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폭풍의 언덕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18
에밀리 브론테 지음, 김종길 옮김 / 민음사 / 2005년 3월
평점 :
별다른 이유는 없이, 그냥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시리즈' 에 소개된 많고 많은 여러 문학작품들을 눈으로 죽 훑어낸 뒤, 내심 내 관심과 취향을 끈다는 이유를 들어 솎아낸 뒤 틈틈이 하나씩 읽어나가고 있는 와중이다. 그런 면에서 이 작품은 상위의 랭크된 작품이었건만 진절머리가 나는 나의 게으름으로 인해 뒤늦게나마, 마침내 읽었고, 글로 다듬어지지 않을 묘한 감상을 받았음이 확실하다.
소설 전반에 흐르는 음산한 분위기와 긴장감을 잊을 수 없겠다. 줄거리만 알고 얼핏 예상했던 통속적인 로맨스 소설과는 판이한 차이점을 드러내고 있는 이 작품은 정말 오묘하다. 정말 앞뒤 자르고 얘기하자면 캐서린을 향한 히스클리프의 지독한 사랑쯤으로 간추릴 수 있겠지만 이렇게 뭉뚱그려 말한다는 것이 이 작품에 대한 진정한 매력을 발산하는데 한 몫 거들기는커녕 고추가루 팍팍 뿌리는 짓임을 내 모르지 않는다. 처음엔 별 생각없이 그저 표면적으로 들어난 히스클리프가 취한 여러 행동들을 바라보며 이해할 수 없었고 사랑도 좋지만 이건 너무 심하다라는 생각만이 가득했었다. 하지만 곰곰히 생각해보면 그것만은 아니었다. 이유야 어찌 됐든 간에 사랑하는 사람에게 선택받지 못했다는 그 치명적인 아픔의 기억이. 히스클리프로 하여금 내면적으로 받은 그의 상처를 강박적으로 기억해내게 하고 그를 점점 뒤엉키게 하고 엇나가게 만들었던 것이 아닐까. 그렇게 죽는 날까지 광기에 사로잡혀 스스로를 고통과 고독 속에 가둔 채 더더욱 복수와 증오를 다짐하며 끝끝내 죽음이란 허망함으로 삶을 마무리 하도록 그를 몰아세웠던 것은 아니었을까. 그 실체가 다름아닌 '사랑' 이었다는 것이 씁쓸하다. 히스클리프란 인물이 작품의 성격을 특징짓는다 해도 과언이 아닐 듯.
복수란 나쁜 감정이지만 동시에 지극히 인간적인 자연스런 감정이라고 생각한다. 사람으로 인해서 사건으로 인해서 사람들은 상처를 받는다. 아니, 영향을 받는다. 캐릭터들 간의 심리묘사며, 적은 분량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특유의 분위기를 깨지 않고 끝까지 유지한 채 끌고 갔다는 점 또한 인상깊었다. 종종 섬뜩하게 느껴지는 부분들은 읽는이로 하여금 감정적으로 조바심 칠 만큼 움츠러들게 만들었다. '폭풍의 언덕'은 아마 완전한 이해는 불가능한 소설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예의 평범한 고전소설에서 보고 느낀 이끌림과는 비교될 다른 차원의 강렬함을 느끼실 수 있으실 터. 2008년에 읽어도 이런 느낌인데 이 책을 처음 대했을 1847년의 사람들의 냉담한 반응이 이해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에밀리 브론테라는 작가에 대해서도 사뭇 궁금증이 일었다. 극단적으로 변하기 쉬운 사랑의 양면성에 대해서 생각해본다. 그리고 인간의 본성과 인간의 감정선에 어떤 영향의 자극을 받느냐에 따라 많은 문제가 생길 수도 사라질 수도 있음을 기억해야겠다.
내용면에서 흡사한 다른 어떤 소설을 떠올리기가 힘들었다. 그건 내 소양이 부족해서 아는 것이 없어서일 수도 있겠지만 그만큼 다른 소설과는 '다르다'라는 의미에서 읽혀야 정확할 듯. 이런 로맨스는 처음이다. 영문학의 대표격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회자되는 이유를 이제야 잘 알았다. 읽어보니 수긍이 간다. 작가가 남긴 단 한편의 유일한 소설. 유일해서 더 소중히 전해져야 할 문학 같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