 관계들은 물성이 없어서-전화통화로만 이루어진 관계들이 있다, ㅋ- 저런 이별을 상상하는 것, AI로 죽은 사람의 가상 시뮬을 만드는 것에 대해 생각했다. 나는 AI가 스스로를 엄마로 상상하면서 폭주하는 건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알려주지 않은 정보를 알은 채 하는 게 가능한가, 같은 생각을 했다. 플래너가 자신의 아버지라고 생각하는 남자를 만나는 과정에서 그런 생각을 했지. 나는 그 서비스가 보여주는 어떤 형태가 진실이 아니라, 내가 제공한 정보로 만든 허상이라고 생각하니까, 영화가 아닌 채 해도 그런 거니까 말이지. 남편은 설명되지 않는 부분들에 불만이 있는 거 같았다. 원더랜드라는 가상공간에 자신의 삶이 있는 AI라는 설정을 이해하기 어려웠던 거 같다. 

찾아 본 어떤 감상은 죽음을 슬퍼하지 않게 되는 사람들,에 대한 거였다. 

그렇지, 죽음에 대한 질문을 하고 있지, 라고 새삼 자각했다. 

어려운 질문을 쉬운 그림으로 보여주는 영화였구나,라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초등학교까지 걸어가는 길이다. 

초5 딸래미가 물었다.

"딸만 셋이면 제사를 못 지내?" 

"왜? 지낼 수 있지. 먼 소리냐?"

"썰에서 봤는데, 어떤 여자가 딸만 셋인 집에서 아들만 셋인 집에 시집가서 시어머니랑 이야기한 게 나왔는데, 시어머니가 딸만 셋인 엄마 불쌍하다고 했다고."

"뭐라고 해야 하나. 제사야 지내도 되는데, 규칙은 남자들보고 지내라고 하기는 하지. 제사를 지내겠다고 싸우기도 하고 안 지내겠다고 싸우기도 하니까, 규칙을 만든 거지. 봐, 성씨를 아빠 성씨 따르게 규칙을 만든 것처럼 제사는 아들이 지내게 하자, 이렇게 규칙을 만든 거야. 규칙이야 그렇지만 딸도 지내도 되. 딸이 지내면 절대 안 된다, 그런 규칙은 아니니까."

"그럼 아들 없으면 제사 못 받아서 불쌍한 건가?"

"뭐, 엄마도 안 죽어봐서 모른다. 죽은 다음에 제삿밥 먹을 수 있는지, 없으면 불쌍할지 안 불쌍할지."

...

"근데, 제사는 산 사람들이 기억하느라고 하는 거라고 생각해. 사람이 죽고 나면 점점 잊히니까. 그런데, 그 사람이 고맙고 그립고 그런 사람들이 일년에 한 번 그 사람 생각을 하려고 모이는 거지. 그런 게 제사라고 생각해. 그리고, 조상을 기억한다는 거, 나를 있게 해 준 분들에게 감사하는 건 좋은 일이니까. 예전에 부자나 높은 사람들이 더 윗대까지 제사지내고 그랬던 거지. 다른 사람들은 멋지고 높은 사람들이 하는 걸 따라하고 싶어하니까. 살만해지면 제사를 더 지내고 싶어하고. 그런 거지. 뭐."

의미를 부여하고 이야기를 만들면서 살아간다. 

가끔 이야기가 의미를 가리고, 부여한 의미가 본질을 왜곡시키기도 한다.

실상은 아무 것도 모른다. 나에게 그럴 듯한 의미들을 수용하면서 살아가는 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선재업고튀어, 재밌습니다!

변우석은 멋지고, 김혜윤은 정말, 정말 정말 예쁩니다!

저는 이걸 초5 딸이랑 같이 봅니다. 


인생1회차 솔이는 사고로 다리를 잃고 병실에서 갓 데뷔한 보이밴드 멤버 선재의 전화를 받습니다. 퉁명스럽고 쌀쌀맞게 받았지만, 그래도 건네는 선재의 따뜻한 말에 다시 살 마음을 먹고 선재의 팬이 됩니다. 솔이에게 선재는 하늘에 뜬 별과 같은 존재라서, 콘서트가 끝난 한강 다리 위 고장난 휠체어를 탄 채 만난 선재에게 바들바들 떨면서 살아있어줘서 고맙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그 날 밤 선재의 죽음을 뉴스로 듣고는 첫번째 타임슬립을 합니다. 

솔이의 타임슬립으로 운명은 조금씩 달라지고, 각각의 선재와 솔이는 조금씩 다른 경로로 다시 만납니다. 

