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작년 이 책을 읽을 때도 1949년 출간된 이 책에서 보부아르가 코르셋에 대해 너무나 잘 궤뚫고 있다는 것에 놀랐던 기억이 있다. 보부아르, 도대체 이 사람 뭐지? 오늘 아침 지하철에서 정신 없이 밑줄그었네.
풍습과 유행은 흔히여성의 육체를 그 초월성으로부터 단절시키는 데 온 힘을 기울였다. 즉, 전족한 중국 여성은 겨우 걸을 수 있었고,
할리우드 여배우들의 매니큐어를 바른 손톱은 그 손을 사용할 수 없게 한다. 굽 높은 구두, 코르셋, 파니에panier, 고래 뼈의테vertugadin, 페티코트petticoat는 여성 육체의 곡선미를 강조하기보다는 그것의 장애를 증가시키는 데
목적이 있었다. 지방질로 무거워지거나 혹은 반대로 너무 파리해서 힘을 쓰지 못하거나, 불편한 옷과 예의범절 의식으로 인해 몸이
굳어지면, 그때 여자의 육체는 남자에게 자기 물건처럼 보인다. 화장과 보석들 역시 이러한 얼굴과 신체의 석화 작용에 사용된다.
장신구의 기능은 대단히 복합적이다.
어떤 원시인들에게는 신성한 성격을 지니나 가장 통상적으로 여자가 우상으로 변신하는 것을 잘
마무리하는 역할을 한다. 모호한 우상, 왜냐하면 남자는 여자가 육체적이기를 바라지만 여자의 아름다움이 꽃과 과실과 같은
아름다움이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또한 여자는 조약돌처럼 매끄럽고 단단하며 영원해야만 한다. 장신구는 여자가 자연을 더 닮도록 하는
동시에 자연에서 떨어져 나오게 하며, 약동하는 생명에 인공적인 응결된 필요성을 부여한다. 여자는 자기 몸에 꽃과 모피와 보석과
조개껍데기와 깃털을 장식하여 자신을 식물과 표범 그리고 다이아몬드와 자개로 만든다. 여자는 장미와 백합처럼 향내를 내려고 자기 몸에 향수를 바른다. 또한 깃털과 명주와 진주와 향수는
여자의 육체와 체취에서 동물의 노골성을 감추는 데 사용된다. 여자는 자기 입술과 두 뺨에 색칠하여 가면의 견고한 부동성을 부여한다.
여자는 자기의 시선을 두껍게 칠한 아이섀도와 마스카라 속에 가두어 여자의 눈이 아롱거리는 장식물에 지나지 않게 만든다.
여자는 머리카락을 땋고 곱실거리게 하고 다듬어서 불안하게 하는 그 식물적 신비감을 상실케 한다. 치장된 여자 속에는 자연이 현전하고
있지만, 그 자연은 남자의 욕망에 따라 인간의 의지로 인해 포로가 되고 조형된 것이다. 자연이 여자 속에 더많이 개화開花하고 더욱
가혹하게 예속되면 될수록 여자는 그만큼 더 탐이 나게된다. 즉, 에로티시즘의 이상적인 대상은 언제나 지나치게 꾸민 여자였다.
