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으로 행복한 12시, 김현주입니다] 바로가기 


해가 바뀌기 전에 많은 것들을 정리했는데, 또 많은 것들이 들어오기도 했다. 이를테면 위에 링크한 것 같은 소식들. EBS 에서 정오에 하는 라디오라는데, 저걸 들은 친구가 [독서공감, 사람을 읽다]가 나온다며 보내준거다. 들어보면 12월 29일 2부 초반에 독서공감에서 한 부분을 읽어준다. 디제이의 목소리가 너무 좋아서 낭독에 힘이 실린다. 라디오에 소개된 것도 좋았지만, 무엇보다 저걸 듣고 친구가 내게 바로 알려준 것도 너무나 고마웠다. 내 친구니까 가능한 게 아닌가. 저걸 들은 사람은 한 두명이 아닐텐데 '이걸 알려줘야지'라는 생각은 내 친구니까 할 수 있는 게 아닌가. 해가 바뀌는 마지막 날 듣게 되어 너무 좋았다. 좋은 소식이었고, 친구에게 고마웠다. 


그런데, 내가 쓴 글 누가 읽어주니까...좀... 오글 거리긴 했어.... ㅋㅋㅋㅋㅋㅋ


















해가 바뀌기 전에는 나의 여행친구 D를 만나 영화를 보았고 술을 마셨다. 너무 맛없는 스테이크를 먹어서 좀 짜증났지만 ㅋㅋㅋ 그래도 충분히 좋은 시간이었다. 우리가 한 해동안 함께 했던 것들에 대해 얘기하면서 나는 친구에게 고맙다고 몇 번이나 말했다. 같이 강의 들으러 간 것도 너무 좋았고, 강의 들으러 가지 않을래? 물을 때 기꺼이 가겠다고 해준 것도 고맙다고. 무엇보다 나의 중요한 순간순간에 내 이야기를 잘 들어준 친구이다. 이 친구가 언젠가 내게 그런 말을 했다. 우리가 함께 있을 때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지는 게 아니라 동등하다는 생각이 든다고. 아마도 기울어지는 느낌을 받았던 경험에 대해 얘기하다 나온 것 같은데, 친구가 그렇게 느낄 수 있다니 좋았다. 또한 우리의 여행에 대해서도 얘기했다. 그때, 우리가 프라하에 갔을 때, 일정은 짧았고 나는 속이 좀 안좋아서 한식을 먹고 싶어했다. 오후 비행기를 타러 가기 전에 프라하성을 가고 한식을 먹는 일정 두 개를 넣었는데, 초행길인 우리가 낯선 길을 걷다보니, 시간이 우리 생각보다 훨씬 많이 걸리는 거다. 프라하성과 한식 둘 중 하나는 포기해야 하는 상황. 나는 밥을 먹고 싶기도 했지만, 프라하에 또 언제 온다고 프라하성을 안보나, 하며 두 가지 중에 뭘 선택하지 고민했는데, 사실 밥이 더 끌리긴 했다. 프라하에 갔다고 프라하성을 보란 법은 없지 않나.. 하면서. 내 여행이라는 것은 관광과는 거리가 머니까. 그러나 프라하에 처음 와보고 또 언제 올지 알 수 없는 내 친구의 입장도 나랑 같으리란 법은 없었다. 아마도 그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프라하성을 가자고 하지 않을까. 그런데 내 친구는 프라하성을 가는 대신 김치찌개를 선택했다. 세상 누가 프라하까지 가서 프라하성과 김치찌개중에 김치찌개 손을 들어줄까.... 백 명중에 한 명 있을까말까 한 그 경우가 바로 내 친구였다. 그때, 프라하성을 보자고 안하고 김치찌개를 선택해준 거 고마웠다고, 나 그때 한식이 절실했다고, 그렇게 말했다. 친구는 자기도 먹고 싶었다고, 가는 길이 몹시 좋았다고 했다. 정말 그랬다. 우리는 프라하성을 보지 못했지만, 유명하지 않은 곳의 한식집을 찾아가는 길, 그 골목골목이 너무 예뻐서 자꾸만 감탄했던 거다. 게다가 거긴 사람들도 없어서 걷기에도 좋았고. 그 길을 걷는동안에는 너무 좋아서, 나 여기에 와서 살까, 막 이렇게도 얘기했던 거다.