저는 내내, 인생 1회차 선재의 죽음이나 2회차 선재의 죽음이 자살일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오랫동안 좋아한 솔이가 자신을 전혀 알아보지 못하는 것은 깊은 절망일 거라고도 생각했구요. 그런데, 딸래미는 저 사람이 범인이잖아, 그럴 리 없어,라고 말해줍니다. 1회차 선재의 죽음이나 2회차 선재의 죽음의 경위는 이미 지나가버렸고, 드라마는 그걸 알려줄 리 없지만, 3회차 선재의 죽음?이 드러난 것처럼 범인의 보복살해방식이 달랐던 걸 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절망한 사람을 죽이기는 좀 더 쉬워서, 1회차 선재나 2회차 선재는 상처없이 스스로 죽인 거라 오해받을 상황에 죽음을 맞은 걸 수도 있으니까요. 알려줄 리 없는 사실이지만, 그 죽음들을 솔이가 알면 알 수록 자신의 잘못이라고 생각하는 것도 그럴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선재는 어떠한가요. 사랑에 대한 판타지의 응축이라는 면에서, 선재의 지고지순함은 너 대신 죽은 거라면, 나는 괜찮다고 어제는 세번째 타임슬립한 솔이한테 이야기합니다. 

1회차 선재는 고백도 못하고 짝사랑한 이웃집 여자애가 위험에 처해서 교통사고를 당하는 걸 눈 앞에서 보고, 그 아이를 구하고도 '죽게 내버려두지, 왜 살렸냐'는 원망을 듣습니다. 그러고도 '살아달라'고 '꼭 살아있어달라'고 모르는 사람인 채로 당부하는 아이돌이 됩니다. 이제 그 이웃집 여자애는 휠체어를 타고, 꼭 살아있어달라던 그 아이돌의 팬이 되어, 아무 것도 아니던 선재의 마음은 끝끝내 모르는 채로, 팬으로의 사랑을 말할 뿐입니다. 

2회차 선재는 타임슬립한 솔이의 어마어마한 사랑을 짧은 순간 받고, 어리둥절한 채로 내쳐져서는 역시나 아마도 솔이의 사고를 목격하고 역시 또 죄책감을 품고 살아가다가, 자신을 모르는 오랜 사랑 앞에서 절망감을 품은 채로 영문 모르게 죽습니다. 

3회차 선재는 살았고, 솔이에게 사고는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솔이는 선재의 팬이 아니고, 선재는 경쾌하게 살아가다가 솔이를 다시 만나 사랑하게 됩니다. 그러다가 범인의 칼을 맞고는 위중한 상태에 빠집니다. 

다시 솔이는 세번째 타임슬립을 합니다. 이제 조금은 다른 시기, 대학생 시절로 갔습니다. 이게 10회차까지의 이야기입니다. 


지고지순한 첫사랑을 품은 남자애의 환상은 얼마나 강력한지, 사랑하지만 사랑받을 자격은 없다고 생각하는 여자애의 사랑은 얼마나 달콤한지, 시간이 어긋난 사랑 속에서 그 둘이 마주보는 순간은 또 얼마나 짜릿한지 이걸 보는 내가 너무 단 사탕을 먹은 것 같은 느낌이 됩니다. 

열아홉 남자애의 마음과 서른 넷 여자애의 마음이 만나는 게 지금 시대가 그런 것 같았습니다. 뭐 그렇지만 정말 그런가, 는 잘 모르겠습니다.  

열아홉의 잔인한 마음은 나 좋다는 사람은 보이지 않고, 자기 마음 가는 대로 흐르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사실 1회차 솔이가 선재의 마음을 모르는 건 너무나도 당연하기는 합니다. 선재는 솔이의 오해를 내버려뒀고, 한 번도 마음을 알려준 적 없으니까요. 그런 솔이가 잔인하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다시 걸을 수 없다는 절망감을 자신을 구해준 사람에게 쏟아냈다는 것도, 그 사람이 그 앞에 서 있었다는 것도 솔이의 잘못은 아닐 수 있습니다. 그저 그런 때가 있는 거니까요. 타인의 마음을 찬찬히 돌아보는 심정 같은 건 살아가면서 익히는 어떤 게 아닌가. 사랑이라는 감정의 잔인함은 자신의 마음에 생기기 전에는 타인의 감정 따위 보이지 않는 게 아닌가, 말입니다. 

타임슬립처럼 불가능한 이야기를 끊임없이 만들고 보는 이유는, 어긋나는 시간에 대한 한탄일 겁니다. 어긋나는 시간들 속에서 용케도 살면서 사랑하는 모든 사람들이 대단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내 마음의 시간과 네 마음의 시간이 어긋나도 어긋난 채로 감당하는 마음들도 대단하구요. 

다시 또 월요일의 이야기를 기다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