그래서 보다 더 자연적인 미에 대한 취향은 흔히 지나친 꾸밈의 기만적인 형태에 불과하다. 레미 드 구르몽Remy de
Gourmont(1858~1915) 은 여자의 머릿결이 시냇물과 초원의 풀처럼 자유롭게 나부끼기를 바랐다. 그러나 사람들이
물결과 이삭의 일렁임을 애무할 수 있는 것은 베로니카 레이크 Veronica Lake(1919~1973)45의 머릿결이지 자연에
내맡겨진 빗지 않은 더벅머리가 아니다. 젊고 건강한 여자일수록 몸은 새롭고 윤기가 흘러 영원히 신선할 듯 보인다. 그런 그녀에게
기교는 덜 유익하다. 그러나 남자가 포옹하는 이 먹이의 육체적 허약함과 이 먹이를 위협하는 퇴락을 여자는 남자에게 항상 감추어야만
한다. 남자는 여자의 우연적인 운명을 두려워하고 여자의 불변의 필연적인 모습을 꿈꾸고 있으므로, 여자의 얼굴과 상체와 다리 위에서
관념의 엄밀성을 추구한다. 원시종족들에게 관념은 단지 일반적 유형의 완성이라는 관념일 뿐이었다. 즉, 입술이 두껍고 코가 납작한
인종은 입술이 두껍고 코가 납작한 비너스를 만들어 낸다. 나중에는 더 복잡한 미적 기준이 여자들에게 적용되었다. 그러나 어쨌든 한
여자의 얼굴 윤곽과 신체의 균형이 합의에 따라 준비된 것처럼 보일수록 그 여자는 남자의 마음을 더욱 기쁘게 한다. 그 이유는, 여자가
자연적인 것들의 화신에서 벗어난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런 기묘한 역설에 이른다. 즉, 남자는 여자 속에서
자연을 움켜쥐고자 희망하면서 여자를 인공적이게 한다. 여자는 단지 피시스physis일 뿐만 아니라 안티피시스andiphysis ‘이기도 하다. 그것은 전기 파마나 밀랍으로 하는 제모나 코르셋의 문명에서뿐만 아니라, 고원지대 흑인의
나라나 중국이나 지구상의 어디에서도 그렇다. 스위프트Jonathan Swift(1667~1745)는 셀리아에게 바친 그의 유명한
서정 단시詩에서 이러한 집단 기만을 고발하였다. 그는 멋 부리는 여자의 도구 일체를 혐오감을 가지고 묘사하고, 여자 육체의 동물적
예속 또한 진저리를 내며 되살리고있다. 스위프트가 분개하는 것은 이중으로 잘못됐다. 왜냐하면 남자는 여자가 동물이고 식물이기를
원하며, 동시에 제조된 골조 뒤에 숨기를 바라고 있기 때문이다. 남자는 바로 그가 여자를 인간의 세계에서 만나는 그대로, 여자가
나체거나 옷을 입었거나 옷 아래에서 나체인 채로 바다와 의상실에서 나오는 것을 좋아한다.
도시 남자는 여자 속에서 동물성을 찾는다. 그러나 군 복무를 하는 시골 젊은이에게는 매음굴이 도시의 모든 마법을 구현한다. 여자는 들판이며 목초지지만, 또한 바빌론이기도 하다.
하지만
거기에 여자의 최초 거짓말, 최초의 배신이 있다. 그것은 생명 그 자체의 배신이기도 하다. 생명은 아무리 매력적인 형태로 꾸며져
있다 해도 언제나 그안에 노화와 죽음의 효모가 들어 있기 때문이다. 남자가 여자를 사용하는 용도가 여자의 가장 귀중한 덕목들을
파괴한다. 즉, 출산과 양육으로 짐이 무거워진 여자는 성적 매력을 상실한다. 아이를 낳지 않더라도 세월이 흐르면 여자의 매력은
손상되기 마련이다. 불구에다 추하고 늙은 여자는 혐오감을 일으킨다. 식물처럼 그런 여자를 시들었다거나 퇴색했다고 말한다. 분명
노쇠는 남자도 두렵게 한다. 그러나 정상적인 남자는 다른 남자들을 육체로써 경험하지 않으며, 이들의 자주적이고 낯선 육체와
추상적인 연대감밖에 느끼지 않는다. 남자가 육체의 쇠퇴를 현저하게 느끼는 것은 자기를 위해 마련된 여자의 육체 위에서다.
