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친절한 복희씨
박완서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7년 10월
평점 :
박완서란 작가가 한국문단에 얼마나 독보적인 존재인지 소설을 보면 알게 된다. 아무리 글을 쓰는 일이 직업이라고 해도, 이야기를 유독 더 맛깔나게 쓰는 작가라는 생각을 자연히 할 수밖에 없게 만드는 글솜씨를 지니셨다. 글을 보면 삶이 더해 질수록 박완서 문학도 함께 더해지는 격이다. 나이 드는 작가들을 보면 더더욱, 해마다 먹는 나이에 따른 노쇠는 어쩔 수 없을지언정 글을 쓰는 정신적인 면에선 전혀 노화가 진행되지 않는다고 생각할 만큼 여전하신 필력을 자랑하고 계신 듯했다. 내공이 느껴지는 노련함을 9개의 단편 속에서 느낄 수 있었다. 이야기에 따라 형식과 시선을 달리하며 제각각 재미와 깨달음을 동시에 독자에게 안겨주기가 어디 쉬운 말인가.
모든 문학은 일정 부분 자전적인 성격을 가질 수밖에 없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그런 점에서 작가 개인이 나이듦에 따라 노인들을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로든 등장시키는 이야기는 지극히 자연스러울 터. 내가 그 나이를 살아보지 않아서 잘 모르겠지만 아직은 아득하게 느껴지는 부분이기도 하지만 이상하리만치 감정 이입이 잘 됐다. 아스라한 그리움도 이중성과 위선도 나이와는 상관없이 인간이라면 모두가 똑같이 경험하게 되는 것이니까 말이다. 어떤 면에서 도드라지는 것이 아니라 삶의 전반에 대해서 쓰는 작가이기에 훌륭한 것이겠지. 읽으면서 '어쩜, 이렇게 잘 쓸까?' 연발하면서 읽었다. 유머와 재치, 삶에 대한 진한 시선 같은 건 분명 나이듦에서 얻어지는 것이리라.
결코 소멸되지 않을 문학에 대한 감수성을 지닌 작가가 대단하게 느껴지는 건 지난 세월동안 많은 작품을 쓰셨던 것처럼 현재도 현역으로 활동하시고 날카롭고 유쾌하고 명쾌한 재미난 이야기를 집필하는 사실에 기인한다. 이야기 읽는 재미에 정신 팔려서 막 읽다가도 어느 한 문장에 꽂혀서 잠시 책에서 시선을 떼고 허공을 바라보며 생각하게 만든다. 막힘이 없다고 할까. 편하게 술술 쓴 것처럼 술술 읽히지만 가볍지도 무겁지도 않은 적정 수준의 무게를 유지하는 이야기들이 하나같이 훌륭하다. 멀리 있어 아득하게 느껴지거나 인위적인 면이 전혀 없는 이야기를 보며 새롭게 박완서란 작가의 진가를 다시금 발견하고 탁월한 서사에 감탄했다. 다만 바라는 것은 작가의 건강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