그래서 친구랑 그런 얘기도 했다. 우리가 여행이 즐거울 수 있는 이유는, 일정대로 되지 않았다고 스트레스를 받는 사람들이 아니라, 바뀐 상황에 대해서 그 나름의 즐거움을 찾는 사람들이기 때문인 것 같다고. 여행은 그런 사람들에게 적절한 게 아닌가 싶다. 나는 대부분의 것들이 내 계획대로 되지 않는 것에 대해 크게 스트레스를 받는 편인데, 여행지에서라면 달라진다. 계획대로 되는 게 하나도 없어도, 생각하지 못했던 일들이 일어나는 것에 대해 '대신 이런 일이 있었지!' 하며 즐거워 하는 거다. 친구와 내가 계획대로 되지 않을때도, 그런데 이런 게 좋잖아? 하며 좋은 것들을 볼 수 있는 사람이라는 것이 다행으로 여겨졌다.


고마웠다. 그리고 고마운 건 고맙다고 말해야 하지. 친구에게 고마웠다고 술잔을 부딪히며 말했다.



연말엔 회사에서도 일이 많았고 그와중에 사고를 치고 수습을 했다... 이때 멘탈이 잠깐 나갔다 들어왔는데, 이것에 대해 트윗을 하니 내 트윗을 본 소중한 친구 한 명이 따뜻한 핫초코 기프티콘을 보내줬다. 사고 친거 수습하느라 고생했다고 따뜻하게 마시라고. 내 주변에 왜이렇게 좋은 친구들이 많지? 고마워라.



토요일에 영화 [두개의 사랑]을 보러 갔는데, 영화가 시작하기 전에 다른 영화들의 예고편을 보게됐다. 그 중 하나가 [원더풀 라이프]의 예고였는데, 그 예고편에서는 사람들에게 '인생에서 가장 행복했던 때가 언제인지'를 묻고 거기에 대해 답을 하고 있었다. 한 할아버지가, '나는 내 어린시절이 가장 행복했었다'고 말을 하더라.


그 예고편을 보면서 자연스레 나는 나에게 물었다. 나는? 나는 지금까지 살면서 언제가 가장 좋았지? 하고. 그런데 별 고민없이 '지금'이라는 답이 나오는 거다. 조금 더 거슬러 올라가보면 30대가 시작되던 무렵부터 였던 것 같다. 내 삶에서 20대는 들어내도 좋다고 말할 정도로 그 시절의 내가 별로 마음에 들지 않는데, 그러나 그 때가 있었기에 지금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은 알고 있다. 그때는 내 선택도 별로 좋지 않았던 것들로 가득했던 것 같아. 어릴때부터 지금까지 책읽기는 계속 해오고 있는데, 책 읽기가 좀 더 깊어지고 글 쓰는 걸로 연결되는 것도 30대 부터 였던 것 같다. 그전에도 글은 꾸준히 썼었지만, 뭐랄까, 본격 글쓰기는 30대부터 라고 해야할까. 사람을 만나는 것도 그랬다. 내 인생에 가장 좋은 사람들은 30대에 만난 사람들인 것 같다. 내가 나의 의지로 만나고 관계를 유지하게 된 사람들. 나는 30대를 보내면서 더 나은 관계를 가졌고, 더 나은 생각을 하게 됐고, 더 나은 삶을 살게된 것 같다. 그래서 지금에 이를 수 있었던 것 같은 거다. 30대부터 지금까지의 삶이 나에겐 가장 좋네, 라고 말할 수 있다니, 이런 자신이 또 너무 좋은 거다. 앞으로도 계속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도록 해야지. 그래서 또다시 '너의 삶에 있어서 언제가 좋았어?'라는 질문을 마주하게 되면, 30대부터 지금까지, 라는 답을 계속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그나저나, 2017년에 [제2의 성]을 완독하지 못한 나는, 2018년의 시작을 역시 [제2의 성]과 함께 해야겠구나...하는 생각을 하고 있다. 생각만 하지 읽지는 않고 있어. 독서 뭘까? 자꾸 다른 책이 읽고싶어지는 나를 어쩌면 좋지?


그렇다면 일단 떡라면을 끓여먹어야겠다.