비용Fransis Villon(1431~1463년경)의 "투구 제조인의 아름다운 아내"는 자기 육체의 노화를남자의 적의에 찬
시선으로 바라본다. 늙은 여자와 추한 여자는 단지 매력 없는 대상일 뿐만 아니라 두려움이 섞인 증오를 일으킨다. 아내의 매력이
사라진 여자에게서 불안감을 주는 어머니의 모습이 다시 발견되기 때문이다. (p.248-251)
사람은 누구나 태어는 순간부터 늙어가고 죽음에 가까워진다. 여자도 물론이고 남자도 예외가 없다. 그러나 남성들이 여성을 '여성'으로 볼 때, 거기에는 '젊음'이라는 단어가 생략되어 있다. 나이든 여자는 여성적 매력을 잃고 여성적 매력을 잃은 여성은 그들에게 더이상 여성이 아니다. 보부아르는 자신의 책에서 코르셋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도 정확하게 궤뚫지만 사회, 즉 남자가 바라는 여성이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지도 너무나 잘 파악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짐이 무거워진 여자가 매력을 상실하는 것, 세월이 흐르면 여성이 그 매력을 상실하는 것.
이에 대해서라면 '샬롯 퍼킨스 길먼'의 《허랜드》에서도 이미 드러난 바 있다. 그러니까, 여자들은 이미 다 알고 있었던 것이다.
그가 목소리를 낮춰 투덜댔다. "젊은 여자들이었다면 좋았을텐데. 늙은 대령들 집단한테 도대체 무슨 말을 하냔 말이야."
우리는 이곳에 대한 논의나 추측을 할 때마다 늘 무의식적으로 젊은 여자들을 떠올렸었다. 남자들이라면 대부분 그럴 거라고 생각한다. -《허랜드》, 샬럿 퍼킨스 길먼, p.42
남자 셋이 여자들만 사는 땅에 도착한다. 그들은 기대에 부풀어있다. 와, 여자들만 산다니, 거기는 아주 많은 것들이 부족하겠지만 그러나 여자들만 있어서 그 점은 너무나 좋겠군. 그곳에서 많은 여자들에 둘러싸여 살 거라 생각했던 남자들은, 너무나 당연하게도 그곳에 있는 나이든 여자들을 보고 실망한다. 젊은 '여자'들을 보러 왔는데 늙은 이 사람들은 대체 뭐야? 자신들이 '여자들만 사는 곳'을 상상했을 때, 거기에 '늙은' 여자는 없었던 것. 여자는 젊어야 여자고 그것이 지금 세상을 사는 젊은 여자들이 힘든 이유이다. 여성을 인간으로 보는게 아니라 여성으로만 보는 것.
추상적으로
'여자' 하면 젊고 매력적일 거라 상상한다. 여자들이 점차 나이가 들어 그런 시기를 지나가면 대부분의 여자들은 한 남자에게
소속되거나 아예 우리의 관심 밖으로 밀려난다. 그런데 이 건강한 여자들은 나이 든 사람들 같은데도 아주 팔팔했다. -《허랜드》, 샬럿 퍼킨스 길먼, p.42
'여자' 하면 젊고 매력적일 거라고만 상상한다고 이미 밝히고 있는 허랜드는 1915년에 미국에서 출간된 책이고, 코르셋의 의미를 정확히 궤뚫고 나이들어 가는 여성에게서는 매력이 상실된다고 말했던 제2의 성은 1949년에 프랑스에서 출간된 책이다. 그리고 2019년 한국에서도 같은 얘기가 나온다.
‘늘 젊고 아름답고 매력적인 여성‘이란 처절한 꾸밈노동의 산물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세상은 그러한 여성을 그 자체로
아름답게 태어난 존재로 신비화함으로써 인위적 꾸밈노동의 모든 노력들-아름다운 젊음을 유지하기 위한 각종 화장술과 시술, 지속적
운동과 고강도 식이요법-과 사회적 압력들을 단번에 비가시화해 버립니다.이는 마르크스가 거론한 ‘상품의 물신화‘ 현상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상품의 물신화 현상은 일종의 착시 현상입니다. 인간 노동의 산물인 상품이 마치 그러한 노력의 과정과는 아무런
상관없이 상품 자체가 가진 자연적·본질적 속성으로 인해 교환가치를 발생시키는 독자적·독보적 존재물처럼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탈코르셋 선언》, 윤김지영, P35
세상은 변하고 있는건가? 변하고 있나?
기술이 발전하고 있어도 여성을 향한 미에 대한 억압은 그대로인게 아닌가?
100년후에는 누가 어떤 책을 쓰고 있을까?
자, 계속 읽어보도록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