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의 은하수 - Somewhere in Time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우연히 알게 된 영화였고 약간의 소개 멘트만으로도 왠지 보고싶은 마음이 생겼다. 시공간을 넘나드는 사랑이야기라면, 딱히 새로울 것도 없어 소재 자체로만 판단하다면 이미 익숙해진 지 오래. 진부함을 느끼기가 쉽겠지만 그래도 내가 보지 못한 영화였고 시대를 거슬러 올라가 고전영화로 보는 재미는 또 다른 것이기에 보고픈 마음이 새삼 강하게 임한 것 같다. 

희곡작가로서 성공적인 연극무대를 끝마치고 친구들과 즐기며 축하받는 리처드 콜리어. 그런 그를 한 노부인이 뭔가 사연이 있는 듯한 표정으로 예의 주시한다. 그리고 천천히 다가와 고풍스런 회중시계를 건네주며 "내게로 돌아와요."라는 한마디 말을 남기고 떠난다. 리처드로서는 생전 처음보는 사람이 건넨 이해할 수 없는, 이상한 말이었음이 분명하다. 8년 후, 성공적인 희곡작가지만 글이 뜻대로 써지지 않자 목적지도 정하지 않고 무작정 여행을 떠난다. 그가 묵는 오래된 호텔에서 우연히 아름다운 여인이 찍힌 오래된 사진을 보자마자 자신을 강하게 매료시키는 감정에 휩싸이게 되는데. 누구일까 하는 호기심으로 사진 속 그녀에 대해 조사하고 마침내 그녀는 다름아닌 8년 전 단 한번 만났던 그 노부인의 젊은 시절이라는 것을 알게 되는데.  

이렇게 알게된 놀라운 사실 앞에서, 이미 세상을 떠난 그녀를 만나기 위해, 리처드는 시간여행을 감행한다. 판타지 로맨스 영화이니 이 정도의 작위성은 놀랍지도 않다. 시간여행을 통해 두 남녀는 과거 속에서 만나고 사랑하지만 끝끝내 함께할 수는 없는 비극적인 운명에 처해 있다. 영화적 설정만 놓고보면 엄청 유치할 것 같지만 막상 보면 또 볼만한 영화들이 있는데 바로 그런 영화에 속한다고 할 수 있겠다. 맥켄나를 연기한 실제 제인 세이모어라는 여배우는 본드걸도 연기한 배우라는데 역시 외모가 출중하다. 특이한 점이라면 이 영화는 원작자와 각본가가 동일하다. [나는 전설이다]로 유명한 리처드 매드슨이 이런 로맨스도 집필했었구나 싶었다. 그리고 원작과 영화의 결말이나 설정의 몇몇 부분은 다르다고 한다.  

과거와 현재가 부드럽게 맞물려져 돌아가는 장면의 완성도도 좋게 느껴졌고 다분히 감성적인 영화였다. 영화에서 두 남녀를 이어주는 증표로 라흐마니노프의 연주곡이 쓰이는데 이 영화 덕분에 아름다운 클래식도 한 곡 더 알게 됐다. 함께 할 수 없어 흐느끼고 그리워하지만 내 사랑은 곁에 없다. 그런 현실이건만 잊히지도 사라지지도 않은 채 여전히 내 안에서 더더욱 간절해지는 사랑. 망연히 창밖만 쳐다보는 리처드. 영화 초반에 그를 만나고 돌아온 저녁, 그가 쓴 극본을 품에 안고 눈물을 흘리던 맥켄나의 모습이 머릿속에서 오버랩되었다. 둘은 그렇게 서로를 그리워했다. 원작은 몽환적인 분위기라고 하지만 영화는 그보다는 좀더 단순하지만 서정적으로 끝을 맺는 듯하다. 진정 시간을 초월하는 건 사람의 감정과 기억뿐인 것 같다. 대단한 영화는 아니지만 내겐 특별한 의미로 각인될 듯하다. 그만큼 이 영화가 내 마음에 꼭 들었다는 얘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