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담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9
밀란 쿤데라 지음, 방미경 옮김 / 민음사 / 199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밀란 쿤데라. 그 유명한 밀란 쿤데라의 소설을 드디어 처음으로 읽었다. 기실 내가 언제부터 '밀란 쿤데라' 라는 작가의 이름을 익숙하게 불러댔었는지는 확실치 않다. 책이란 것을 가까이 하게 되면 자연스레 알게되는 작가군이란 것이 생기지 않는가. 더구나 내가 관심을 가지고 멀리서 지켜보곤 하던 작가가 (방송에서 즐겨 하는 질문 중)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작가는 누구시죠?" 라는 물음에 "...밀란 쿤데라도 좋아하고요." 라고 답했다면 방송을 띄엄띄엄 흘려들었다 해도 그 부분은 또렷하게 기억이 남아 있는 거다. 좋아하는 작가가 꼽는 작가라는 이유만으로. 그런 연유로 내겐 더 확실히 읽고픈 맘을 품게 했던 밀란 쿤데라의 첫 작품 <농담>에 대한 두서없는 생각들을 적는다.

'암울한 시대에 던진 농담 한마디가 운명의 비극을 연출했다. 위트와 패러독스와 지성이 넘치고 섹스와 정치가 뒤얽힌 금세기 최고의 걸작' 이라는 간단한 소개글을 수첩에 옮겨적었었다. 짧은 광고문을 왜 나는 옮겨적었을까. 굳이 그럴 필요도 없었는데 말이다. 그때는 알 수 없는 마음으로 불현듯 느꼈을, 작품에 대한 분명한 정의가 마음에 들었었나 보다. 기대하는 마음으로 책을 본 것이 사실이다. 내심 기대를 하고 본 문학작품 중 생각보다는 별다른 감흥을 주지 못하는 경우가 흔한데 내가 읽은 <농담>은 내 기대를 능가한 소설이었다. 내게 있어서 새롭게 소설 읽기의 즐거움을 발견하게 해준 소설이라면 이 소설을 조금은 정확하게 표현한 말이 될 수 있을지 모르겠다.

루드빅이란 인물이 악의 없이, 속상한 마음에 너도 한번 당해봐라 하고 장난식으로 보낸 엽서 한 장에 담긴 단 세 문장이, 이후 루드빅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던 것을 생각해보면 정말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농담 한 번 잘못해서 인생이 이렇게 꼬일 수가 있다니. 이거 무서워서 농담할 수 있겠나. 소설은 루드빅을 비롯한 여러 등장인물들의 내면을 꼼꼼하게 챕터를 나누어서 등장인물의 시선으로 각각 달리 펼쳐지는 식인데, 이런 표현 기법이 처음도 아니건만 더 인상깊게 다가오는 것은 밀란 쿤데라만이 주는 필치의 독특함이 느껴졌기 때문이다. 똑같은 한 가지의 일이라도 인물에 따라 그 상황을 받아들이고 대하는 방식 자체가 달라지는 법이니까. 그런 다름을 보는 것이 소설의 재미이기도 할 것이고. 시대적 상황이 돌이켜보면 농담 그것이었다. 거대한 농담같은 정치적 상황. 루드빅의 농담은 받아들여지지도 않았고 받아들일 수도 없는 성질의 것이었다. 왜냐하면 그 시대는 아주 '진지한 시대'(농담 자체를 모르는)였기 때문에. 체코를 비롯한 동유럽의 사회주의 국가에 대한 이해가 적어서 그런지. 소설 내용 이면에 숨겨진 소설이 말하는 바를 전부 이해하지는 못한 기분이 들어 왠지 좀 결여된 느낌이 드는 것이 사실이나 내용 자체만 따라가도 흐릿하게나마 이 소설이 말하는 그림이 그려지는 것이다. 

모두의 삶 속에 완벽한 영원성이란 약속되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사람들은 착각을 하고 오해를 한다. 이 영원성이란 믿음으로 말이다. 밑줄을 부르는 인상깊은 글귀들이 적지 않았다. 어렵게 느껴지던 대목들도 있었지만 그것이 전부는 아닐 테다. 언제나 깊이 있는 시선을 작가를 빌어 삶의 저변으로 확대하고 마주하게 하는 유쾌한 즐거움이 소설 속에는 가득한 것 같다. 이야기는 끝이 나고 나는 다시 처음으로 되돌아가 책을 다시 한번 읽다 말았는데 퍼즐이 맞춰지는 것처럼 맨 처음 볼 적에는 무심히 넘기고 읽어 놓쳤던 부분들에 다시금 눈길이 가는 것이었다. 놓친 부분을 다시 발견하는 즐거움이 두번째 독서의 즐거움이 아닐지. 비뚤어진 역사 속에서 개인의 삶이 농담처럼 펼쳐질 수도 있다는 것. 그리고 모든 것은 흘러간다는 것. 내게 있어서 망각이 담당해야 하는 일은 어떤 것이 있을까. 책을 본 후 곰곰이 생각해본다. 뛰어난 소설임이 틀림없고 꼼짝없이 밀란 쿤데라의 세계에 걸려든 기분이 든 것을 고백하지 않을 수 없겠다. 그의 다른 작품이 읽어줄 이를 기다리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