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아침에 받아본 경향신문을 펼쳐보기 전, 나는 좀 침울해져있었고, 좀 우울해 있었다. 어제 생겼던 기분 나쁜 감정들이 채 사그라들질 않았었고, 그래서 여전히 아무 말도 하고 싶지 않은 상황에 놓여 있었는데, [체호프 단편선]이 경향 1면에 있다. 신문을 읽을때 내가 가장 먼저 읽는 '책 읽는 경향'
오늘 책 읽는 경향에 실린 글 (출처:경향신문 작성: 사계절 아동청소년문학팀 편집자 김태형)
진부함을 망각한 현실이 두렵다
되돌아 보면 2009년은 꽤나 진부한 한 해였다. 그래서 무서웠다. 하지만 공포를 느끼기엔 우리 각자의 삶이 너무나도 지난했다. 진부하지만 그럴 듯해 보이는 변명이었다. 체호프가 세상을 떠난 뒤 100년이 흘렀지만, 공포는 여전히 도처에 도사리고 있다. 어쩌면 그런 사실조차 잊어버린 오늘날의 현실이 우리가 직면한 '공포'의 실체는 아닐까.
|
|
|
|
"정확히 뭐가 무서운 겁니까?" 내가 물었다.
"모든 것이 무서워요. 나는 천성이 심오한 인간이 못 되는지라 저승 세계니 인류의 운명이니 하는 문제에는 별로 흥미가 없어요. 뜬구름 잡는 일에는 도무지 소질이 없다는 얘깁니다. 내가 가장 무서워하는 것은 진부함이에요. 왜냐하면 우리들 중 어느 누구도 거기에서 벗어날 수 없기 때문이지요. 내 행동들 중에서 무엇이 진실이고 무엇이 거짓인지 가려낼 능력이 없다는 사실은 나를 전율하게 만들어요. 생활 환경과 교육이 나를 견고한 거짓의 울타리 안에 가두어놓았다는 걸 나는 압니다. (중략)내 생각에 우리는 아는 것이 거의 없어요. 그렇기 때문에 매일 실수를 저지르고 옳지 못한 짓을 하며 서로 비방하고 남의 일에 끼어드는 겁니다. 사는 데 방해만 되는 불필요하고 시시한 짓거리들에 우리는 자신의 힘을 소진합니다. 이것이 무섭습니다. 왜냐하면 이 모든 일이 무엇을 위해서, 누구를 위해서 필요한 것인지 나는 이해할 수 없으니까요." (단편 '공포'중에서. 20-21쪽)
|
|
|
|
|
어제의 내가 그랬다. 내가 하는 모든 짓거리들이 시시하다고 여겨졌고, 이런일로 내가 왜 힘을 빼고 있는지 모르겠다고도 생각했다. 그리고 이 모든것들이 대체 누구를 위해서 필요한 것인지도 모르겠다고 생각했다. 사실 어제 내가 가장 많이 내뱉은 말은 '더럽다'였다. 정말이지 더러워서 견딜 수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