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 딜레마 - 원자력 르네상스의 미래
김명자 지음 / 사이언스북스 / 2011년 5월
평점 :
품절


공론화위원회의 시민참여단 숙의결과가 나왔다. 

신고리 5,6 건설재개, 원전 축소 권고다.  

애초에 공론화위원회로 공을 넘긴 것이 잘못이고, 말도 안 되는 결론을 내린 거라는 분개도 보인다. 

나는, 공론화위원회,라는 형식이 있어 다행이다, 싶다. 

공론화위원회의 결과도, 수긍이 된다. 


김대중 대통령의 임기 다음, 노무현 대통령에 대한 기대는 특별했다. 그런데, 노무현 대통령은 많이 기대를 져버렸었다. 임기 말 한미 FTA에 대한 실망은 둘째치고, 원자력에 대해서는 특히 태도변화가 컸었다. 

재작년 말 쯤, 정부의 입장,이 궁금해서 이 책을 읽었다. 폐기물처분장으로 격렬한 갈등이 불거졌을 당시 환경부장관이었던 분이 쓴 책이다. 

이 책을 읽기 전에 나는, 안보에 대한 위정자들의 관점을 이해할 마음이 없었다. 좁은 국토에서 부존자원이 부족한 나라에서 에너지 믹스며, 70년대 오일 쇼크에 대해 듣지만, 안보가 무언지 정말 이해했다고 보기 어렵다. 

가계를 꾸리고, 살림을 하면서 겨우, 안보가 집에 쌀을 들여놓는 거 같은 거라고 이해했다. 바닷길이 막혔을 때, 상황이 여의치 않을 때, 우리가 얼마나 버틸 수 있을까, 같은 거. 원자력으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한달치를 비축할 수 있어요, 같은 거. 

부피의 문제, 공급의 문제, 자원의 문제. 정권을 잡기 전까지 반대자의 입장이었다가, 위정자가 되는 순간 다시 생각하게 되는 문제. 때문에 포기하지 못하는 전원이라는 거다. 책임자가 되었을 때, 고려할 다른 문제들로 이전과 다른 결론을 내릴 수 있다고 생각한다. 


적어도, 노무현 대통령이나 문재인 대통령이 나쁜 사람이라서 이런 결정을 한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나와 의견이 다른 결정을 했더라도, 내가 보지 못하는 걸 보고, 내가 생각하지 못한 고민을 한 탓이라고 생각한다. 그걸 내게 설명해줬으면 좋겠다고 생각하지만, 설명했어도 내가 이해할 맘이 없다면 이해하지 못하리라는 것도 안다. 

대통령이나 산자부장관이, 탈핵입장을 천명하고 대륙을 가로지르는 가스관의 미래를 천명했음에도, 시민참여단의 숙의결과가 재개인 것도 좋다. 숙의결과가 재개지만 다시, 줄여가자고 말하는 것도 좋다. 에너지의 문제가 삶의 문제, 우리 삶의 낭비를 돌아보는 계기가 되어, 비율을 유지하면서도 축소할 수 있을 만큼이 되면 좋겠다. 


댓글(11)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립간 2017-10-21 09: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정치, 행정(정부)를 고려할 때, 공론화위원회를 통해 신고리 5,6 건설재개, 원전 축소 이외의 다른 선택을 하기 어려웠다고 봅니다.

별족 2017-10-21 15:34   좋아요 0 | URL
축소권고는 공론화위원회의 논의범주는 아니라고 생각하기는 합니다.

마립간 2017-10-21 15:41   좋아요 0 | URL
제 직장 동료는 신고리 5,6 건설 재개도 공론화(위원회)의 논의 범주가 아니라 생각합니다.

보다 기본적으로 전문가의 의견과 여론의 의견이 어떤 범주에 어떤 비율로 작용해냐의 문제인데,

그런 점에서 정부가 정부의 책임을 공론화위원회를 통해 여론으로 넘기는 역활을 했다고 봅니다. 그리고 이번 결정이 정부의 선택이었다고 생각합니다.

별족 2017-10-23 14:53   좋아요 0 | URL
그 동료분은 공론화위원회 자체에 회의적인 게 아닌가요?

마립간 2017-10-23 15:23   좋아요 0 | URL
아무래도 그렇겠죠.

저도 (전문가가 알고 있는 것과 같은) 자료가 없기 때문에 판단 보류입니다.

전문가의 입장이 더 반영되어야 하는지, 아니면 국민 여론이 더 반영되어야 하는지. 과학기술 분야와 인문 사회분야의 균형도 결정하기 어렵고, 과학기술 분야라고 해도 각 위원이 원자력에 대해서 얼마만큼 알고 있는지도 의심스럽습니다.

