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덴브로크 가의 사람들 1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56
토마스 만 저자, 홍성광 역자 / 민음사 / 2001년 11월
평점 :
내겐 [부덴부로크 가의 사람들]이란 책꽂이에 꽂아둔 채 방치시켜 놓은 책들 중의 하나였다. 간단히 말해서 정말 의미없이 책꽂이 한켠에 놓여 장식의 역할만을 수행했었던 오래오래 묵혀둔 작품이었다. 당연히 읽어보려 두서너 번 시도했었더랬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강하게 느껴지던 초반의 지루함을 견디지 못해 책을 덮고 팽개치고야 말았다. "나만 이런가?" 괴로워하면서.
토마스 만의 명성만 익히 들었을 뿐 기실 그에 대해 알고 있는 정보는 희박하다. 작품을 보기까진 몰랐던 사실, 이 작품으로 노벨문학상을 받았다는 것도 내겐 새로운 사실이었으니까. 더 말해 무엇하리. '부덴부로크 가'의 4대를 연대순으로 조망하며 한 가문의 탄생, 성장, 발전과 아울러 성공과 실패를 섬세한 필치로 그려내며 끝내 쇠퇴의 길을 체험한 후, 과거의 역사 속으로 사라지기까지의 과정을 밀도 높게 그리고 있는 작품이다. 솔직히 말해서 활자를 읽어내는 과정이 쉽지 않았다. 그동안 독서하면서 이렇게 많은 시간 할애해가며 낑낑거리며 읽어보긴 처음인 것 같다. 아무래도 작품이 씌여졌던 시대와 현재 내가 작품을 마주하고 본 시대의 차이가 작품에 대한 괴리를 만들어내는 것이리라. 그러나 전적으로 현실과 동떨어진 작품이었다면 감동도 없었겠지만 오늘과 동일하게 적용되는 공감대가 형성되기에 읽을 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모든 일이 그렇지만 고비만 넘으면 한결 수월해지는 법이라 힘들었지만 끝끝내 고전의 유익함을 느낄 수 있어서 다행스럽게 생각한다. 시민성과 예술성은 서로 반하는 성질의 것들이라 동일선상에서 팽팽히 대립하는 관계에 놓일 수밖에 없다. 순전히 신분과 가문의 명예를 지키기 위해서도, 또 내면의 자리한 예술성을 따라 살아가기도 힘든 것이 삶의 현실이다. 적절한 선에서 조화롭게 섞기기란 여간 힘든 게 아닐 것이다. 1,2대를 거쳐 3대인 토마스, 크리스찬, 안토니과 맨 마지막 세대인 4대인 하노까지 주변인물들과 촘촘히 엮어낸 이야기 중 일부분은 고루하게 느껴지는 면이 있어 어쩔 수 없이 집중력이 저하된 부분도 있었지만, 토마스 만이란 작가의 초기작으로, 오랜 세월 속에서도 살아남은 이유를 발견할 수 있었다. 괜스레 명성을 얻는 고전이란 없으니까.
시민 사회가 가지고 있는 갈등과 개인적 갈등이 맞물리면서 초래되는 몰락의 길을 어떻게 막을 수 있는 걸까. 감이 안 잡힌다. 때론 텍스트만 쫓아 읽기에도 급급할 때가 있다. 분명 초반부에는 그랬었다. 생각보다는 덜 어려웠고 재미있게 읽었다. 고전만이 줄 수 있는 시대착오적인 면에서 느낄 수 있는 부분의 진지한 재미도 있는 것이니까. 개인적으론 손사래를 치고 질색할 만한 책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객관적으로 문학을 읽고 해석하는 역량이 부족해서 작품에 자리한 면면을 제대로 읽어낸 것 같지는 않지만 가치있는 고전을 접하고 막연하게나마 느꼈던 사실만으로도 만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