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일 - 사랑이 내게 온 날 나는 다시 태어났습니다 ㅣ 장영희의 영미시산책
장영희 지음, 김점선 그림 / 비채 / 2006년 4월
평점 :
장영희 선생님의 글을 좋아함에도 불구하고 뒤늦게 이 책을 읽게 되는 이유는, 내가 워낙 '시'라는 문학 장르와 친하지 않았었고, '시' 자체를 잘 못 받아들이는 이유가 가장 크다. 전혀 이해 불가능한 어려운 것도 아닌데 왜 나는 시를 멀리할까. 그건 단순히 좋아하는 마음이 적어서였을 수도 있고, 이제껏 시를 만나고 대하는 방법이 바르지 않아서였을 수도 있다.
제아무리 시를 잘 모르고 좋아하지 않는다 해도 마음과 감성을 건드리는 시구를 만났을 때의 분명한 감동을 느껴보지 못한 사람은 아마 없을 것이다. 느끼지만, 느꼈지만 표현하지 못하는 것들을 시인들은 자신들의 정제된 언어로 들려준다. 우리는 그 언어를 조용히 가슴으로 만나면 되는 거다. 영시지만 한국어로 다 해석되어 언어적 '괴로움(?)'도 없고, 마치 동화 삽화같이 단순하면서도 순수한 밝은 느낌을 주는 색감의 김점선 화가의 그림도 이 책을 빛내주는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시를 아무리 모른다 해도 모를 수 없는 영미권 유명한 시인들의 아름다운 시들을 추린 시집이다. (사실 이 책을 통해 알게 된 시인들이 더 많지만.) '사랑이 내게 온 날 나는 다시 태어났습니다.' 라는 고백에 담긴 그 사랑의 따스함과 생의 충만함을 알 것도 같다. 시와 더불어 장영희 선생님의 짧은 감상을 담은 글도 시만큼이나 좋다. 내가 느끼는 선생님의 글은 한마디로 긍정성이라는 점이다. 닮아가고 싶은 부분이기도 하다. 글을 읽고 있으면서 새록새록 잃어버렸던 내 안의 감성들을 되찾은 느낌이어서 이런 시집이라면 얼마든지, 라는 마음이 생겼다. 앞으로 '시'라는 장르를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찾게 될 것 같다. (소설만큼은 아니겠지만.) 내게 이런 마음의 변화는 작은 것이 아니다. 시를 '어떻게' 만나는냐에 따라 시를 바라보는 시각에 차이가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딱딱하지 않고 어렵지 않아서 '시'를 읽을 수 있었고, 느낄 수 있었던 것 같다. 다행이다.