사실, 아직 미연구 분야이기 때문에, 원자력의 위험성에 대해서 특히 폐기물 재처리에 관해서는 전문가도 제대로 알고 있다고 보기 어렵죠. ; 제 생각은 이렇습니다.

별족 2017-10-24 08:58   좋아요 0 | URL
4대강 이슈 때, 동료랑 논쟁하던 기억이 납니다. 그 때의 저도 비전문가인 채로 반대하고 있었거든요. 전문가가 아니라서, 말할 수 없다던 동료와 이야기했었죠. 전문가가 아닌 채로도, 논쟁의 와중에 구경하면서, 판단은 누구라도 할 수 있다고.

마립간 2017-10-24 11:44   좋아요 0 | URL
저는 (예를 들면 지난 필즈상을 수상한 수학을 강의하는) 수학강의가 떠올랐습니다. 비전문가가 강의를 잘하는지 못하는지 판단할 수 있지만, 강의의 내용을 판단할 수 있을까요?

4대강 개발이나 원자력 발전소 설치가 극도의 전문가의 지식이 필요하냐, 아니면 일반인의 상식 수준에서 판단 할 수 있느냐겠죠.

‘원전 축소‘와 ‘4대강 개발‘의 차이를 저는 모르겠군요. 왜 원전 축소는 공론화위원회의 범위를 넘었다고 생각하시죠?

별족 2017-10-24 18:4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애초에 목적을 벗어난다는 의미로 범주가 아니라고 생각한다는 거죠. 주제를 좁게 잡은 이유가 있는데 주제를 벗어난 권고를 했다는 의미입니다

마립간 2017-10-24 19:33   좋아요 0 | URL
저도 그 점을 생각해봤습니다만.

예전에 ‘민노총‘에서 노동문제와 관련 없는 시국선언을 할 때, 그것이 주제를 벗어난 것인가, 옳은 것인가를 생각해 본 적이 있습니다.

애초의 목적을 벗어났다는 것을 권고했다는 점에서 저는 이번 결정이 정부의 결정이라고 보는 것이죠. 암묵적인 공론화위원회의 목적이 신고리가 아니라 차후의 원전 축소 권고였을지도 모르는 일이지 않습니까.

별족 2017-10-25 11:10   좋아요 1 | URL
정부의 결정,을 거기 넣는다는 게, 공론화위원회를 퇴색시켰다고 생각하는 거죠. 노무현대통령이 많은 기대를 져버렸을 때, 저는 제가 바랐던 게 민주주의라기보다는 내 마음처럼 해주는 독재,였다는 걸 깨달았거든요. 내가 바라는 게, 민주주의라면, 나는, 내 마음과 다른 결정에 좀 더 열려 있어야 한다고도 생각했구요.

지금의 공론화위원회에서 제가 좋았던 점은, 관심있는 사람도 없고, 들어주는 사람도 없는 이야기를 참 원없이 해봤어,라는 거 거든요. 사람들이 열심히 말하고 열심히 듣고, 성의껏 결론을 내렸다는 생각도 하고요.
그런데, ‘신고리 5,6 공론화위원회‘에서 ‘원전축소‘라는 모호한 사족-제가 모호하다는 이유는, 비율을 유지하면서도 원전은 축소할 수 있거든요. 전체 소비를 줄여나간다거나, 비율을 유지하기 위해 구형원전을 연장하면서도 축소할 수도 있거든요, 지금 신규원전을 모두 지어도, 수요량예측이 이전 정부대로라면, 원전비율은 축소되는 거라서, 그 말은 해석의 결이 굉장히 많다는 거예요- 이 붙어서, 사람들이 공론화위원회를 정부의 꼭둑각시였고, 무가치한 돈낭비였다고 생각하면 억울한 거죠.

마립간 2017-10-25 12:14   좋아요 0 | URL
지금의 공론화위원회에서 제가 좋았던 점은, 관심있는 사람도 없고, 들어주는 사람도 없는 이야기를 참 원없이 해봤어,라는 거 거든요. 사람들이 열심히 말하고 열심히 듣고, 성의껏 결론을 내렸다는 생각도 하고요. ; 이 부분에 관해서 제가 아는 것이 없어 별족 님의 의견을 그대로 받아들이겠습니다.

전체 소비를 줄여나간다거나 ; 겨울에 내복을 입고, 여름에 에어컨을 들지 않으면서 전력 소비를 줄인다고 주장하는 사람의 말을 믿지 않습니다. 인간(, 특히 한국 사람)의 욕망에 미뤄볼 때, 전력 수요량은 늘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전을 줄일 것이냐 말 것이냐 하는 문제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