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리데기
황석영 지음 / 창비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07년 소설 부문에서 가장 큰 두각을 나타낸 작품 둘만 꼽으라면 아마도 김훈의 <남한산성>과 황석영의 <바리데기>가 아닐지 싶다. 황석영의 명성을 익히 알고 있었지만 가만히 생각해보니 정작 그의 작품을 직접 읽은 적은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마치 읽었다는 듯 책제목은 전부 알고 있으면서 이제서야 황석영 책을 처음으로 읽다니. 왠지 뜨악한 느낌이 드는 건 어쩔 수 없었다. 그런 연유로 바리데기는 내가 경험한 황석영 소설의 시작점이 된 것이다.

'바리데기'라는 무속신화를 차용해서 쓴 소설이라는데 역시 신화라는 것 자체가 이야기의 원형 내지는 재료로 사용되어질 매력을 듬뿍 지니고 있는 것 같다. '바리데기'는 한마디로 현실을 근거로 한 메타포의 소설이었다. 소설은 혼란스런 세계 속에 놓인 종교와 인종, 문화와 국경의 문제를 포착해 섬세하게 그려내고 있다. 이런 소설을 쓰려면 정말 깊이있는 폭넓은 현실인식이 필수적이리라. 특히 현실과 환상을 넘나들며 펼쳐지는 이야기는 더더욱 내게 깊은 인상을 안겨주었다. '바리'의 이동을 통해서, '바리'의 삶을 통해서 나는 무엇을 보았던가. 현실의 아픔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폭력과 테러, 전쟁과 위태로운 것들이 주위를 에워싸고 있다. 현실의 그림자를 보여준 소설이라서 그런지 가슴 아픈 현실의 면면을 잘 다루고 있는 듯했다. 박진감 있게 진행되는 소설이라서 그런지 흡인력도 대단하다. 이야기에 빠져서 단숨에 읽어내려갈 수 있다. 어렵지는 않지만 마음이 불편했다. 세계 어디서나 이런 암울한 광경이 일어나고 있다는 현실이 불안하다.

내가 한반도 그것도 온전히 하나도 아닌 둘로 갈라진 땅에 살면서도 한반도가 마주한 현실에 관심이 없었다. 분단이란 것도 너무 자연스러워서 '통일'이란 말을 들으면 뜬구름 잡는 소리처럼 들렸다. 분단이 마치 처음부터 그랬던 것인 양 생각되어 메마른 사고로 정체되어 있는 것이 문제라는 것이 새삼 깨달아지는 것이었다. 상처받은 인간과 영혼을 위로하고 용서하는 '바리'의 모습 속에 담긴 타인과 세상에 대한 희망을 발견할 수 있는 부분이 가슴을 따뜻하게 데워준다. 한반도의 분단이라는 것도 따로 떼어서 생각할 수 있는 성격의 문제도 아니고 세계 속에서 떨어져있는 것도 아니다. 엄연히 복잡하고 혼란스런 세계 정세 속에서 함께 연결된 문제이라는 이 현실인식이 우리에겐 필요하다. 그토록 소설 속에서 바리가 찾기를 염원한 '생명수'는 어떤 것이었을까. 독자의 몫으로 남은 생명수를 나는 어떤 것이라고 생각하며 규정지을 수 있을까. 언뜻 쉽게 떠오르지는 않는다. 자신과 남을 위해서 바리가 고통의 길, 고난의 먼 길을 헤매며 찾아 헤맨 그 '생명수'는 어떤 구원을 이룰 수 있었을까. 짧은 시간이나마 독자를 사뭇 진지한 생각을 하게 만드는 재밌고 올바른 문학작품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