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행할 권리
김연수 지음 / 창비 / 2008년 5월
평점 :
품절
'여행'이란 말만 들어도 왠지 기분이 좋아지는 건 누구나 마찬가지가 아닐지. 이제껏 제대로 여행이라고 이름붙일 만한 경험이 없어서인지 언제나 내게 여행은 현실적인 대상보다는 허구적인 대상에 가깝다. 여기가 아닌 그 어딘가를 향해서 마음과 몸이 함께 달려가는. 어느 날, 마음의 부름을 받아 느닷없이 떠나보는 여행을 해보고 싶다.
김연수란 작가를 맨 처음 알게 된 것도 [청춘의 문장들]이란 산문집을 통해서였다. 그의 산문이 주는 재미와 깊이를 잘 알고 있기에 [여행할 권리]도 내심 기대했었다. 여행이란 경험을 통해서 다양한 사람들과의 만남과 그 속에서 느끼고 겪으며 체득한 다채로운 사유의 기억들을 담은 산문집이라고 할 수 있겠다. 보통의 여행기와는 확연한 차이를 느낄 수 있었던 점이 마음에 쏙 들었다. 이야기가 있고 명확한 메시지가 있는 대목들에 마음이 움직였다. 내가 기존의 생각하고 꿈꾸었던 여행들은 단순한 물리적인 이동의 끌림에 가까웠던 것임을 깨달았다. 중요한 것은 얼만큼의 '이동'이 아니라, 얼만큼의 '깊이'로 자신을 발견하며 스스로를 확장시킬 수 있느냐일 텐데 말이다.
자신을 되돌아보게 되고 새로운 나를 발견하게 만드는 것들 중에 여행만한 것이 또 있을까 싶다. 그런 면에서 기본적이며 정확한 편이니까. 그래서 사람들은 떠나고 다시 되돌아오는 것이겠지. 다른 존재가 간절히 되고 싶어서 떠나고 본래의 나로 되돌아오기 위해서 말이다. '김연수'란 타인의 경험을 통해 깨달을 수 있었던 것들이 그야말로 가치있게 여겨진다. 그의 정신과 감미로운 감상을 빌어서 비로소 보다 깊이있게 바라볼 수 있었고 더불어 생각할 수 있었던 값진 시간들이 되었다. 삶과 문학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시선들을 바라보며 역시 작가들은 다르구나 새삼 다시 한 번 감탄하며 느끼기도 했고.
누구나 여행할 권리는 있다. 그 여행을 규정하는 속성들은 개인마다 제각각일 것이다. 내가 궁극적으로 바라는 여행이란 어떤 것인지 아직 명확하진 않다. 하지만 그 여행을 통해서 무엇보다 내면적으로 변화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그 여행의 도구가 물리적인 이동일 수도 있겠으나 꼭 그렇지만은 아닐 것이다. 내면의 여행을 위해서 책을 도구로 삼아도 적절한 것이라 생각한다. 계산하는 마음이나 구태의연한 사고방식을 조금씩이나마 버리게 되어 더디지만 조금씩 성장함을 스스로 자각할 수 있는 그런 일들이 생겼으면 한다. 전혀 다른 나의 모습을 기대하게 만드는 여행은 매혹의 다른 이름이 아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