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예술가의 초상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5
제임스 조이스 지음, 이상옥 옮김 / 민음사 / 200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임스 조이스'란 작가에 대해 어느 정도의 관심은 가지고 있었다. [율리시스]를 읽을 엄두는 좀처럼 나지 않는다. 꿩 대신 닭이라고, 이거부터라도 한번 읽어보자는 마음이 생겨 읽게 된 소설이다. 작가의 자전적인 요소가 많이 등장하고 있는 작품이기 때문에 더 집중하면서 읽을 수 있었던 것 같다. 스토리만 따라가면서 이해한다면 매우 어렵게 느껴지는 작품은 아니겠지만 절대 쉬운 작품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솔직히 복잡하고 난해하게 느껴지는 대목들은, 글을 눈으로 쫓기만 했지 아직도 그게 무슨 소리인지 싶다. 즉, 깊이 있게 읽어내지는 못했다는 말이다. 

자신의 정체성을 깨닫는 과정, 스티븐 디덜러스 자신이 진정 원하고 뜻한 바를 이룩하기 위해서 떠나야 할 길의 종착지는 예술가가 되는 길이다. 자신을 둘러싼 주변 세계와 그 모든 것들이 끊임없이 직간접적으로 쏟아내는 영향력에 자유로운 사람이 과연 얼마나 될까. 하지만 예술가는 자유로워져야 한다. 그 자유로움으로 인해 다양한 아름다운 예술들을 탄생시키는 것이 아닌가. 자신을 옭아매려는 여러 가지의 속박을 벗어나 마침내 자신의 길을 찾아내고 떠나기까지의 과정을 담은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자신이 가야할 바를 깨닫는 과정이란 것이 쉽지가 않다. 스스로 뜻을 정하기까지 수많은 혼란과 고통의 시간들을 보내야 할 테니까. 서투른 탓에 고민도 아픔도 많은 경계의 시기에 의식이란 대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 의식이란 게 간단명료하지도 않고 복합적인 성격을 지닌 정신인 탓에 어려운 것이라 생각한다. 자신의 것이든 타인의 것이든, 의식의 흐름을 표현한다는 행위의 어려움 그리고 그것을 이해하는 과정의 어려움을 비로소 알 것 같다는 느낌이다. 

꼭 성격적인 면만을 말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술가가 되려면 예민함은 필수적인 것 같다. 예민하지 않으면 그만큼 공들여서 창조하는 작업에 매진할 수 없을 것이다. 내가 소설을 이해하기에 이해력을 부족한 이유도 있겠지만 어찌 되었든 정신적인 면에 있어선 확실히 자극받은 소설이다. 개인적으로는 이 소설은 버거운 소설에 가깝다. 하지만 읽어내기 어려웠다는 이유만으로 싫다고 말할 수는 없는 소설도 있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