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든
헨리 데이빗 소로우 지음, 강승영 옮김 / 이레 / 2004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늦게나마 이런 양서를 읽었다는 만족감이 상당하다. 그동안 여기저기서 많이 접했던 책이었던지라 비록 읽지는 않았을지언정 상식 차원에서는 꽤 친숙한 것이 사실이다. 읽어야겠다는 생각만 가졌지 생각해보면 읽을 시도조차 하지 않았더랬다. 더 이상 미루지 말아야겠다는 마음속 각오가, 몇 년동안 마냥 미루던 그 [월든]을 읽을 수 있도록 이끌어 준 것이다. 

직접 읽고나서야 비로소 이 책에 대한 가치나 평가가 절대 과장된 것임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자연주의로 회귀해서 삶을 소박하고 현명하게 살아간다면 과연 우린 어떻게 변하게 될까. 그리고 소위 '문명'이란 것이 오히려 시간이 지날수록 우리를 점점 우둔하고,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황폐와 타락의 길을 걷게 만드는 근본적인 원인이란 사실을 다시금 확인하게 되었다. 물리적인 시공간을 뛰어넘어 동일한 주제와 가치를 울림 있는 진솔한 목소리로 이야기하는 진정성이 물씬 느껴졌다. 책을 한 줄 한 줄 읽어내려가며 머리와 가슴에 일깨움을 주는 글귀들에 정신이 났다.  

헨리 데이빗 소로우는 몽상가가 아니다. 자신의 생각대로 삶을 실천했던 온전한 의미의 실천가였다. 랠프 왈도 에머슨이 말했다던 '인간은 관행을 거스를 줄 알아야 한다'라는 말의 깊이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었던 사람이 틀림없다. 사회 시스템은 획일화를 양산한다. 그것만이 정답이라는 듯이 사람을 몰아붙인다. 하지만 소로우는 그것이 틀렸음을 입증한다. 멀뚱히 서서 구경만 하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그 사회 시스템이란 것에 제동을 가한 것이다. 자신에 원하는 삶에 대해 진지한 고민과 실천을 동반한 적이 과연 있었던가. 마음속 계획은 언제까지나 계획에 머물러 있을 뿐 달라지는 건 거의 없다. 왜 이렇게 삶에 만족하지 못하고 살아가고 있나. 그 이유는 내가 천박하고 경박함을 떠안고 있기 때문이라는 진실을 책을 통해서 알게 되었다. 나는 실로 천박한 사람인 것이다. 

그 당시 대다수 사람들의 사고방식과 행동양식과는 반하는 선택이었지만 그의 사고와 행동은 후대에 수많은 사람들에게 긍정적 영향을 끼치는 시초가 되었다. 누구보다 자신과 자신의 삶에 진실했었기에 그의 글은 당당한 품위가 있는 것이리라. 자연에 대한 예찬의 글에선 잔잔한 아름다움을 노래한 소박한 시인과 같은 감상을 제공하고, 문명세계에 대한 비판의 글에서 느껴지던 통찰력 있는 내공의 글이 던진 참뜻을 곰곰이 되짚어보면 무엇이 올바른 삶인가를 명확하게 인지하게 만든다. 독립적이고 주체적인 삶의 주인공으로, 비록 소로우처럼 살 수는 없다해도 소로우가 전파한 삶의 지혜에 눈뜨고 귀가 열려서, 분별과 소신을 가지고 나만의 삶을 꾸려나가야겠다는 마음이 간절해진 것이다. 이 책은 유통기한이 없이 무한정 살아남을 책이 이미 된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