댓글(17)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이소오 2018-01-01 15: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2018년의 시작을 리베카 솔닛의 <여자들은 자꾸 같은 질문을 받는다>로 했답니다.
작년 한 해 격조했네요. 다락방님도 올 한해 이상한 질문은 무시하시고, 건강하시고 건필하시고 건승하시고,
언제나 아름다우시기를 ^^

다락방 2018-01-02 08:16   좋아요 0 | URL
시이소오님게 뽐뿌받아 저 오늘 출근길부터 리베카 솔닛 책 시작했는데, 참 좋으네요.
말씀하신 것처럼 ‘이상한 질문은 무시하시고‘가 초반에 똭- 나오더라고요.
좋은 책으로 시작할 수 있게 해준 고마운 댓글입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그리고 새해에도 독서 뽐뿌 엄청 해주시기 바랍니다!

시이소오 2018-01-02 08:53   좋아요 0 | URL
리베카 솔닛 뽐뿌질에 가담했다니 신명나는 답글입니다. 새해 첫 출근이시네요. 추운 날씨지만 상쾌하게 시작하시길^^

2018-01-01 17:0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1-02 08:17   URL
비밀 댓글입니다.

moonnight 2018-01-01 17: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2017년의 마지막과 2018년의 시작을 <오로지 먹는 생각>과 함께 합니다. 행복해요ㅎㅎ 이제는 너무 유명하신 다락방님. 알라딘에 계셔주셔서 감사해요. 해피 뉴 이어^^

다락방 2018-01-02 08:18   좋아요 0 | URL
저는 완전 더 유명해져도 계속 다정하겠습니다. (응?) ㅋㅋㅋㅋㅋ

고마워요, 문나잇님.
계속 읽고 계속 맛있는 것 드세요.
그리고 우리는 계속 이렇게 다정하게 만나요!
:)

독서괭 2018-01-01 22:1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떡라면ㅋㅋㅋㅋㅋㅋㅋㅋ
다락방님 글 뭘까? 잘 알지도 못하는 분의 사적인 얘기가 어째서 재미있는 거지? 자꾸 다른 글도 읽고 싶어지는 나를 어쩌면 좋지?
합니다ㅋㅋ

다락방 2018-01-02 08:19   좋아요 0 | URL
떡라면 끓여 먹었어요. 물을 조금 더 많이 넣었어야 했는데 싱거울까봐 쫄았더니 짜졌어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에잇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맛있게 먹었어야 됐는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어쩌면 좋긴요, 독서괭님. 자주 오시면 되지요. 자주 오셔서 열심히 읽고 이렇게 열심히 댓글 달아주세요. 우리 열심히 지내봅시다. 아하하핫.

스윗듀 2018-01-01 23: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는 다락방님의 원더풀 라이프를 조용히 응원하고 2018년에는 그 일부가 될 거에요 히히힛

다락방 2018-01-02 08:20   좋아요 1 | URL
스윗듀님은 어쩜 말도 이렇게 이쁘게 해요? 히히히히히.
그래요, 일부가 됩시다.
박정현의 [그 다음해] 노래 생각나네요. 일부가 되고 싶었다는. 후훗.
그러다 일부 아닌 하나가 되는..... (응?)

새해엔 더 자주 봐요, 스윗듀님!

카스피 2018-01-01 23: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락방님 무술년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다락방 2018-01-02 08:20   좋아요 0 | URL
카스피님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초딩 2018-01-02 09: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언제나 쿨한 다락방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여~~~

다락방 2018-01-02 09:35   좋아요 1 | URL
쿨하다뇨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쿨한 것과는 거리가 먼 게 저인데요. ㅋㅋㅋㅋㅋ 그렇지만 고맙습니다! ㅎㅎ

초딩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2018년에는 자주 뵈어요!

프레이야 2018-01-06 14:2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어머나 이걸 이제 봐요. 축하해요. 저 영광의 책을 저도 읽었다는 거 영광이죠 ㅎㅎ 낭독녹음했지요 점자도서관에서. 시각장애인들도 귀로 읽으실 거에요.

다락방 2018-01-09 08:24   좋아요 1 | URL
프레이야님이 낭독녹음하셨던 거 기억하고 있어요. 감사합니다. 헤헷.
저는 오늘 [고마워 영화]에서 읽었던 그 영화에 대해 생각하고 있었어요. [사랑한다면 이들처럼] 이요.그 영화는 본 지 오래되어 내용은 잘 생각안나는데, 프레이야님이 그들에게 사랑 말고 다른 게 아무것도 필요없는, 그러니까 서로이면 너무나 충분한 것에 대해 글을 쓰셨잖아요. 그거에 대해 계속 생각하고 있어요. 이건 언젠가 글로도 정리하고 싶어서 사진을 찍어두었는데..언제 어떤 식으로 펼쳐질지는 모르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