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거짓말
정이현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이현 작가의 책에 관한 어떤 작은 이야기라도 그 이야기는 일단 나의 관심사다. <오늘의 거짓말>도 그런 지극히 당연한 관심사로 읽게 되었다. 기회가 닿지 않아 아직 첫 소설집을 보지 못했다. 그래서 내가 보는 첫 소설집은 그녀의 두번째 소설집이다. <달콤한 나의 도시>란 장편소설 달랑 한 권 본 것이 다지만 비교적 짧은 시간에 정이현 작가는 누구보다도 대중적으로나 문학적으로 한국 문단을 대표하는 인기작가로 명실상부 이미 떠오른 것이 사실이다. 앞으로가 점점 더 기대되는 관심 작가 중의 한 명이라는.

소설 속에서 만난 다양한 일상 속의 인물들의 모습들은 거리감이 느껴지는 그런 모습들이 아니다. 대부분은 가까운. 일상적인 삶 속에서 일어나는 다양하지만 일정 부분 어딘가 같은 모습을 나누어 가진 모습들이라 비슷한 느낌을 주는 이야기로 보였다. 특별한 사람은 흔치 않다. 나나 내 주위를 에워싼 사람들은 하나같이 평범한 사람들이다. 그저 평범한 사람이라면 작가가 말하는 평범한 이야기 속에 자신이 담긴 면들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소설 속 인물들이 느끼며 겪어내는 감정선에 충분히 동화되고 공감할 수 있도록 작가는 작가 자신이 살았던 과거에서 오늘이란 현재까지 시간이란 통로를 겅중겅중 넘나들며 개인적이 모습들을 보여주는 동시에 그 개인들이 사회라는 제도의 틀 속에 완전히 갇히지도 못하고 그렇다고 완전히 여과되지도 못한 개인들의 고독과 고민과 씁쓸함을 생생하게 표현하고 있는 듯했다.

작가가 경험했던 지난 시간들의 그것과 나의 것이 시대적으로나 경험적으로 완전히 포개지는 것이 있는 것도 아니었건만 이야기를 읽고 있으면 주인공에 내면의 목소리에 자연스레 귀기울이게 되어서 그런지 이야기의 결말에 약간은 가슴 아픈 묵직한 마음이 드는 것은 왜 일까. 그건 아마도 작가의 힘이 만들어 낸 세대를 아우르는 공감대를 끌어내는 저력이 아닐지. 욕망을 버릴 수도 없고 그렇다고 체제에 얌전히 순응하며 살아가지도 못하는 애매한 면면들은 너무나도 익숙한 모습들이다. 그래서 불편하고 처연하게 느껴졌던 것이겠지. 환경이 어떻든 간에 본질은 크게 달라지지 않는 법이다. 한 편의 이야기를 다 읽고 막연하게 멍한 기분에 빠져 이런저런 생각으로 시간 속에 잠시 머물게 한 소설들이었다. 각각의 색다른 매력을 지닌 소설들. 영악한 캐릭터만 알고 있었던 내게, 단편 열 편에 담긴 좀더 넓어진 환경의 형태나 소설의 소재의 면에서 신선한 발전적인 모습을 보여준 부분들을 볼 수 있어서 만족할 만한 이야기였다.

이야기가 어떻든 정이현의 감각적이고도 마음에 와 닿는 묘사는 언제나 소설 읽는 재미와 함께하는 것 같다. 그래서 내가 정이현을 좋아하는 작가로 꼽는 것이지만. 정이현 새 산문집이 나왔는데 작가들 산문집에 환장하는 나로서는 읽지 않는 일이 더 힘들 것이다. 삶을 닮은 소설. 무언가 좋아한다는 것은 아마도 호감과 경외심의 다른 말이 아닐지. 그래서 내가 작가가 만들어낸 글에 매번 내 맘을 빼앗기고 마는 것일 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